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아바루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지도)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아바루아 위치.jpg|썸네일|300픽셀|'''아바루아 위치''']]
 
[[파일:아바루아 위치.jpg|썸네일|300픽셀|'''아바루아 위치''']]
  
'''아바루아'''(Avarua)는 [[뉴질랜드]]의 자치령인 [[쿡 제도]](영어: Cook Islands)의 [[수도 (도시)|수도]]로 면적은 67.1km², 인구는 5천 명이다. [[라로통가섬]] 북부에 위치한다. 아바루아는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른 [[열대우림 기후]](Af)로 연중 고온과 강우량이 많다. 진정한 우기나 건기는 없지만 12월부터 4월까지 눈에 띄게 습기가 많은 기간이다. 도시에는 라로통가 [[국제공항]](IATA 공항 코드 : RAR)과 아바티우 [[항구]]가 있다. 1987년 1월 열대성 사이클론 샐리는 수천 명의 사람들을 노숙자로 만들고 아바루아의 건물의 80%를 파손시켰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B0%94%EB%A3%A8%EC%95%84 아바루아]〉, 《위키백과》</ref><ref>〈[https://yoda.wiki/wiki/Avarua 아바루아]〉, 《요다위키》</ref><ref>"[https://en.wikipedia.org/wiki/Avarua Avarua]", ''Wikipedia''</ref>
+
'''아바루아'''(Avarua)는 [[뉴질랜드]]의 자치령인 [[쿡제도]](영어: Cook Islands)의 [[수도 (도시)|수도]]로 면적은 67.1km², 인구는 5천 명이다. [[라로통가섬]] 북부에 위치한다. 아바루아는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른 [[열대우림 기후]](Af)로 연중 고온과 강우량이 많다. 진정한 우기나 건기는 없지만 12월부터 4월까지 눈에 띄게 습기가 많은 기간이다. 도시에는 라로통가 [[국제공항]](IATA 공항 코드 : RAR)과 아바티우 [[항구]]가 있다. 1987년 1월 열대성 사이클론 샐리는 수천 명의 사람들을 노숙자로 만들고 아바루아의 건물의 80%를 파손시켰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B0%94%EB%A3%A8%EC%95%84 아바루아]〉, 《위키백과》</ref><ref>〈[https://yoda.wiki/wiki/Avarua 아바루아]〉, 《요다위키》</ref><ref>"[https://en.wikipedia.org/wiki/Avarua Avarua]", ''Wikipedia''</ref>
  
 
==라로통가섬==
 
==라로통가섬==
40번째 줄: 40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뉴질랜드]]
 
* [[뉴질랜드]]
* [[쿡 제도]]
+
* [[쿡제도]]
 
* [[수도 (도시)|수도]]
 
* [[수도 (도시)|수도]]
 
* [[라로통가섬]]
 
* [[라로통가섬]]

2024년 5월 16일 (목) 15:09 기준 최신판

아바루아
아바루아 위치

아바루아(Avarua)는 뉴질랜드의 자치령인 쿡제도(영어: Cook Islands)의 수도로 면적은 67.1km², 인구는 5천 명이다. 라로통가섬 북부에 위치한다. 아바루아는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른 열대우림 기후(Af)로 연중 고온과 강우량이 많다. 진정한 우기나 건기는 없지만 12월부터 4월까지 눈에 띄게 습기가 많은 기간이다. 도시에는 라로통가 국제공항(IATA 공항 코드 : RAR)과 아바티우 항구가 있다. 1987년 1월 열대성 사이클론 샐리는 수천 명의 사람들을 노숙자로 만들고 아바루아의 건물의 80%를 파손시켰다.[1][2][3]

라로통가섬[편집]

라로통가섬(Rarotonga)은 남태평양에 위치한 뉴질랜드의 자치령인 쿡제도의 주요 이다. 라로통가섬의 면적은 67.39km²로 쿡제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제일 많은 섬이다. 섬 북부에는 쿡제도의 수도인 아바루아가 위치한다. 1823년 7월 25일 선교사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를 수송하던 중 식민지 선박 엔데버호(Endeavour)의 선장인 존 딥스 선장(John Dibbs)은 유럽의 발견자로 인정받았다. 라로통가섬은 남태평양 폴리네시아 쿡제도(뉴질랜드령)의 주도(主島)이다. 화산섬으로 최고점 652m이며 주위가 산호초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대형 선박은 입항할 수 없다. 해양성 열대기후이며 연평균 기온은 24℃, 연평균 강수량은 2,000mm이다. 내륙부는 험준한 화산으로서 열대림이 우거져 목재가 풍부하다. 폴리네시아계 주민은 하천의 범람 등으로 토지가 비옥해진 해안부에 살고 있다. 중심지는 북쪽의 항구 아바루아이다. 1823년 영국인 선교사 J.윌리엄스가 발견한 섬으로 그리스도교를 전파하였으며 1985년 남태평양 비핵지대조약(라로통가 조약)을 채택한 곳이다. 토양이 비옥하여 코프라, 오렌지, 바나나 등의 과일재배와 오렌지주스, 알코올 등의 제조가 발달하였다. 쿡제도의 국회의사당과 국제공항이 라로통가섬에 있다. 라로통가는 많은 리조트, 호텔, 모텔이 있는 매우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4]

라로통가섬은 신장 모양의 화산섬으로 둘레는 32km, 너비는 11.2km이다. 섬은 해저에서 5000m나 솟아 있는 멸종된 플리오세(Pliocene) 또는 플라이스토세(Pleistocene) 화산의 정상이다. 라로통가섬은 230만 년에서 160만 년 사이에 형성되었고, 140만 년에서 110만 년 전에 화산 활동이 있었다. 위치는 맥도날드 핫스팟에 의해 형성된 것과 일치하지만, 나이가 너무 어리고, 단명한 라로통가 핫스팟에 기인한다. 섬의 중심부는 원래 화산 원뿔의 침식된 잔해인 깊은 계곡에 의해 깎인 울창한 숲이 우거진 언덕들로 이루어져 있다. 언덕은 아바티와 타쿠바인을 포함한 많은 방사형 하천에 의해 배수된다. 해발 658m에 있는 테만가는 이 섬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언덕은 해변, 폭풍 능선, 저지대 늪, 충적 퇴적물로 구성된 낮은 해안 평야로 둘러싸여 있다. 섬은 폭 30m~ 900m에 이르는 암초로 둘러싸여 있으며 암초는 깊이가 1.5m로 얕다.[5]

쿡제도[편집]

쿡제도(영어: Cook Islands)는 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에 있는 국가이다. 쿡아일랜드라고도 한다. 쿡제도는 뉴질랜드의 구성국으로서 뉴질랜드 본국과 자유연합 관계이며 국방과 경제를 뉴질랜드에 의존하고 있다. 수도는 라로통가섬에 있는 아바루아(Avarua)이다. 쿡제도는 환초(環蕉)로 구성된 북부 군도와 화산섬으로 구성된 남부 군도로 크게 구분된다. 수도가 위치한 남부의 라로통가섬에 대부분의 인구가 살고 있다. 나머지 인구도 주로 남부 군도에 흩어져 있고, 북부 군도에 거주하는 인구는 2016년 기준으로 1000명도 되지 않는다. 쿡제도는 관광업으로 먹고사는 뉴질랜드 속령 중 하나이다. 1차 산업은 농수산물 수출, 주로 코프라, 파파야, 파인애플, 토마토, 흑진주, 참치가 주요 산물이다. 대부분 뉴질랜드로 가고, 호주나 동아시아, 미주국가로도 수출한다. 2차 산업분은 주로 뉴질랜드에게 의지하는 편이고 약간의 2차 산업인 의류, 수공예 등도 병행된다.[6]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아바루아〉, 《위키백과》
  2. 아바루아〉, 《요다위키》
  3. "Avarua", Wikipedia
  4. 라로통가섬〉, 《위키백과》
  5. 라로통가〉, 《요다위키》
  6. 쿡제도〉,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오세아니아 같이 보기[편집]

오스트랄라시아
멜라네시아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
오세아니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아바루아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