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현대중공업그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39번째 줄: 39번째 줄:
 
* 1997년 : 선박 건조 5천만 톤 돌파, 대형엔진 2천만 마력 생산 돌파
 
* 1997년 : 선박 건조 5천만 톤 돌파, 대형엔진 2천만 마력 생산 돌파
 
* 1999년 : 현대중공업·한국증권거래소 상장
 
* 1999년 : 현대중공업·한국증권거래소 상장
 +
 +
'''2000~2009'''
 +
* 2000년 : 현대중공업 엔진사업부·국내최초 중형 '힘센(HiMSEN) 엔진' 독자개발, 테크노디자인연구소 개소
 +
* 2001년 : 건설장비 중국 판매실적 1위
 +
* 2002년 :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 현대중공업그룹 출범, 현대중공업·한라중공업 인수 후 현대삼호중공업 설립
 +
* 2003년 : 산업용 로봇 연 1천 대 생산기록 돌파
 +
* 2004년 : 현대중공업·세계 최대 프로펠러 제작 (중량: 106.3 톤/ 지름: 10 미터), 세계최초 육상건조 선박 진수
 +
* 2005년 : 국내 최초 산업용 로봇 생산누계 1만 대 돌파
 +
* 2007년 : 태양광설비 공장 완공·그린에너지 사업 진출, 바르찔라-현대엔진㈜ 설립
 +
* 2008년 : [[현대힘스㈜]] 설립, [[현대중공업스포츠㈜]] 설립(울산현대축구단), 건설장비 인도 생산 공장 설립
 +
* 2009년 : 해양사업부, 세계 최초 FPSO 전문 'H도크' 완공, 세계 최초 와이브로(무선광대역통신망) 적용한 '디지털 조선소' 가동, [[현대코스모㈜]] 설립
  
  
 
== 계열사 ==
 
== 계열사 ==
 +
 +
=== 조선·해양 ===
 +
 +
=== 산업기계 ===
 +
 +
=== 에너지 ===
 +
 +
=== 기타 서비스 ===
  
 
== 경영 ==
 
== 경영 ==

2021년 7월 27일 (화) 17:15 판

현대중공업그룹
현대중공업그룹

현대중공업그룹현대중공업을 주축으로 하는 조선 및 중화학 관련 기업집단이다. 2002년 2월, 현대그룹에서 분리하였다.[1]

개요

현대중공업그룹범현대가계 중공업 특화 기업집단으로 2020년 1월 기준으로 재계서열 8위다. 지주회사는 현대중공업지주로,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6남인 정몽준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아 나온 기업집단이지만, 정몽준이 아니라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 중이다. 정몽준은 일찍이 현대중공업 사장, 회장을 지냈으나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되면서 정계에 진출한 후로는 현대중공업 고문이라는 직함을 쓰다 이후 고문 자리에서도 내려와 대주주로만 남아있다. 계열 분리가 된 지 20년 가까이 흘렀지만, 모체인 현대그룹 고유의 피라미드 로고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게 특징이다.[2]

연혁

현대중공업그룹은 1972년 조용한 어촌마을에서 창조와 개척 정신으로 조선사업을 시작하여 세계적인 종합중공업 회사로 성장하였다. 조선 사업을 통해 축적된 기술로 해양∙플랜트, 엔진기계, 전기전자시스템, 그린에너지, 건설장비 사업에도 진출하여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970~1979

  • 1970년 : 현대건설㈜ 조선사업부 발족
  • 1971년 : 현대울산조선소 사업계획 정부 인가, 그리스 선주 리바노스(Livanos)로부터 26만 톤급 초대형 원유운반선 2척 수주
  • 1972년 : 현대울산조선소 기공식
  • 1973년 : 현대조선중공업주식회사 설립 (대표이사: 정주영)
  • 1974년 : 현대조선·제 1/2 도크 완공과 동시에 1/2호선 (애틀란틱 배런, 애틀랜틱 배러니스) 명명
  • 1975년 : 현대미포조선㈜ 설립, 수리조선사업 진출, 현대조선·3도크 완공
  • 1976년 : 현대조선·엔진사업부 발족, 사우디 주베일 산업항 공사 계약 (계약금액: 9억 3,500 달러)
  • 1977년 : 중전기사업부(현대일렉트릭앤시스템㈜ 전신) 발족
  • 1978년 : 현대조선·현대중공업㈜로 상호 변경, 엔진사업부·현대엔진공업㈜ 법인 독립, 중전기사업부·현대중전기㈜ 법인 독립, 현대엔진·세계 최대 선박 엔진공장 준공 (6만 5천평 대지, 연 90만 마력 생산)
  • 1979년 : 현대미포조선·15만 톤급 수리전용도크 준공, 현대엔진·1호기 시운전 (MAN B&W 7L55GF 9380 마력)

1980~1989

  • 1980년 : 현대중공업·한국형 구축함 1호 진수 (울산함)
  • 1982년 : 현대미포조선·15만 톤급 도크 완공 세계 최대 수리조선소 출범, 플랜트사업부·해외 발전설비 첫 턴키 수주(사우디 마카타이프 화력발전설비)
  • 1983년 : 중기계사업본부(㈜현대건설기계 전신) 설립으로 건설장비 사업 출범, 현대용접기술연구소 준공(현대산업기술연구소 전신), 현대미포조선·한국증권거래소 상장
  • 1984년 : 현대중공업·선박해양연구소 준공
  • 1985년 : 현대중공업·철구사업부와 현대해양개발㈜과 합병 해양사업부 출범, 해양사업부·세계 최대 해양철구조물 美 엑슨자켓 수주(자켓 2기, 9만 990톤)
  • 1986년 : 현대중공업·세계 최대 광석운반선 인도
  • 1987년 : 현대중공업·조선부문 수주/생산 세계 1위 선정(일본 다이아몬드지),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설립
  • 1988년 : 건설장비 국내시판 개시, 현대로보트산업㈜ 설립
  • 1989년 : 건설장비사업부·현대중장비산업㈜로 독립, 현대중공업·현대엔진공업㈜ 합병

1990~1999

  • 1993년 : 현대중공업·'연간 선박건조량 세계 최대', '최대 화물선', '최다 방문객' 기네스북 등재, 현대중공업·현대중전기㈜와 현대중장비㈜ 합병 후 사업부 체제의 종합중공업 회사로 발돋움
  • 1994년 : 현대중공업·한국 최초 LNG선 인도 (현대상선)
  • 1995년 : 건설장비사업부, 벨기에 엔트워프 중장비공장 준공
  • 1996년 : 현대미포조선·신조 사업 전환 베트남 비나신 수리조선소 설립, 현대중공업·VLCC 전용 제 2야드(8/9 도크) 가동
  • 1997년 : 선박 건조 5천만 톤 돌파, 대형엔진 2천만 마력 생산 돌파
  • 1999년 : 현대중공업·한국증권거래소 상장

2000~2009

  • 2000년 : 현대중공업 엔진사업부·국내최초 중형 '힘센(HiMSEN) 엔진' 독자개발, 테크노디자인연구소 개소
  • 2001년 : 건설장비 중국 판매실적 1위
  • 2002년 :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 현대중공업그룹 출범, 현대중공업·한라중공업 인수 후 현대삼호중공업 설립
  • 2003년 : 산업용 로봇 연 1천 대 생산기록 돌파
  • 2004년 : 현대중공업·세계 최대 프로펠러 제작 (중량: 106.3 톤/ 지름: 10 미터), 세계최초 육상건조 선박 진수
  • 2005년 : 국내 최초 산업용 로봇 생산누계 1만 대 돌파
  • 2007년 : 태양광설비 공장 완공·그린에너지 사업 진출, 바르찔라-현대엔진㈜ 설립
  • 2008년 : 현대힘스㈜ 설립, 현대중공업스포츠㈜ 설립(울산현대축구단), 건설장비 인도 생산 공장 설립
  • 2009년 : 해양사업부, 세계 최초 FPSO 전문 'H도크' 완공, 세계 최초 와이브로(무선광대역통신망) 적용한 '디지털 조선소' 가동, 현대코스모㈜ 설립


계열사

조선·해양

산업기계

에너지

기타 서비스

경영

각주

  1. 현대중공업그룹〉《위키백과》
  2. 현대중공업그룹〉, 《나무위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현대중공업그룹 문서는 대기업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