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미래에셋대우㈜

해시넷
Dy0802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1월 13일 (수) 11:1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메리츠종금증권 로고와 글자

미래에셋대우 주식회사(Mirae Asset Daewoo Co., Ltd.) 또는 미래에셋대우는 미래에셋금융그룹의 계열사이자 금융투자회사이다. 주요사업은 기업금융(IB) 업무, 자산관리, 유가증권 위탁매매 및 인수, 선물 및 옵션 매매의 중개와 위탁판매, 사채 모집의 수탁, M&A 중개와 주선 및 대리, 외자도입 및 해외투자 주선 등이다. 설립자는 박현주이고 대표이사 수석부회장은 최현만, 대표이사 부회장은 조웅기이다.

개요

1970년 9월 동양증권주식회사(대표이사 윤병강)로 창립하여 유가증권의 매매·위탁매매·매매의 중개 또는 대리, 증권저축 업무 등을 통해 경제개발에 필요한 자본을 직접금융을 통해 조달하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경제발전에 기여하였다. 1973년 9월 대우실업주식회사에서 회수를 인수하였으며 1983년 10월 대우증권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여 삼보증권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고 1989년 12월에는 헝가리 신용은행과 합작을 하였다. 1990년 세금우대 소액채권저축 업무를 개시하였고, 1991년에는 근로자장기증권저축 업무 등을 수행함으로써 소액투자가와 근로자의 증권시장 참여를 도모하기도 하였다.

1997년 5월에는 대우선물주식회사를 설립하여 선물환 거래 및 위탁거래, 거래의 중개나 대리 업무 등을 추가하였고, 이듬해 9월에는 주식회사 대우제우스를 설립하는 등 업무 영역을 확대하였다. 신뢰와 미래를 강조하는 이 기업은 '인재를 키우는 기업'으로 경영이념을 지향하였다.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영국·홍콩·헝가리 등 현지법인과 일본·중국·스위스·싱가포르 등에 사무소를, 베트남·인도 등에 합자회사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등 해외에서도 국내 증권사 중 최고의 영업력을 과시하였다.

2000년 5월 16일 대우증권의 최대주주가 한국산업은행으로 변경되었다. 2009년 10월 28일 한국산업은행의 민영화 조치에 의해 산은금융그룹의 자회사로 편입됨으로써 케이디비(KDB)대우증권으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2016년 케이디비대우증권에서 미래에셋대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경영이념 및 비전 =

미래에셋대우의 경영이념, 비전, 핵심가치는 다음과 같다.

경영이념 열린마음으로 미래를 내다보고 인재를 중시하자
비전 미래에셋대우는 글로벌 투자전문그룹으로서 고객의 성공적 자산운용과 평안한 노후를 위해 기여한다
핵심가치 ①미래에셋은 고객을 위해 존재한다
②투자전문그룹으로서 독립성과 경쟁우위를 가진다
③개인을 존중하며 팀플레이에 대한 믿음이 있다
④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실천한다

연혁

  • 1970년 09월 23일 : 동양증권 설립
  • 1973년 09월 01일 : 대우실업 계열사로 편입
  • 1975년 09월 26일 : 증권거래소 상장
  • 1983년 10월 20일 : 대우증권으로 상호 변경
  • 1983년 12월 19일 : 삼보증권 흡수합병
  • 1984년 05월 19일 : 대우경제연구소 설립
  • 1999년 10월 01일 : 대우그룹에서 계열 분리
  • 2000년 05월 16일 : 한국산업은행으로 최대주주 변경
  • 2010년 12월 01일 : 미래에셋금융그룹 계열사로 편입
  • 2016년 04월 01일 : 미래에셋대우로 상호 변경
  • 2016년 11월 14일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서 서울시 중구 수하동으로 본사 이전
  • 2016년 12월 30일 : 미래에셋증권과 통합, 미래에셋대우 출범[2]

금융혁신

미래에셋대우는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글로벌 투자전문 그룹으로서 성장하고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2010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Harvard Business School)에서 미래에셋 성장스토리 케이스 스터디를 채택하였다. 이는 국제기업가정신 과목에서 박현주 회장의 기업가정신을 중심으로 미래에셋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과정과 한국 펀드 산업 전반에 대한 연구로 사용되었다.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2016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SNU Business School)에서 미래에셋 혁신 스토리 기업 사례를 채택하였다. 상품과 비즈니스, 해외 진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 최대 투자그룹으로 성장한 미래에셋에 대한 연구로 사용되었다.

더 케이스 센터

2017년 세계 최대 규모의 비영리 경영사례 연구기관 '더 케이스 센터(Case Centre)' 내 고객 우선정신으로 새로운 상품, 새로운 시장, 새로운 사업 모델을 끊임없이 만들어가는 퍼머넌트 이노베이터(Permanent Innovator)로서 미래에셋 전략 연구자료를 등재하였다.

영업점

국내

2016년 5월 기준 미래에셋대우의 국내 영업점으로 102개(82개 지점, 영업부 1개, PB Class 16개, 금융스토어 3개)의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3]

국외

1991년 영국 런던을 시작으로 해외 글로벌 시장을 확장해가고 있다.

  • 1991년 : 영국 런던, 영국현지법인 설립
  • 1992년 : 미국 뉴욕, 뉴욕현지법인(Daewoo Securities(America) Ltd.) 설립
  • 1994년 : 홍콩, 홍콩현지법인(Daewoo Securities(Hong Kong) Ltd.) 설립
  • 2007년 : 베트남, 미래에셋증권(베트남) 설립
  • 2007년 : 중국 베이징, 북경사무소 설립
  • 2010년 : 중국 상하이, 상해사무소 설립
  • 2010년 : 브라질, 미래에셋증권(브라질) 설립
  • 2012년 : 싱가폴, 싱가폴현지법인 설립
  • 2013년 : 몽골, 몽골현지법인 설립
  • 2013년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현지법인 출범
  • 2015년 : 미국 LA, 미국법인 이전 오픈
  • 2017년 : 인도 뭄바이, 미래에셋대우(인도) 설립
  • 2018년 : 미국 뉴욕, 미국 지주사 설립(미래에셋 시큐리티스 홀딩스 USA)

각주

  1. 미래에셋대우〉, 《네이버 지식백과》
  2. 미래에셋대우〉, 《위키백과》
  3. 미래에셋대우〉,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가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미래에셋대우㈜ 문서는 금융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