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수원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수원시'''<!--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쪽으로는...)
 
1번째 줄: 1번째 줄:
'''수원시'''<!--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쪽으로는 [[안산시]], 남쪽으로는 [[화성시]], 북쪽으로 [[의왕시]]와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팔달구 인계동이며,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의 4개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다.
+
'''수원시'''<!--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쪽으로는 [[안산시]], 남쪽으로는 [[화성시]], 북쪽으로 [[의왕시]]와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팔달구 인계동이며,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의 4개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온전히 방벽이 있는 유일한 도시이다. 이 방벽은 경기도에서 가장 관광객 수가 많은 장소 가운데 하나이다. [[삼성전자]] R&D 센터와 본사가 영통구 매탄동에 위치한다. 수원시는 11개 대학교가 있는 주된 교육의 중심지이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온전히 방벽이 있는 유일한 도시이다. 이 방벽은 경기도에서 가장 관광객 수가 많은 장소 가운데 하나이다. [[삼성전자]] R&D 센터와 본사가 영통구 매탄동에 위치한다. 수원시는 11개 대학교가 있는 주된 교육의 중심지이다.

2021년 10월 20일 (수) 11:22 판

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쪽으로는 안산시, 남쪽으로는 화성시, 북쪽으로 의왕시와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팔달구 인계동이며,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의 4개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온전히 방벽이 있는 유일한 도시이다. 이 방벽은 경기도에서 가장 관광객 수가 많은 장소 가운데 하나이다. 삼성전자 R&D 센터와 본사가 영통구 매탄동에 위치한다. 수원시는 11개 대학교가 있는 주된 교육의 중심지이다.

개요

  • 행정 단위: 대한민국 경기도 도시
  • 면적: 74.8km²
  • 인구: 1,436,262명 (2020년)
  • 시청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41
  • 시장: 염태영(더불어민주당)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uwon.go.kr/index.do

지도

역사

선사 시대에 '모수국'으로 불린 수원은 삼국시대에 고구려백제한강 이남에서 몰아낸 후 '매홀군'으로, 신라 경덕왕 때에는 '수성군'(水城郡)으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 고려 태조 재위 후반기인 940년에 이름을 '수주'(水州)로 승격하며 한남 또는 수성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조선 개국 직후인 1394년 한양 천도와 더불어 양광도에서 경기도로 편입되었다.

1413년(태종 13년)에 '수원'(水原)으로 최종 개명되며 수원도호부와 남양도호부가 설치되었다. 조선 중기까지 한적한 촌락에 불과하던 수원은 정조(正祖)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무덤 영우원(永祐園)을 양주에서 수원의 화산으로 이전하여 현륭원(顯隆園)으로 개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원(移園)와 함께 도시 방어를 위한 수원 화성과 왕의 능행차 때 묵는 화성 행궁이 건립되었다. 정조는 자신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을 수원에도 두고 상업을 발전시켰으며, 수원은 도호부에서 유수부로 승격되어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정조가 사망한 후 그가 베풀던 특권이 폐지되면서 19세기에는 도시가 쇠퇴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화성 행궁이 철거되었고 한국 전쟁으로 인해 화성마저 심한 피해를 입었으나, 현재는 화성과 행궁의 대부분이 복원된 상태이다.

  • 1949년 8월 14일 : 수원군 수원읍이 수원부로 승격되어 수원군으로부터 분리되고, 수원군은 화성군으로 개칭하였다.
  • 1949년 8월 15일 : 대한민국 지방자치법에 따라 부(府)가 시(市)로 일괄 개칭해 수원시가 되었고, 일본식 행정구역명인 정(町)이 '동'(洞)으로, 정목(丁目)이 '가'(街)로 고쳐졌다.
  • 1963년 1월 1일 : 화성군 일왕면의 구 일형면 지역(상광교리·하광교리·조원리·송죽리·파장리·정자리·이목리·율전리·천천리·탑리·구운리), 태장면 일부(원천리·매탄리·권선리), 안룡면 일부(곡반정리·대황교리·장지리·고색리·평리·오목천리)를 수원시에 편입하였다.
  • 1967년 6월 23일 : 경기도청이 서울특별시에서 수원시 매산로3가로 이전하였다.
  • 1983년 2월 15일 : 용인군 수지면 하리, 이의리가 수원시에 편입되었다.
  • 1987년 1월 1일 : 화성군 매송면 금곡리, 호매실리가 수원시에 편입되었다.
  • 1988년 7월 1일 : 장안구와 권선구가 설치되었다.
  • 1993년 2월 1일 : 장안구의 일부와 권선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팔달구를 설치하였다.
  • 1994년 12월 26일 : 화성군 태안읍 영통리 전부와 신리, 망포리 일부, 용인군 기흥읍 영덕리 일부가 수원시에 편입되었다.
  • 1995년 4월 20일 : 화성군 태안읍 신리와 망포리가 전부 수원시에 편입되었다.
  • 2002년 4월 24일 : 수원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100만 명을 넘었다.
  • 2003년 11월 24일 : 팔달구의 동쪽 일부를 분리하여 영통구를 설치하고,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의 관할 구역을 조정하였다.
  • 2007년 5월 9일 : 광교신도시 조성에 따라 영동고속도로 남쪽의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및 기흥구 영덕동 일부를 영통구 하동에 편입하고, 영동고속도로 북쪽의 하동 일부를 용인시의 수지구 상현동으로 이관하였다.
  • 2014년 4월 : 수원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울산광역시를 추월하였다.
  • 2019년 9월 13일 :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일부와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일부를 교환하였다.
  • 2020년 7월 24일 : 수원시 영통구 신동, 망포동 일부와 화성시 반정동 일부를 교환하였다.
  • 2020년 12월 9일 : 특례시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 되었다.
  • 2022년 1월 13일: 수원특례시로 승격 될 예정

지리

수원시는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용인시 기흥구 및 수지구에, 서쪽은 안산시 상록구와 화성시 봉담읍 및 매송면에, 남쪽은 화성시 병점 및 동탄에, 북쪽은 의왕시에 접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가 분기하고 있으며, 경기도 남부의 교통중심지로, 인천여주로 통하는 육로의 기점이 된다.

수원시의 면적은 121.04 km²의 주형 분지로 되어 있다. 시가지 중앙에는 해발 143m의 팔달산이 있어 공원을 이루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 성곽이 둘러져 있으며 동북공심돈, 사대문, 봉수대, 방화수류정 등 문화재가 곳곳에 있다. 시 외곽 북쪽으로는 백운산광교산이 위치해 있어 높은 구릉지역을 형성하며, 서쪽 외곽에는 칠보산 위치해 있어 낮은 구릉지를 이룬다. 수원 중심부와 동남 지역으로 평야를 형성되어서, 도시의 시가지 형성 및 수도권 근교의 농산, 원예 등에 도움이 되고 있다.

행정 구역

수원시에는 장안구·권선구·팔달구·영통구의 4개 구가 있다.

  • 장안구(長安區)
  • 권선구(勸善區)
  • 팔달구(八達區)
  • 영통구(靈通區)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수원시 문서는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