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개천시

해시넷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2월 17일 (토) 07:47 판 (같이 보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천시(价川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북부 지역에 있는 이다. 본래 개천군으로 불리는 군이었다가 1990년에 시로 승격했다. 내륙 지역으로 묘향산청천강, 대동강이 있고, 시 면적의 약 61%가 숲 지대이다. 북쪽은 평안북도 영변군(녕변군)·구장군, 동쪽은 덕천시·북창군, 남쪽은 순천시, 서쪽은 안주시에 접한다.

개요

  • 행정구역: 평안남도
  • 면적: 738km²
  • 인구: 319,554명(2008년)
  • 언어: 평안 방언

연혁

  • 본래 고려의 안수진(安水鎭)이었다.
  • 1018년 고려 현종 9년에 연주 방어사(連州防禦使)로 고쳤다가 뒤에 조양진(朝陽鎭)으로 고쳤다.
  • 1215년 고려 고종 2년에는 거란 군사를 막는 데 공이 있었다 하여 다시 연주 방어사로 일컬었다.
  • 1217년 고려 고종 4년에 익주(翼州)로 고쳤다가 뒤에 또 개주(价州)로 고쳤다.
  •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군으로 하였다.
  • 1929년 4월 1일 개천면·내동면(內東面)이 조양면으로 합면하고, 외서면(外西面)을 개천면으로 개칭하였다.[2] 개천면 견룡리, 삼포리 각 일부에 군우리를 신설하였다.
  • 1941년 10월 1일 개천면이 개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0년 8월 개천시로 승격하였다.

지리

동부의 묘향산맥·장안산맥·천성산맥 등의 서쪽 기슭과 서부의 청룡산맥으로 둘러싸여 분지를 이룬다. 동부에는 월봉산(1,032m)·백탑산(1,199m)·갈인봉(1,108m), 남부에는 묵방산(1,012m), 서부에는 천왕산(241m)·전석봉(302m)·주마산(389m) 등이 솟아 있다.

주요 하천으로 북쪽 경계를 따라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청천강이 흐르며, 남부로 대동강이 흐른다. 시 서부에 있는 연풍호는 1956년 완공된 인공호로서 평안남도 서부 지역의 관개 및 대동강의 홍수를 조절한다. 이밖에 동부와 남부에서 시작하여 청천강으로 흘러드는 조통강·남천강·남전천(람전천) 등이 있다.

수자원이 풍부하며, 노다골저수지·회골저수지·수동저수지·노전저수지·새골저수지·내동저수지 등의 물은 주로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이용된다. 동부와 남부, 북서부 지역에는 석회암동굴이 발달되어 있고, 서부 지역에는 개천평야 등 구릉성 평야가 분포한다. 산림은 시 면적의 약 61%를 차지하며 주요 수종은 소나무·참나무·잣나무·가래나무·밤나무 등이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와 강기슭 일부에 충적토가 분포한다. 연평균기온 9.1℃, 1월 평균기온 -7.8℃, 8월 평균기온 23.6℃이고, 연평균강수량은 1,170㎜이다.

행정 구역

현재 강계시는 36동, 11리로 구성되어 있다.

  • 천리길동
  • 신성동 (新成洞)
  • 광복동 (光復洞)
  • 삼포동 (三浦洞)
  • 자작동 (自作洞)
  • 람전동 (藍田洞)
  • 조양동 (朝陽洞)
  • 봉천동 (鳳泉洞)
  • 북원동 (北院洞)
  • 인흥동 (仁興洞)
  • 군우동 (軍隅洞)
  • 강철동 (鋼鐵洞)
  • 약수동 (藥水洞)
  • 룡진동 (龍津洞)
  • 서남동 (西南洞)
  • 각암동 (閣巖洞)
  • 룡암동 (龍巖洞)
  • 알일동 (戞日洞)
  • 묵방동 (墨坊洞)
  • 건지동 (巾之洞)
  • 남천동 (南川洞)
  • 룡대동 (龍臺洞)
  • 전진동 (前進洞)
  • 룡원동 (龍源洞)
  • 준혁리 (俊赫里)
  • 외서리 (外西里)
  • 도화리 (島花里)
  • 보부리 (寶富里)
  • 청룡리 (靑龍里)
  • 광도리 (光島里)
  • 대각리 (臺閣里)
  • 룡운리 (龍雲里)
  • 구읍리 (舊邑里)
  • 동림리 (桐林里)
  • 외동리 (外東里)

산업

경지면적이 시 면적의 약 20%를 차지한다. 주요 재배작물은 옥수수이며, 공예작물로 재배하는 담배는 생산량의 약 50%가 해외로 수출된다. 축산업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연풍호 주변의 방목지에서 소를 방목하며, 닭공장·오리공장·배합먹이공장 등이 있다. 이밖에 사과·배·복숭아 등의 과일과 누에고치도 많이 생산된다.

주요 공업은 석탄·광석 채굴업, 금속공업, 기계공업이다. 북한 최대의 무연탄 생산지로, 평남북부탄전의 총매장량 가운데 약 30%가 이곳에 매장되어 있다. 천동광산에서는 탄산철광과 석회암, 원리광산에서는 흑연, 남전광산(람전광산)·삼봉광산에서는 남정석이 채굴된다. 기계공업으로 채굴기계 설비와 그 부속품 제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밖에 질좋은 무연탄과 석회암을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부재, 벽돌, 내화벽돌 등도 많이 생산된다.

교통

북한 서부 지역의 교통 중심지로서 만포선(순천~만포)·개천선(신안주~개천)·조양탄광선·대건선 등의 철도가 통과하며, 평양~만포 간, 신안주~개천 간, 개천~영변 간, 개천~덕천 간 도로가 지난다.

유물과 유적으로 구읍리의 대립사9층석탑과 대립사터, 외서리의 장함성, 신송리의 토성, 묵방동의 고사산성, 내동리의 남사고인돌, 묵방산의 고인돌떼, 준혁리의 봉수, 연주읍성 등이 있다. 또한 1956년에 완공된 연풍호와 1966년 천석봉 중턱에서 발견된 용원동굴(북한 천연기념물 43)이 있다. 묵방·남전·용담 등에는 약수터가 있다.

교육

교육기관으로 공업대학 1개교와 석탄공업전문학교를 비롯한 전문학교 8개교, 고등중학교 50개교, 인민학교 46개교, 유치원 235개, 탁아소 282개가 있다. 문화시설로 시문화회관과 군중문화회관이 있으며, 30여 개의 전문치료과와 실험실 및 500개의 병상을 갖춘 인민병원을 비롯하여 80여 개의 전문 예방치료 기관이 있다.

지도

동영상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개천시 문서는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