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구글 애드센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
+
[[파일:google_adsense.png|썸네일|200픽셀|'''구글 애드센스''' 로고]]
 +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 구글 콘텐츠 사이트의 구글 네트워크에 있는 웹사이트 퍼블리셔들이 사이트 콘텐츠와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대화형 미디어 광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광고들은 구글에 의해 관리, 분류, 유지되고 클릭당 또는 인상당 기준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ref name="wiki_en">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oogle_AdSense#cite_note-4 Google AdSense]〉, 《WIKIPEDIA》, 2020-08-05</ref>
 +
웹사이트 소유자는 애드센스에 가입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구글과 나눌 수 있다. 광고 수익은 사용자가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광고 게시자는 구글에 광고비를 지급하고, 구글은 그렇게 적립된 광고비를 웹사이트 제작자와 나누어 갖는다. 애드센스는 구글에 가입된 광고풀 가운데 웹페이지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광고가 나오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 공익광고가 나오게 된다. 공익광고는 사용자가 클릭을 했다고 해도 수익이 생기지 않는다.<ref name="wiki_ko">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5%AC%EA%B8%80_%EC%95%A0%EB%93%9C%EC%84%BC%EC%8A%A4 구글 애드센스]〉, 《위키백과》, 2020-06-21</ref>
 +
구글은 행동당 비용(cost-per-action) 서비스를 베타 테스트했지만, 2008년 10월 더블클릭 오퍼링(또한 구글이 소유하고 있다)에 유리하게 서비스를 중단했다.<ref name="google">구글 애드센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google.co.kr/intl/ko_kr/adsense/start/ </ref> 2014년 1분기에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전체 매출의 22%인 34억 달러(연간 136억 달러)를 벌어들였다. AdSense는 AdChoice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때문에 AdSense 광고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모양의 AdChoice 아이콘을 포함한다.<ref>Pamela Parker, 〈[https://searchengineland.com/google-revamps-labels-on-ads-to-comply-with-industry-effort-69424 Goodbye“Ads By Google” & Hello “AdChoices” As Google’s Backs Industry Label Effort]〉, 《Search Endine Land》, 2011-03-22</ref> 이 프로그램은 HTTP 쿠키에서도 운영된다. 1110만개가 넘는 웹사이트들이 애드센스를 사용한다. <ref>built with, 〈[https://trends.builtwith.com/websitelist/Google-Adsense Websites using Google Adsense]〉, 《built with》, 2020-09-07</ref>
 +
 
 +
{{각주}}
 +
 
 +
==참고자료==
 +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oogle_AdSense#cite_note-4 Google AdSense]〉, 《WIKIPEDIA》, 2020-08-05
 +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5%AC%EA%B8%80_%EC%95%A0%EB%93%9C%EC%84%BC%EC%8A%A4 구글 애드센스]〉, 《위키백과》, 2020-06-21
 +
* 구글 애드센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google.co.kr/intl/ko_kr/adsense/start/
 +
* Pamela Parker, 〈[https://searchengineland.com/google-revamps-labels-on-ads-to-comply-with-industry-effort-69424 Goodbye“Ads By Google” & Hello “AdChoices” As Google’s Backs Industry Label Effort]〉, 《Search Endine Land》, 2011-03-22
 +
* built with, 〈[https://trends.builtwith.com/websitelist/Google-Adsense Websites using Google Adsense]〉, 《built with》, 2020-09-07
  
{{로고 필요}}
 
 
{{솔루션|토막글}}
 
{{솔루션|토막글}}

2020년 9월 9일 (수) 10:30 판

구글 애드센스 로고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 구글 콘텐츠 사이트의 구글 네트워크에 있는 웹사이트 퍼블리셔들이 사이트 콘텐츠와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대화형 미디어 광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광고들은 구글에 의해 관리, 분류, 유지되고 클릭당 또는 인상당 기준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1] 웹사이트 소유자는 애드센스에 가입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구글과 나눌 수 있다. 광고 수익은 사용자가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광고 게시자는 구글에 광고비를 지급하고, 구글은 그렇게 적립된 광고비를 웹사이트 제작자와 나누어 갖는다. 애드센스는 구글에 가입된 광고풀 가운데 웹페이지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광고가 나오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 공익광고가 나오게 된다. 공익광고는 사용자가 클릭을 했다고 해도 수익이 생기지 않는다.[2] 구글은 행동당 비용(cost-per-action) 서비스를 베타 테스트했지만, 2008년 10월 더블클릭 오퍼링(또한 구글이 소유하고 있다)에 유리하게 서비스를 중단했다.[3] 2014년 1분기에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전체 매출의 22%인 34억 달러(연간 136억 달러)를 벌어들였다. AdSense는 AdChoice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때문에 AdSense 광고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모양의 AdChoice 아이콘을 포함한다.[4] 이 프로그램은 HTTP 쿠키에서도 운영된다. 1110만개가 넘는 웹사이트들이 애드센스를 사용한다. [5]

각주

  1. WIKIPEDIA, 〈Google AdSense〉, 《WIKIPEDIA》, 2020-08-05
  2. 위키백과, 〈구글 애드센스〉, 《위키백과》, 2020-06-21
  3. 구글 애드센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google.co.kr/intl/ko_kr/adsense/start/
  4. Pamela Parker, 〈Goodbye“Ads By Google” & Hello “AdChoices” As Google’s Backs Industry Label Effort〉, 《Search Endine Land》, 2011-03-22
  5. built with, 〈Websites using Google Adsense〉, 《built with》, 2020-09-07

참고자료


  의견.png 이 구글 애드센스 문서는 솔루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