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통일민주당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통일민주당 로고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은 1987년 창당되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약칭은 민주당이다. 상도동계와 동교동계를 주축으로 창당하였으나, 대통령 후보 선출 갈등으로 동교동계는 탈당하였다.[1]

개요[편집]

통일민주당은 1987년 창당되어 1990년까지 존속했던 정당이다. 3김체제의 주축 정당 중 하나였다. 신한민주당의 다수파인 상도동계(YS)와 동교동계(DJ)가 1987년 4월 선도탈당해 창당한 정당이다. 그러나 제13대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 후보 단일화 갈등으로 같은 해 10월 말 김대중과 동교동계가 탈당하면서 평화민주당을 창당해 상도동계와 일부 비주류가 남게 된다. 그해 12월의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2위로 패배하고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제2야당(제3당)이 되었다. 이후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당을 합쳐서 현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으로 내려오고 있다.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의 전신인 평화민주당과 아래에서 언급할 꼬마 민주당 모두 이 통일민주당에서 갈라져나온 걸 감안하면, 어찌보면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과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모두의 전신이라고 봐도 무방한 정당이기도 하다.[2]

역사[편집]

창당 배경

당시 제1야당이던 신한민주당이 이른바 '이민우 구상'과 이철승 등의 내각제 개헌 주장으로 내분에 빠지자, 김영삼과 김대중은 새로운 야당을 만들기로 합의하고 1987년 4월 21일에 통일민주당을 창당하였다. 창당 후 상도동계, 동교동계 의원들을 신한민주당으로부터 탈당시켜 입당하게 하였다. 양김은 민주화추진협의회를 구성해 민주진영을 구축하기도 했다.

통일민주당은 출범부터 순조롭지 못하였다. 1987년 4월 '용팔이'로 불리던 김용남이 깡패들을 동원해 통일민주당 지구당 창당을 방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정체불명의 20대 청년 150여 명이 도끼로 지구당 출입문을 부수고 난입해 당원들을 무차별 폭행하고 사무실 집기를 불태운 일명 '용팔이 사건'으로, 김용남 등은 징역 2년 6월을 선고받았다.

통일민주당은 개헌논의의 중지를 선언한 전두환 대통령의 4·13조치를 정면으로 거부하고 5월 27일 비제도권 사회단체들과 합동하여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를 결성하여 대통령직선제개헌 관철을 위한 집회·시위 등 장외투쟁을 강화하였다.

6월 민주항쟁과 분열

6월 10일 국민운동본부와 합동으로 '박종철군고문살인은폐규탄 및 호헌철폐국민대회'를 개최, 전국적으로 집회와 시위를 유발하였으며, 6월 26일 '민주헌법쟁취국민평화대행진'을 벌여 전국적인 시위를 유발하였다.

그 결과 민주정의당 대표인 노태우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수용하는 6·29선언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승리를 거둔 통일민주당은 대통령선거에 나설 후보자 선출문제를 놓고 대립하다가 김대중의 동교동계 의원들이 10월 29일 집단탈당하여 평화민주당을 창당함으로써 분당되었다.

김영삼 출마

이후 통일민주당은 상도동계가 중심이 되어 김영삼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고, 1987년 12월 16일 실시된 제13대 대통령선거에 참여하였으나, 유효투표의 28.0%를 획득하는 데 그쳐 36.6%를 획득한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후보에게 패배하였으며, 5개월 후에 실시된 제13대 총선에서 지역구와 전국구를 합쳐 총 59석을 확보하여 124석을 확보한 민주정의당과 70석을 확보한 평화민주당에 이어 제3당이 되었다.

통일민주당 신설합당

이후 한동안 여소야대 국회에서 평화민주당, 신민주공화당 등과 공조하여 노태우 정부를 견제하였으나, 1990년 이른바 3당 합당을 통하여 민주자유당이 창당됨으로써 소멸하였다. 3당합당에 반대하는 잔류파들은 민주당을 창당하였다.[1]

역대 선거결과[편집]

  •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 김영삼 6,337,581표, 28.03% (낙선/2위)
  •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체 의석 득표율 19.73% (원내 3당), 4,680,175표, 전국구 득표율 23.8% (59/299) (전국구 전체 득표수 2위)

상세[편집]

12대 국회에서 제1야당이던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에 대한 당외의 김영삼(金泳三)과 김대중(金大中)의 영향력 행사가 당총재 이민우(李敏雨)의 반발로 뜻대로 되지 않자, 두 사람은 그러한 상태의 신한민주당으로는 민주화 및 대통령직선제개헌 투쟁을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없다고 판단, 자기들의 지지세력들을 탈당시켜 새로운 야당을 만들기로 합의하고, 통일민주당을 창당하였다.

창당대회에서 채택된 정책에 따르면, 이 당의 기본 목표는 남북통일의 우선적 추진, 대통령직선제개헌 관철, 의회민주주의의 수호, 폭압과 착취로부터의 국민해방, 부의 공정한 분배실시 등이다. 총재에는 김영삼이 선출되었으며, 김대중은 정치활동금지가 해제되지 않아 당원으로 입당하지 못하였다.

이 당은 최종적으로 69명의 국회의원을 확보, 제1야당이 되었다. 통일민주당은 창당과 동시에 대통령직선제개헌 관철을 위하여 신한민주당 때보다 더욱 강경하게 투쟁하였다.

개헌논의의 중지를 선언한 전두환(全斗煥) 대통령의 4·13조치를 정면으로 거부하고 5월 27일 비제도권의 반정부 내지 반체제운동단체들과 합동하여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를 결성, 대통령직선제개헌 관철을 위한 집회·시위 등 장외투쟁을 강화하였다.

6월 10일 국민운동본부와 합동으로 '박종철(朴鍾哲)군고문살인은폐규탄 및 호헌철폐국민대회'를 개최, 전국적으로 집회와 시위를 유발하였으며, 6월 26일 '민주헌법쟁취국민평화대행진'을 벌여 전국적인 시위를 유발하였다.

이와 같은 통일민주당과 비제도권단체들이 합동으로 전개 한 장외투쟁의 결과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대표이자 대통령후보인 노태우(盧泰愚)를 통하여 6·29선언이 발표되었다.

이 결과, 통일민주당의 주장대로 헌법은 대통령직선제로 개정되었고, 김대중은 공민권이 복권되어 정치활동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투옥되었던 반정부·반체제 인사들은 대거 석방되었다.

이러한 승리를 거둔 통일민주당은 대통령선거에 나설 후보자선출문제를 놓고 대립하다가 김대중계가 10월 29일 집단탈당하여 평화민주당(平和民主黨)을 결성함으로써 분당되었다.

이에 통일민주당은 김영삼을 대통령후보로 선출하고, 1987년 12월 16일 실시된 제13대 대통령선거에 참여하였으나, 유효투표에 28.0%를 획득, 36.6%를 획득한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5개월 후에 실시된 제13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지역구와 전국구를 합쳐 총 59석을 확보, 125석을 확보한 민주정의당과 70석을 확보한 평화민주당에 이어 제3당이 되었다.

통일민주당은 제13대 국회 개원 이후 김대중의 평화민주당, 김종필(金鍾泌)의 신민주공화당(新民主共和黨)과 공조체제를 구축, 소수의석을 가진 집권당인 민주정의당을 무력화시켰다.

이러한 상황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1989년 말 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의 통합논의가 이루어져 합의가 되자 당 총재인 노태우·김영삼·김종필 3인은 1990년 1월 22일 3당 합당을 정식으로 선언하였다. 이에 통일민주당은 1월 30일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당의 해체를 결의하고 소속정치인들은 3당이 합당하여 만든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의 창당에 참여하였다.[3]

각주[편집]

  1. 1.0 1.1  〈통일민주당〉 《위키백과》
  2.  〈통일민주당〉 《나무위키》
  3.  〈통일민주당 (統一民主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통일민주당 문서는 정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