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항구구역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남포시 위치

항구구역(港口區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시에 위치해 있는 구역이다.[1][2]

개요[편집]

항구구역은 본래 평안남도 용강군(현 남포시 용강군)의 대대면(大代面), 양곡면(陽谷面), 지운면(池雲面), 삼화면(三和面), 다미면(多美面) 등의 일대였다. 북쪽으로 강서군, 동쪽과 남쪽은 대동강에 접한다. 18동 10리를 관할하고 있다.

바다에는 간석지가 널리 펼쳐져 있다. 강수량이 적기 때문에 광량만을 중심으로 염전이 해안 곳곳에 발달해 있다. [3]

자연환경[편집]

묘향산맥의 말단부에 위치해 군 중앙부에 그다지 높지 않은 오석산(烏石山, 565m)이 솟았을 뿐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300m 내외의 구릉성 산지가 전개되는 지형적 특색을 이룬다. 동쪽 경계에 석천산(石泉山, 302m), 남쪽에 우산(牛山, 507m), 북쪽에 광동산(廣東山, 396m)·남우이산(南牛耳山, 308m)·쌍아산(雙蛾山, 306m), 중앙에 신덕산(神德山, 410m) 등이 있다.

군내 각지의 산지에서 발원한 신녕강(新寧江)·인황천(仁皇川)·사동천(砂洞川)·남천(南川) 등의 지류를 합친 대동강이 남부 일대를 지나 황해로 유입한다. 대동강 하구의 수심이 깊어 수운에 이용될 뿐 아니라 어항 발전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

저수지로는 용강면의 대성호(大成湖)와 용강저수지, 삼화면의 우산장(牛山莊)호수, 충흥리저수지 등이 있다. 서쪽 해안선은 총연장거리가 157㎞에 달하지만, 바다 멀리까지 수심이 얕고 간만의 차가 심하며 간석지(干潟地)를 이룬 곳이 많아 항구가 될 만한 좋은 곳이 드물다.

앞바다에는 덕도(德島)·화도(禾島)·검덕도(儉德島)·피도(避島)·취라도(吹螺島) 등의 섬이 있다. 기후는 황해에 면해 해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내륙지방보다는 기온이 따뜻한 편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한서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 10.2℃, 1월 평균기온 -6.9℃, 8월 평균기온 25.2℃, 연강수량 910㎜로 우리 나라 3대과우지 중의 하나이다. 광량만에서의 첫 얼음은 10월 20일경, 마지막 얼음은 4월 9일경이다.[4]

역사[편집]

동쪽 경계에 위치한 석천산의 지석묘군으로 보아 이미 신석기시대에 이 곳에 우리 선조들이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전설에는 기자(箕子)의 52대손인 선우 양(鮮于諒)이 금마(金馬)땅에서 마한을 이루고 있었으나 백제가 침범해 오자 지금의 용강 오석산 밑으로 옮겨와 황룡국(黃龍國)을 이루었고, 선우 양의 8대손 때에 고구려가 이 곳을 점령해 황룡성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 곳이 고조선의 땅이었다가 한때 한(漢)나라 군현세력의 지배 아래에 들어갔던 사실은 1913년 해운면 성현리에서 발견된 점제현신사비(秥蟬縣神祠碑)로써 알 수 있다. 각지에서 발굴된 고구려 고분들은 고구려 세력이 남하하면서 이 땅이 고구려의 영토로 편입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군현으로서의 건치경위(建置經緯)는 알 길이 없다. 고구려 때 함종은 아선성(牙善城)으로 불렸다.

고려시대에도 황룡성 또는 군악(軍嶽)으로 불렸다. 태조대에 북진정책을 취하면서 각지 요새에 군진(軍鎭)을 설치할 때에 황룡성과 아선성에도 군진을 두었다. 989년(성종 8) 서북면병마사를 두고 평안도지방에 군정을 실시할 때, 이 지방도 그 관할구역으로 편속되었다.

995년 10도의 하나인 패서도(浿西道)에 편속되었다가, 1018년(현종 9) 4도호부 8목제가 실시될 때 황룡성·아선성은 용강현(龍岡縣)·함종현(咸從縣)으로 개편되어 영주(寧州)에 설치된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의 직속현이 되었다. 고종대에 몽고군의 침입을 받아 이 지역도 전란에 휩싸였고, 1270년(원종 11) 원나라 동녕부(東寧府)의 지배 아래에 들어갔다가 1290년(충렬왕 16) 고려에 귀속되었다.

1413년(태종 13) 용강현·함종현에 현령이 파견되었고, 1466년(세조 12) 전국에 진관제(鎭管制)가 실시될 때, 평안진관 관할로 두 곳에 절제도위(節制都尉)가 두어져서 수령들이 겸직하도록 하였다. 1720년(경종 즉위년) 함종현은 선의왕후(宣懿王后)의 관향(貫鄕)이므로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해방뒤 남포시로, 남포구역(38개 동·리)으로 바뀌고 1983년 3월에는 이 지역을 남포시의 항구구역으로 개칭했다. 즉, 이곳이 오리지널 남포라고 할 수 있다. 1984년 12월에 룡강군의 지사리, 검산리, 동전리를 편입했다.

2004년 1월 남포시가 특급시로 격하되면서 와우도구역과 함께 남포시에 잔존했다.

이때 남포의 격하로 인해 폐지됐지만, 특별시로 승격된 뒤엔 2010년에 다시 신설되었다. 덩달아 부활한 듯 하다.

산업[편집]

농업을 주로 하며, 남부의 충적평야지대에서는 논농사가, 북부의 구릉성 산지에서는 밭농사가 행하여진다. 농산물로는 쌀·조·콩·팥·수수·고구마 등이 생산되며, 특용작물로 목화·고추·깨 등이 재배된다.

이 밖에 특산물로 사과가 군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데, 계몽운동가인 김지간(金志侃)이 처음으로 사과나무를 심어 개량하고 연구한 곳이 바로 이 곳의 매산과수원이다. 배·복숭아 등도 많이 재배된다.

남쪽 연안에서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기 때문에 어족이 풍부해 어업이 성황을 이룬다. 또 연안의 간척지에서는 천일염이 생산된다.

수산업은 발달되지 않았으나 대동강 하구 일대의 갯벌에서 갈게잡이가 행하여진다. 회용리의 원앞개 일대의 소택지에서 가물치·잉어·붕어·미꾸라지 등 담수어가 많이 잡힌다

교육 및 문화[편집]

1901년에는 지운면에서 삼진(三眞), 다미면에서 보명(普明)·진명(進明)·동일(東一)·광명(光明) 등 4개교, 양곡면에서 구성(九成), 삼화면에서 삼중(三重), 대대면에서 집성(集成)·명덕(明德), 신녕면에서 삼신(三新), 금곡면에서 삼성(三成)·삼광(三光), 해운면에서 학림(鶴林)·보광(普光)·명덕(明德)·일병(日倂) 등 4개교, 용월면에서 배달(培達)·신성(新成)·광덕(廣德)·동산(東山)·덕성(德成)·일신(日新) 등 17개 사립학교와 7개 학원이 설립되어 민족정신에 입각한 민족교육이 실시되었다. 그래서 이강(李剛)·차병수(車炳修)·홍기조(洪基兆)·김동한(金東漢)·이영선(李永善)·차병락(車炳洛)·이규찬(李奎贊)·김붕준(金鵬濬)·김정숙(金貞淑) 등 많은 애국지사가 배출되었으나, 경술국치 후 일제의 1면1교제를 통한 탄압으로 각 사립학교는 폐교되거나 공립으로 흡수되었다.

한편 종교 상황을 보면 고려와 조선시대에 종교문화가 성행함에 따라 군내에도 많은 사찰이 건립되었다. 용강면 오산(鷘山)에 있는 보덕사(普德寺)는 고구려의 중 보덕(普德)이 창건한 것으로 추정되고, 이로 미루어 고구려 때 불교가 용강에 들어와 교세가 융성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지금은 절의 이름만 남아 있을 뿐 흔적도 찾아볼 수 없는 절이 많다. 용강면 옥도리 황룡성 안에 황룡사, 해운면 성현리 신덕산에 신덕사(新德寺), 대대면 우산에 보림사·서정사(西淨寺), 삼화면 법천산에 법천사(法泉寺) 등이 있다.

개신교는 1890년대 말 이 곳에 전파되기 시작해 1898년 안창호(安昌浩)의 전도를 받은 용강의 유지들이 합심해 지운면 진지리에 장로교계 진지동교회를 설립했으며, 1899년에는 감리교계 광량만교회가 설립되었다. 그 뒤 많은 교회가 건립됨과 동시에 교회부설 사립학교가 운영되었다. 또한 1930년 성결교회가 들어오기 시작해 진지동성결교회가 설립되었다.

『개무덤전설』은 삼화면 오은동에 살던 어떤 사람이 장에 갔다가 술이 취해 돌아오던 중 길 옆 풀밭에 쓰러져 잠이 들었는데, 마침 산불이 나 위험하게 되자 기르던 개들이 부근 연못에서 꼬리에 물을 적셔다가 주인의 옷자락과 잔디에 뿌려 주인을 구하고 죽었으므로 가여이 여긴 주인이 개들을 합장해 무덤을 만들어주었다는 것이다.

『맹자우물전설』은 금곡면 금수리에서 옛날 맹자(孟子)가 삼화면 우산에 약초가 많다는 말을 듣고 약초를 캐기 위해 바다를 건너 우산으로 가던 중 어떤 우물가에서 점심을 먹었는데, 그 물맛이 중국땅에서는 맛볼 수 없었던 최고의 맛이었으므로, 맹자는 이 우물터를 잊지 않고 다시 찾아오기 위해 목판에 자기 이름을 써붙였다 해 유동 맹자우물이라고 부른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항구구역〉, 《위키백과》
  2. 항구구역〉, 《나무위키》
  3. 룡강군〉, 《나무위키》
  4. 용강군 (龍岡郡)〉,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항구구역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