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포트모르즈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오세아니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포트모르즈비''' 파일:포트모르즈비 위치.jpg|썸네일|300픽셀|'''포트...)
 
(지도)
 
40번째 줄: 40번째 줄:
 
|{{파푸아뉴기니 행정 지도}}
 
|{{파푸아뉴기니 행정 지도}}
 
|{{뉴기니섬 국가 지도}}
 
|{{뉴기니섬 국가 지도}}
 +
}}
 +
{{다단2
 +
|{{파푸아만 행정 지도}}
 +
|{{산호해 국가 지도}}
 
}}
 
}}
 
{{다단2
 
{{다단2

2024년 5월 20일 (월) 21:31 기준 최신판

포트모르즈비
포트모르즈비 위치

포트모르즈비(영어: Port Moresby, 톡 피신: Pot Mosbi, 문화어: 포트모레스비) 혹은 줄여서 모스비(Mosbi)는 파푸아뉴기니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며, 중앙주와 수도권의 주도이기도 하다. 인구는 40만 명이며 호주뉴질랜드를 제외한 남서 태평양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이다.[1]

개요[편집]

포트모르즈비는 태평양 뉴기니섬의 남서쪽, 파푸아 반도의 남동부 해안에 있는 파푸아만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포트모르즈비는 주도인 센트럴주에 둘러싸여 있지만 해당 주의 일부가 아니라 국가 수도 지구를 형성한다. 포트모르즈비는 1526년 포르투갈 탐험가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1873년 존 모르즈비(John Moresby)에 의해 최초로 세워졌으며, 도시의 이름은 존 모즈비의 아버지 페어팩스 모르즈비(Fairfax Moresby) 제독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때부터 포트모르즈비는 파푸아뉴기니의 행정중심지 역할을 했고 현재도 파푸아뉴기니의 수도로 남아있다. 포트모르즈비는 19세기 후반에 무역 중심지로 등장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이곳은 1942~43년 일본 제국군이 동남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에서 호주를 차단하기 위한 집결지이자 공군 기지로 정복하기 위한 주요 목표였다. 현재 포트모르즈비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 중 하나로 강간, 강도, 살인, 대마초, 마약 카르텔 마약 밀매 등의 높은 범죄 발생률로 치안 상태가 좋지 않으며, 사실상 무법 천지나 다름없다. 교육 환경도 열약하여 학교에 가더라도 제대로 된 교육을 받기 어려우며, 고질적인 경제난으로 실업률은 156~254% 사이로 알려져있다. 포트모르즈비는 2018년 11월 APEC 정상회의를 주최했으나 수도의 폭력 범죄 명성을 감안할 때 보안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2024년 1월 10일, 경제적 위기와 공무원 삭감 및 세금 부과 관련 루머 등으로 인해 폭동이 일어났고 9명이 사망했다.[2]

기후[편집]

포트모르즈비는 열대 사바나 기후(Köppen : Aw)로 일년 내내 상대적으로 기온이 일정하다. 포트모르즈비의 연평균 강우량은 898.8mm로 뉴기니에서 가장 건조한 곳이다. 우기는 12월에 시작하여 5월에 끝난다. 건기는 나머지 6개월 동안 지속된다. 이는 남동 무역풍이 해안과 평행하게 흐르고 도시가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평균 최고 기온은 연중 시기에 따라 28~32°C범위인 반면, 평균 최저 기온은 23°C 부근을 맴돌며 계절적 변화가 거의 없다. 건기에는 도시의 날씨가 약간 더 시원해지는 경향이 있다.[3]

역사[편집]

현재 포트모르즈비라고 알려진 이 지역은 유럽인이 도착하기 전에 모투코이타 부족이 거주했다. 모투족은 원래 해안에 거주했고 코이타부족은 내륙에 살았다. 그들의 언어인 모투는 파푸아뉴기니의 공용어인 히리 모투의 기초가 되었다. 1960년대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HMS 바실리스크의 영국인 선장 존 모르즈비가 처음 방문했을 때 포트모르즈비에는 이미 중요한 무역 센터가 있었다. 그는 뉴기니의 동쪽 끝에 있는 산호해를 항해했고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세 개의 섬을 보고 그곳에 상륙했다. 1873년 2월 20일 오전 10시 그는 영국을 위해 그 땅을 주장했고 그의 아버지인 페어팩스 모르즈비(Fairfax Moresby) 제독의 이름을 따서 그 땅의 이름을 지었다.

1883년 퀸즐랜드는 독일이 섬의 동쪽 절반을 장악할 것을 우려하여 뉴기니섬의 남동쪽 구석(이후 파푸아로 알려짐)을 합병하려고 시도했다. 1884년 독일의 뉴기니 합병 이후 영국 당국은 합병 승인을 거부했지만 4년 뒤 파푸아에 영국령 뉴기니로 보호령을 세웠다.

1905년 연합된 호주 정부는 1906년에 발효된 파푸아 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포트모르즈비를 수도로 한 파푸아를 호주 통치를 지휘하도록 이전했다. 그때부터 1941년까지 포트모르즈비는 천천히 성장했다. 주요 성장은 항만 시설과 기타 서비스가 점차 개선되는 반도였다. 최초의 정육점과 식료품점은 1909년에 문을 열었고 전기는 1925년에 도입되었고 수도관은 1941년에 공급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일부 파푸아 남성은 파푸아 보병대대에 입대했고 다른 일부는 긴 정글 행군 동안 연합군과 일본군에 대한 지원으로 오솔길과 험한 지형을 통해 수송병으로 입대했다. 역사가 윌리엄 맨체스터(William Manchester)는 미국의 카이사르인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의 전기에서 짐꾼 역할을 하는 것은 원주민들이 허용할 수 있는 자원봉사 활동 목록에 포함되지 않으며 큰 유인 없이는 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트모르즈비의 많은 파푸아 주민들은 일본의 침략 위협이 나타나자 고향 마을로 돌아가거나 수용소로 대피했다. 1942년 9월까지 이 도시는 연합군의 중요한 기지 단지였으며 수천 명의 군대가 이 지역에 주둔하거나 더 자주 이곳을 통과하여 배치되었다. 이는 섬의 마지막 연합군 요새였기 때문이다. 연합군이 직접 공격 전쟁을 시작하면서 일본의 진격을 저지하는 핵심 단계이자 도약 지점이었다. 맥아더 장군은 1942년 11월부터 1944년 10월까지 포트모르즈비에 그의 사령부를 두었다.

1918년부터 호주의 통치를 받던 파푸아와 구 독일령 뉴기니가 1945년에 단일 호주 행정부 하에 합병되면서 파푸아뉴기니 준주가 형성되었다. 비록 몇몇 법률들이 두 개의 영토에 남아 있고 그대로 남아있지만, 오테의 양쪽에 있는 지방으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다. 포트모르즈비는 새로운 통합 영토의 수도가 되었고 공공 서비스 확대의 중심지가 되었다. 포트모르즈비는 1972년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고 오알라 오알라-라루아(Oala Oala-Rarua)가 초대 시장이 되었다.

1975년 9월, 파푸아뉴기니는 포트모르즈비를 수도로 하여 독립 국가가 되었다. 찰스 왕세자는 파푸아뉴기니의 여왕을 대표하여 기념식에 참석했다. 포트모르즈비 시내를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정부, 지적 및 문화 건물이 와이가니 교외에 건설되었다. 여기에는 찰스 왕세자가 1984년에 개관했으며 전통적인 디자인과 현대 건축 기술을 혼합한 국회의사당을 포함하여 정부 부서를 위한 건물도 포함되었다.

파푸아뉴기니 국립박물관과 국립도서관은 와이가니에 있다. 구 입법부 건물 바로 서쪽 포트모르즈비에 저택이 지어졌지만 독립 이전의 마지막 총리이자 주권국가의 초대 총리는 그 저택이 충분히 웅장하지 않다고 선언했다. 그 저택은 호주 고등 판무관들의 거주지가 되었고 소마레의 요구에 맞는 저택이 와이가니에 지어졌다.

장기간의 방치로 인해 정부 건물 중 일부가 버려졌다. 이들 중 가장 중요한 곳은 마레아 하우스(Marea Haus)와 중앙 정부 청사이다. 인근 건물들은 유지보수의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부패의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21세기 첫 10년 이후에는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사무용 건물을 철거하기보다는 대대적인 복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독립 이전의 입법부 건물과 최초의 의회 건물은 오래 전에 사라졌지만 포트모르즈비 마을에 있는 오래된 법원 건물은 이전 명칭과 함께 독립 전이라는 꼬리표가 붙어 있다.

포트모르즈비 지역의 인구는 독립 이후 급속히 증가했다. 1980년 인구조사 결과 120,000명이었다. 1990년에는 195,000명으로 증가했다.[4]

파푸아뉴기니[편집]

파푸아뉴기니(영어: Papua New Guinea, 톡 피신: Papua Niugini, 히리 모투: Papua Niu Gini)는 오세아니아의 나라이다. 뉴기니섬의 동반부에 위치해 육로로는 인도네시아(서파푸아)와 국경을 접하며, 수도포트모르즈비이다. 공식 명칭은 파푸아뉴기니 독립국(영어: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이다. 뉴기니섬은 세계에서 세번째로 큰 섬으로 462,840km²의 면적을 가진다. 1파푸아뉴기니의 북쪽 절반은 19세기 말에 독일령 뉴기니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도중에 이 지역은 다시 오스트레일리아 군대에 점령되었다. 파푸아뉴기니의 남쪽 절반은 영국령 뉴기니로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오스트레일리아에 1905년 이양되어 파푸아 보호령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연맹은 옛 독일령 뉴기니에는 대표를 허락한 반면 파푸아 보호령은 외부 영토로 간주되어 대표가 허락되지 않았다. 파푸아 보호령은 공식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의 외부 영토로 남아 있었으며, 이는 1975년 독립 이후의 사법제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옛 독일령 뉴기니와 파푸아 보호령의 차별화된 법적 상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민 지배가 일원화된 것이 아니라 두 지역을 각각 별개로 간주했음을 보여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두 영토는 파푸아 보호령으로 통일되었으며, 이후에 "파푸아뉴기니"로 불리며, 1975년 9월 16일에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독립했다. 1975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를 국왕으로 한 영연방 왕국에 가입하였다. 국제 통화 기금에 의해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되었다. 40%의 인구가 생계농업을 하며 현금 경제체제와 거의 유리되어 생활한다. 1976년부터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옵저버로 참여한다. 태평양 공동체, 태평양 제도 포럼의 정회원이다.[5]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포트모르즈비〉, 《위키백과》
  2. 포트모르즈비〉, 《나무위키》
  3. Port Moresby〉, 《Wikipedia》
  4. 포트 모레스비〉, 《요다위키》
  5. 파푸아뉴기니〉,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오세아니아 같이 보기[편집]

오스트랄라시아
멜라네시아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
오세아니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포트모르즈비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