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구글 애드센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google_adsense.png|썸네일|200픽셀|'''구글 애드센스''' 로고]]
+
[[파일:google_adsense.png|썸네일|200픽셀|구글 애드센스 로고]]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 구글 콘텐츠 사이트의 구글 네트워크에 있는 웹사이트 퍼블리셔들이 사이트 콘텐츠와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대화형 미디어 광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광고들은 구글에 의해 관리, 분류, 유지되고 클릭당 또는 인상당 기준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ref name="wiki_en">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oogle_AdSense#cite_note-4 Google AdSense]〉, 《WIKIPEDIA》, 2020-08-05</ref>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 구글 콘텐츠 사이트의 구글 네트워크에 있는 웹사이트 퍼블리셔들이 사이트 콘텐츠와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대화형 미디어 광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광고들은 구글에 의해 관리, 분류, 유지되고 클릭당 또는 인상당 기준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ref name="wiki_en">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oogle_AdSense#cite_note-4 Google AdSense]〉, 《WIKIPEDIA》, 2020-08-05</ref>
 
웹사이트 소유자는 애드센스에 가입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구글과 나눌 수 있다. 광고 수익은 사용자가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광고 게시자는 구글에 광고비를 지급하고, 구글은 그렇게 적립된 광고비를 웹사이트 제작자와 나누어 갖는다. 애드센스는 구글에 가입된 광고풀 가운데 웹페이지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광고가 나오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 공익광고가 나오게 된다. 공익광고는 사용자가 클릭을 했다고 해도 수익이 생기지 않는다.<ref name="wiki_ko">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5%AC%EA%B8%80_%EC%95%A0%EB%93%9C%EC%84%BC%EC%8A%A4 구글 애드센스]〉, 《위키백과》, 2020-06-21</ref>
 
웹사이트 소유자는 애드센스에 가입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구글과 나눌 수 있다. 광고 수익은 사용자가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광고 게시자는 구글에 광고비를 지급하고, 구글은 그렇게 적립된 광고비를 웹사이트 제작자와 나누어 갖는다. 애드센스는 구글에 가입된 광고풀 가운데 웹페이지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광고가 나오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 공익광고가 나오게 된다. 공익광고는 사용자가 클릭을 했다고 해도 수익이 생기지 않는다.<ref name="wiki_ko">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5%AC%EA%B8%80_%EC%95%A0%EB%93%9C%EC%84%BC%EC%8A%A4 구글 애드센스]〉, 《위키백과》, 2020-06-21</ref>
15번째 줄: 15번째 줄:
 
#평판이 좋지 않은 웹 사이트로 연결하거나 리디렉션하지 않는다.
 
#평판이 좋지 않은 웹 사이트로 연결하거나 리디렉션하지 않는다.
 
모든 애드 센스 수입의 원천은 광고 프로그램으로, Vickrey 2 차 가격 경매를 기반으로 한 복잡한 가격 모델을 가지고 있다. 애드 센스에서는 광고주가 밀봉된 입찰 (예 : 경쟁자가 관측할 수 없는 입찰서)을 제출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클릭이 발생하면 광고주는 두 번째로 높은 입찰가보다 한 번의 입찰가 증가분만 지불한다. Google은 현재 애드센스에서 창출한 수익의 68%를 콘텐츠 네트워크 파트너와 공유하고 있으며, 애드 센스에서 창출한 수익의 51%를 검색용 애드센스 파트너와 공유하고 있다.<ref>Patrick Pichette, 〈[https://web.archive.org/web/20100930125519/http://investor.google.com/documents/20100630_google_10Q.html 분기별 보고서]〉, 《WayBackMachine》, 2010-07-30</ref> 2015년 6월 18일 Google은 새로운 로고로 애드센스의 리브랜딩을 발표했다.<ref>KP Krishna, 〈[http://previewtech.net/google-adsense-rebrands-with-new-logo/ Google Adsense Rebrands with new Logo]〉, 《PreviewTech》, 2015-06-19</ref>
 
모든 애드 센스 수입의 원천은 광고 프로그램으로, Vickrey 2 차 가격 경매를 기반으로 한 복잡한 가격 모델을 가지고 있다. 애드 센스에서는 광고주가 밀봉된 입찰 (예 : 경쟁자가 관측할 수 없는 입찰서)을 제출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클릭이 발생하면 광고주는 두 번째로 높은 입찰가보다 한 번의 입찰가 증가분만 지불한다. Google은 현재 애드센스에서 창출한 수익의 68%를 콘텐츠 네트워크 파트너와 공유하고 있으며, 애드 센스에서 창출한 수익의 51%를 검색용 애드센스 파트너와 공유하고 있다.<ref>Patrick Pichette, 〈[https://web.archive.org/web/20100930125519/http://investor.google.com/documents/20100630_google_10Q.html 분기별 보고서]〉, 《WayBackMachine》, 2010-07-30</ref> 2015년 6월 18일 Google은 새로운 로고로 애드센스의 리브랜딩을 발표했다.<ref>KP Krishna, 〈[http://previewtech.net/google-adsense-rebrands-with-new-logo/ Google Adsense Rebrands with new Logo]〉, 《PreviewTech》, 2015-06-19</ref>
 +
 +
==역사==
 +
[[파일:Adsense_logo_(2015~2018).png|썸네일|200픽셀|2015~2018년 구글 애드센스 로고]]
 +
Google은 2003년 3월 원래 콘텐츠 타겟팅 광고라는 이름의 애드 센스 프로그램을 시작했다.<ref>buckworks & eWhisper & skibum, 〈[https://www.webmasterworld.com/forum81/376.htm Google Content-Targeted Advertising]〉, 《WebMasterWorld》, 2014-03-04</ref> 애드센스 이름은 원래 애드센스에 대한 경쟁 제품인 Applied Semantics에서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Google이 2003년 4월 Applied Semantics를 인수한 후 Google에 의해 채택되었다.<ref>Google, 〈[http://googlepress.blogspot.com/2004/04/google-acquires-applied-semantics.html Google Acquires Applied Semantics]〉, 《Googlepress》, 2003-04-23</ref> 일부 광고주는 애드 센스가 Google Ads 보다 더 나쁜 결과를 낳았다고 불평했다. 웹 페이지의 콘텐츠와 문맥적으로 관련된 광고를 게재하고 해당 콘텐츠는 검색 결과보다 사용자의 상업적 욕구와 관련이 적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꽃 전용 블로그를 검색하는 사람은 꽃과 관련된 용어를 검색하는 사람보다 꽃 주문에 관심이 적었다. 그 결과로 2004년 Google은 광고주가 애드센스 네트워크를 탈퇴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
 +
Gmail 의 창립자인 Paul Buchheit는 Google의 이메일 서비스 내에서 광고를 실행하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와 다른 사람들은 그 아이디어를 매우 성공적인 제품으로 채택한 팀을 조직한 Sergey Brin의 지원을 받은 Susan Wojcicki라고 말한다.<ref>MIKE SWIFT, 〈[https://www.mercurynews.com/2011/02/03/susan-wojcicki-the-most-important-googler-youve-never-heard-of/ Susan Wojcicki: The most important Googler you’ve never heard of]〉, 《The Mercury News》, 2011-02-03</ref> 2005년 초까지 애드센스는 Google 총 수익의 약 15%를 차지했다. [13] 2009년에 Google 애드센스는 여러 네트워크에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0년 2월 Google 애드센스는 더 관련성 높은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문맥 일치에 검색 기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ref>Julianne Pepitone, 〈[https://money.cnn.com/2010/02/12/technology/google_adsense/index.htm https://money.cnn.com/2010/02/12/technology/google_adsense/index.htm]〉, 《CNN Money》, 2010-02-12</ref> 2014년 1월 21일 Google 애드센스는 게시자가 광고를 직접 판매할 수있는 도구인 직접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기능은 2015년 2월 10일에 사용 중지되었다.
  
 
{{각주}}
 
{{각주}}
30번째 줄: 36번째 줄:
 
* Patrick Pichette, 〈[https://web.archive.org/web/20100930125519/http://investor.google.com/documents/20100630_google_10Q.html 분기별 보고서]〉, 《WayBackMachine》, 2010-07-30
 
* Patrick Pichette, 〈[https://web.archive.org/web/20100930125519/http://investor.google.com/documents/20100630_google_10Q.html 분기별 보고서]〉, 《WayBackMachine》, 2010-07-30
 
* KP Krishna, 〈[http://previewtech.net/google-adsense-rebrands-with-new-logo/ Google Adsense Rebrands with new Logo]〉, 《PreviewTech》, 2015-06-19
 
* KP Krishna, 〈[http://previewtech.net/google-adsense-rebrands-with-new-logo/ Google Adsense Rebrands with new Logo]〉, 《PreviewTech》, 2015-06-19
 +
* buckworks & eWhisper & skibum, 〈[https://www.webmasterworld.com/forum81/376.htm Google Content-Targeted Advertising]〉, 《WebMasterWorld》, 2014-03-04
 +
* Google, 〈[http://googlepress.blogspot.com/2004/04/google-acquires-applied-semantics.html Google Acquires Applied Semantics]〉, 《Googlepress》, 2003-04-23
 +
* MIKE SWIFT, 〈[https://www.mercurynews.com/2011/02/03/susan-wojcicki-the-most-important-googler-youve-never-heard-of/ Susan Wojcicki: The most important Googler you’ve never heard of]〉, 《The Mercury News》, 2011-02-03
 +
* Julianne Pepitone, 〈[https://money.cnn.com/2010/02/12/technology/google_adsense/index.htm https://money.cnn.com/2010/02/12/technology/google_adsense/index.htm]〉, 《CNN Money》, 2010-02-12
  
 
{{솔루션|토막글}}
 
{{솔루션|토막글}}

2020년 9월 9일 (수) 11:56 판

구글 애드센스 로고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 구글 콘텐츠 사이트의 구글 네트워크에 있는 웹사이트 퍼블리셔들이 사이트 콘텐츠와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대화형 미디어 광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광고들은 구글에 의해 관리, 분류, 유지되고 클릭당 또는 인상당 기준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1] 웹사이트 소유자는 애드센스에 가입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구글과 나눌 수 있다. 광고 수익은 사용자가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광고 게시자는 구글에 광고비를 지급하고, 구글은 그렇게 적립된 광고비를 웹사이트 제작자와 나누어 갖는다. 애드센스는 구글에 가입된 광고풀 가운데 웹페이지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광고가 나오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 공익광고가 나오게 된다. 공익광고는 사용자가 클릭을 했다고 해도 수익이 생기지 않는다.[2] 구글은 행동당 비용(cost-per-action) 서비스를 베타 테스트했지만, 2008년 10월 더블클릭 오퍼링(또한 구글이 소유하고 있다)에 유리하게 서비스를 중단했다.[3] 2014년 1분기에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전체 매출의 22%인 34억 달러(연간 136억 달러)를 벌어들였다. AdSense는 AdChoice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때문에 AdSense 광고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모양의 AdChoice 아이콘을 포함한다.[4] 이 프로그램은 HTTP 쿠키에서도 운영된다. 1110만개가 넘는 웹사이트들이 애드센스를 사용한다. [5]

개요

Google은 자사의 기술을 사용하여 웹 사이트 콘텐츠,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 및 기타 요인을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한다. Google의 타겟 광고 시스템으로 광고를 원하는 사람들은 Google Ads를 통해 등록 할 수 있다. 애드 센스는 웹 사이트와 블로그에 배너 및 반응 형 광고를 만들고 배치하는 데 특화된 가장 인기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가되었다. 반응형 광고[6] 는 사용자의 기기 크기에 따라 조정된다. 이러한 광고는 방해가 덜 되며 광고 내용은 종종 웹 사이트와 관련이 있다. 많은 웹 사이트에서 애드 센스를 사용하여 웹 콘텐츠 (웹 사이트, 온라인 동영상, 온라인 오디오 콘텐츠 등)에서 수익을 창출하며 가장 인기있는 광고 네트워크다.[7] 애드 센스는 충분한 자원이나 기타 주요 수익원이없는 소규모 웹 사이트에서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데 특히 유용함이 입증되었다. 웹 사이트에 문맥 관련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웹마스터는 웹 사이트 페이지에 간단한 자바 스크립트 코드를 배치한다. 애드 센스 웹 사이트의 여러 게시자 사례 연구에서 언급했듯이 콘텐츠가 풍부한 웹 사이트는이 광고 프로그램으로 매우 성공적이었다. Google은 애드 센스 광고를 페이지 당 3개로 제한하는 정책을 제거했다. 이제 애드 센스 게시자는 웹 페이지에 충분한 콘텐츠가있는 경우 페이지에 여러 애드 센스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 적절한 광고 게재 위치를 보장하기위한 Google 가이드 라인[8]에 따르면 광고 및 홍보 자료는 페이지 콘텐츠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일부 웹마스터는 애드 센스 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주로 모범 사례[9]에 따라 이를 수행한다.

  1. 웹마스터는 사용자를 끌어들이고 참여시켜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양질의 콘텐츠를 생성한다.
  2. 웹마스터 가이드 라인을 따른다.
  3. 웹 사이트에 광고가 넘치지 않도록한다.
  4.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시도하지 않는다. Google은 웹마스터가 클릭률을 높이기 위해 "내 애드센스 광고 클릭"과 같은 문구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 허용되는 문구는 "스폰서 링크(Sponsored Links)"및 "광고(Advertisements)"이다.
  5. 평판이 좋지 않은 웹 사이트로 연결하거나 리디렉션하지 않는다.

모든 애드 센스 수입의 원천은 광고 프로그램으로, Vickrey 2 차 가격 경매를 기반으로 한 복잡한 가격 모델을 가지고 있다. 애드 센스에서는 광고주가 밀봉된 입찰 (예 : 경쟁자가 관측할 수 없는 입찰서)을 제출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클릭이 발생하면 광고주는 두 번째로 높은 입찰가보다 한 번의 입찰가 증가분만 지불한다. Google은 현재 애드센스에서 창출한 수익의 68%를 콘텐츠 네트워크 파트너와 공유하고 있으며, 애드 센스에서 창출한 수익의 51%를 검색용 애드센스 파트너와 공유하고 있다.[10] 2015년 6월 18일 Google은 새로운 로고로 애드센스의 리브랜딩을 발표했다.[11]

역사

2015~2018년 구글 애드센스 로고

Google은 2003년 3월 원래 콘텐츠 타겟팅 광고라는 이름의 애드 센스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2] 애드센스 이름은 원래 애드센스에 대한 경쟁 제품인 Applied Semantics에서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Google이 2003년 4월 Applied Semantics를 인수한 후 Google에 의해 채택되었다.[13] 일부 광고주는 애드 센스가 Google Ads 보다 더 나쁜 결과를 낳았다고 불평했다. 웹 페이지의 콘텐츠와 문맥적으로 관련된 광고를 게재하고 해당 콘텐츠는 검색 결과보다 사용자의 상업적 욕구와 관련이 적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꽃 전용 블로그를 검색하는 사람은 꽃과 관련된 용어를 검색하는 사람보다 꽃 주문에 관심이 적었다. 그 결과로 2004년 Google은 광고주가 애드센스 네트워크를 탈퇴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Gmail 의 창립자인 Paul Buchheit는 Google의 이메일 서비스 내에서 광고를 실행하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와 다른 사람들은 그 아이디어를 매우 성공적인 제품으로 채택한 팀을 조직한 Sergey Brin의 지원을 받은 Susan Wojcicki라고 말한다.[14] 2005년 초까지 애드센스는 Google 총 수익의 약 15%를 차지했다. [13] 2009년에 Google 애드센스는 여러 네트워크에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0년 2월 Google 애드센스는 더 관련성 높은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문맥 일치에 검색 기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5] 2014년 1월 21일 Google 애드센스는 게시자가 광고를 직접 판매할 수있는 도구인 직접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기능은 2015년 2월 10일에 사용 중지되었다.

각주

  1. WIKIPEDIA, 〈Google AdSense〉, 《WIKIPEDIA》, 2020-08-05
  2. 위키백과, 〈구글 애드센스〉, 《위키백과》, 2020-06-21
  3. 구글 애드센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google.co.kr/intl/ko_kr/adsense/start/
  4. Pamela Parker, 〈Goodbye“Ads By Google” & Hello “AdChoices” As Google’s Backs Industry Label Effort〉, 《Search Endine Land》, 2011-03-22
  5. built with, 〈Websites using Google Adsense〉, 《built with》, 2020-09-07
  6. Google, 〈About the responsive behavior of display ad units〉, 《Google》
  7. W3Tech, 〈웹 사이트를 위한 광고 네트워크의 사용〉, 《W3Tech》, 2012-08-25
  8. Google, 〈애드 센스 권장 사항 : 성공을위한 준비〉, 《Google》
  9. Google, 〈[1]〉, 《Google》
  10. Patrick Pichette, 〈분기별 보고서〉, 《WayBackMachine》, 2010-07-30
  11. KP Krishna, 〈Google Adsense Rebrands with new Logo〉, 《PreviewTech》, 2015-06-19
  12. buckworks & eWhisper & skibum, 〈Google Content-Targeted Advertising〉, 《WebMasterWorld》, 2014-03-04
  13. Google, 〈Google Acquires Applied Semantics〉, 《Googlepress》, 2003-04-23
  14. MIKE SWIFT, 〈Susan Wojcicki: The most important Googler you’ve never heard of〉, 《The Mercury News》, 2011-02-03
  15. Julianne Pepitone, 〈https://money.cnn.com/2010/02/12/technology/google_adsense/index.htm〉, 《CNN Money》, 2010-02-12

참고자료


  의견.png 이 구글 애드센스 문서는 솔루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