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대동강구역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평양시 위치
대동강구역 위치

대동강구역(大同江區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중심지에 위치해 있는 구역이다.[1][2]

개요[편집]

대동강구역의 면적은 12.07㎢이며 인구는 207,081(2008)명이다. 대동강의 남쪽으로 동대원구역, 동쪽으로 사동구역과 인접하고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서쪽으로 중구역, 북쪽으로 대성구역이 있다. 구역명의 유래는 당연히 대동강. 정확하게는 이 일대에 있었던 행정구역인 대동군 대동강면(大同江面). 대동강면은 (이북 5도 기준) 평양시의 대동강 이남 지역 대부분을 관할하던 행정구역으로 1938년 대부분 지역이 평양시에, 일부는 남관면, 용연면, 율리면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동평양으로 불리는 지역으로 한국전쟁 후, 구시가지의 대안에 해당하는 이 지역에 도시 계획을 해 신시가지가 되었다. 대형 극장과 병원·대학 등이 배치되어 있어 이 구역을 통과하는 지하철 노선이 계획되고 있다. 또, 외국의 대사관 거리도 있다. 의암동에는 김정일 총서기가 살았었다고 여겨지는 85호 관저가 있다.

이곳은 조선고려의학병원(朝鮮高麗醫學病原), 대동강텔레비전수상기공장, 아동식료품공장(兒童食料品工場), 평양산원(平壤産院),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등이 있다.

관광시설로 대동강외화상점과 평양볼링장, 문수물놀이장, 문수봉유원지가 있다. 이 구역에 동쪽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처음 개설한 첨단기술봉사소(인터넷 오락실)가 있다.

대한민국으로 치면 서울특별시 송파구가 여기와 비슷한 포지션을 갖는다. 물론 경제력은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송파구가 월등히 높다.

자연환경[편집]

대동강구역의 지형은 낮은 언덕들과 벌바닥으로 되여 있다. 그리하여 구역 내 절반 이상의 령역은 해발높이 20m 이하에 놓인다. 언덕들은 형태적 특성과 구성암석에서 크게 두 개 지구로 갈라진다. 남동부는 동대원구역과의 경계에 있는 문수봉(82m)을 최고봉으로 하여 소룡산을 비롯한 해발높이 50m 안팎의 언덕들이 차지하고 있어 구역 안에서 가장 높은 언덕들이 모인 지구로 된다. 이 언덕들은 탑제거리를 사이에 두고 북서건너편으로 해발높이 20~30m 되는 보다 낮은 언덕들과 이어지고 모두가 오랜 세월에 걸쳐 깎이여 낮아진 것들이다. 남동부의 언덕들은 상부고생대의 점판암, 사질점판암, 세립사암 등으로 구성되여 있다. 대동강의 왼쪽 물길의 부딪침을 받는 대동강동의 강기슭에는 이 바위들이 잘 드러나 있다.

언덕들은 해발높이 20~40m이며 하부고생대 만달통 석회암으로 되여 있다. 이 둔덕들에는 석회암이 용식되여 우묵하게 낮아진 곳이 많다. 이와 같은 우묵지형체에는 석회암의 용식풍화산물인 붉은색점토층이 4~5m 두께로 덮여 있다. 이 나지막한 둔덕들은 제4기 중세 기간까지도 옛대동강이 흘렸던 자리여서 군데군데 단구력층들이 나타난다. 구역의 북서쪽 변두리는 대동강이 북서방향으로부터 남서방향으로 에돌아 흐르는 구간이므로 왼쪽기슭이 넓은 충적지로 되여 있다.

평양시 중심부의 북동쪽에 자리잡고 있는 대동강구역은 대동강의 왼쪽 기슭을 따라 동-서방향으로 길게 놓여 있으나 지형조건이 단순하므로 기후요소의 지역적 차이가 매우 적다. 대동강구역 의암동에서 한해평균기온은 9.5℃이며 기온이 제일 높은 8월 평균기온은 24.4℃이다. 하루평균기온이 20℃ 이상 보장되는 기간은 6월 11일부터 9월 20일까지의 92일간이며 한 해를 통하여 기온이 제일 높은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 사이에는 평균기온이 25℃ 이상, 평균최고기온은 29℃ 이상 된다. 이 시기는 기온이 높은 데다가 흐려서 비가 오는 날이 많으며 상대습도가 83% 이상 되므로 날씨가 매우 무겁다. 대동강구역 의암동에서 한해평균강수량은 1,000.4㎜로서 시의 평균값과 맞먹는다. 철별로 보면 봄철 강수량은 144.0㎜로서 한해강수량의 14%에 해당한다. 봄철에는 강수량이 적은 데다가 개인날이 계속되면서 메마른 바람이 세게 불므로 날씨가 매우 건조하다. 여름철에는 강수량이 많아서 620.5㎜나 되는데 그 가운데서도 장마철에 많아서 7~8월 강수량은 529.6㎜ 즉 한해강수량의 53%에 달한다. 장마철에는 또한 무더기비도 자주 내리는데 의암동에서 지금까지 관측된 1일 최대강수량은 257.2㎜, 2일 최대강수량은 376.9㎜, 3일 최대강수량은 380.6㎜였다.[3]

역사[편집]

1960년에 사동구역의 문수동(紋繡洞), 북수동(北繡洞), 탑제동(塔濟洞), 의암동(衣岩洞), 동문동(東紋洞)과 선교구역의 문신동(紋新洞) 일부를 통합하여 대동강구역을 신설하였는데, 문신동 일부 지역을 동문동에 편입하여 당시 구역 산하에 5개 동을 두고 관할하였다. 1963년에 의암동 일부와 문수동 일부를 병합하여 문흥동(紋興洞)을 신설하였고, 1965년에 사동구역의 소룡동(沼龍洞) · 사동(寺洞) · 사곡동(寺谷洞)을 흡수하였으며, 1967년에 북수동을 분리하여 북수일동(北繡一洞)과 북수이동(北繡二洞)을 신설하였다.

1972년에 탑제동을 분리하여 탑제일동(塔濟一洞)과 탑제이동(塔濟二洞)을, 사곡동을 분리하여 사곡일동(寺谷一洞)과 사곡이동(寺谷一洞)을, 문흥동을 분리하여 문흥일동(紋興一洞)과 문흥이동(紋興二洞)을, 의암동을 분리하여 의암일동(衣岩一洞)과 의암이동(衣岩二洞)을 각각 신설하고, 사동을 대동강동(大同江洞)으로 개칭하여 14개 동을 개편 관할하였다.

1981년에 동문동, 문흥일동, 문흥이동, 문수동, 북수이동, 의암일동과 의암이동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문수구역(紋繡區域)을 신설하였다. 동시에 사동구역의 두루일동 · 휴암동(休岩洞) · 삼골동(三-洞)을 흡수하였으며, 의암이동 일부를 탑제삼동(塔濟三洞)으로 개편하고, 북수일동을 북수동으로, 소룡동을 소룡일동(沼龍一洞)으로, 두루일동을 소룡이동(沼龍二洞)으로 각각 개칭하여 11개 동을 관할하였다.

1983년에 문수구역의 옥류일동(玉流一洞) · 옥류이동(玉流二洞) · 옥류삼동(玉流三洞) · 능라일동(綾羅一洞) · 능라이동(綾羅二洞) · 청류일동(淸流一洞) · 청류이동(淸流二洞) · 청류삼동(淸流三洞) · 동문일동(東紋一洞) · 동문이동(東紋二洞) · 문흥일동 · 문흥이동 · 문수일동(紋繡一洞) · 문수이동(紋繡二洞) · 의암동을 흡수하고, 휴암동 · 삼골동을 사동구역에 편입하였다.

1991년에 문수일동 일부를 분리하여 문수삼동(紋繡三洞)을 신설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25동(대동강동, 동문일동, 동문이동, 능라일동, 능라이동, 문수일동, 문수이동, 문수삼동, 문흥일동, 문흥이동, 북수동, 사곡일동, 사곡이동, 소룡일동, 소룡이동, 옥류일동, 옥류이동, 옥류삼동, 의암동, 청류일동, 청류이동, 청류삼동, 탑제일동, 탑제이동, 탑제삼동)으로 되어 있다.[4]

산업[편집]

대동강구역은 해방 전까지만 하여도 도시 안의 벽지로 알려진 불모의 땅이였다. 공업이라고는 가공공장 하나 없고 보잘것없는 사동탄광이 하나 있었을 뿐이였다. 해방 후 대동강구역은 현대적인 기계공업, 일용품공업, 식료공업, 피복공업 등 다양한 공업부문을 가진 산업지구로, 문수거리, 대학거리 등 현대적인 거리가 꾸려지고 교육, 문화, 보건, 상업 시설이 그쯘히 갖추어진 문화지구로 전변되였다.

지난날 공업이라고는 무연탄만 캐는 보잘것없는 탄광 하나밖에 없던 지역에 해방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현대적인 중앙 및 지방 공업공장들이 수많이 배치되였다. 전후복구건설시기에 구역에서는 평양탄광기계공장과 5월7일공장이 신설확장되고 현대화되였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1958년 6월전원회의 이후 지방원료원천에 의거하는 식료공장들과 도자기공장, 일용품공장, 피복공장 등이 배치되였다.

1980년대에는 문수수출피복공장, 대동강놀이감공장, 대동강보석가공공장 등이 배치되여 공업부문구성이 더욱 다양해지고 날을 따라 늘어나는 주민들의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였다. 그리하여 해방 전에 탄광 하나밖에 없던 지역이 오늘은 평양탄광기계공장, 5월7일공장, 기상수문기계공장을 비롯한 10여 개의 중앙공업공장과 식료공장, 직물공장, 피복공장을 비롯한 15개의 지방공업공장을 가진 수도중심부의 중요한 산업지역으로 전변되였다. 공업생산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 1986년 구역 공업생산액은 구역 창설 당시인 1960년에 비하여 12.9배, 1970년에 비하여 1.4배로 늘어났다. 구역공업에서는 지방공업이 적지 않은 비률을 차지하고 있다.[5]

교통[편집]

문수~낙랑 간 궤도전차와 대동강~1백화점, 문수~2백화점 간 무궤도전차와 탑제동~대동강역, 사동~대동문동, 대동강~1백화점, 문수~대보동, 문수~기념궁전 간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6]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대동강구역〉, 《위키백과》
  2. 대동강구역〉, 《나무위키》
  3. 북한지리정보: 평양시 대동강구역의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양시 대동강구역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5. 북한지리정보: 평양시 대동강구역의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평양시 대동강구역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대동강구역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