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인주 (도장)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주(도장재료)

인주(印朱)는 도장을 찍는 데 쓰는 붉은빛의 재료를 말한다. 솜 같은 물건에 아주까리기름과 진사(辰沙)를 넣어 만든다.

개요[편집]

인주는 도장을 찍기 위해 인면(印面)에 묻히는 붉은색 물감 재료다. 같은 말로 인육(印肉), 주육(朱肉), 인니(印泥), 도장밥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슈니쿠(朱肉)라고 부른다. 과거 모든 서류에 도장을 찍던 시절에는 사무실, 학교, 관공서, 군대 등에서 필수품이었고, 기업입사하면 개인에게 지급되는 기본 문구에 반드시 들어 있었는데, 21세기 들어서는 전자서명이나 서명으로 대체되어 거의 쓰이지 않는 물건이 되어서 요즘에는 본 적이 없는 사람도 많다. 왜냐면 외부에 제출하는 문서에는 직인을 찍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부 기관 내부결재문서 중에는 아직도 담당자들의 도장을 직접 찍어야 하는 것들이 꽤 있는지라 공무원들 또한 필수품으로 하나씩은 가지고 있다. 특히 주민센터라면 임시신분증가족관계증명서에는 지금도 직인을 수동으로 직접 찍는 경우도 많으므로 인주가 더욱 필수이다. 하지만 사무실이라면 반드시 있는 물건이기도 하며 제일 많이 보이는 사무실은 공인중개사 사무실이다. 이 쪽은 일반 인주 대신 기본이 매표 모루도 인주고 문구류 쪽에 관심이 있다 하는 사람은 바로 사찌하타행이며 사찌하타 도장은 후술을 말한다.[1]

역사[편집]

인주는 춘추, 진, 한 시기에는 봉니(封泥)가 사용되었다. 당시는 간독을 썼기 때문에 이것을 끈으로 묶어 매듭을 짓고 진흙을 이겨 발라 밀봉한 후 위에 도장을 찍었다. 이 진흙 덩어리를 봉니라고 불렀다. 이 방법은 위진남북조시대까지 사용되었다. 수·당에 이르러 간독 대신 비단과 종이가 쓰이면서 봉니 대신 물, 봉밀, 주사 따위를 섞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물이 마른 후 주사가 떨어져 나오기 때문에 명나라에 와서는 기름을 넣어 제조했다.[1]

도장을 찍을 때 사용하는 인주이며 인장 문화가 시작된 중국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먼저 인주의 원료가 주사라는 붉은색 수은 화합물이기 때문이다. 또 중국에서는 빨간색을 신성시하며 좋은 의미가 담겨있다고 믿었으며 중국으로부터 인장 문화의 영향을 받은 한국과 일본도 자연스럽게 빨간 인주를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인주도 변화를 시도한다. 일본 디자이너 우타시로 사토루(Satoru Utashiro)의 'watashi no iro(나의 색)'이라는 인주는 흔히 보는 붉은색의 단색 인주가 아닌 2가지 이상의 색이 섞여 있는 인주이다. 푸른색, 녹색 등 인주에서는 처음 보는 색상이 눈에 띄며 각 인주의 색과 무늬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이는 바다, 감귤, 숲, 비단잉어, 동백꽃 등 자연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은 색상의 조합으로 인주를 만들었다. 인주 자체로도 색다르지만, 실제 도장을 찍었을 때 표현되는 색의 조화가 아름답고 감각적이다. 디지털 문화가 발달하며 도장과 인주는 점점 사라지고 있지만 통문화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새로운 발상과 시도마저 사라져서는 안 된다. 현재 '나의 색' 인주는 12회 SNDC 문구 디자인 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하며 상품화를 준비하고 있다.[2]

인주의 제조법[편집]

전통적 제조법은 황화수은이 주성분인 주사와 알칼리 용액의 반응물인 은주(銀朱)에 피마자 기름, 목랍, 송진을 녹여 넣고 쑥잎이나 한지를 첨가해 반죽해 굳힌다. 기름이 들어가기 때문에 찍고 나면 종이에 기름기가 살짝 퍼진다. 대신 물이 묻어도 지워지지 않고, 도장에 고르게 묻기 때문에 화합물 염료 잉크를 스폰지에 묻힌 속칭 '스탬프 인주'보다 도장이 깨끗하게 잘 찍힌다. 쓰다 보면 인주 찌꺼기가 도장면의 파인 부분에 축적돼 글자가 번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위 사진에 보면 청소솔이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가장 큰 단점은 한 번 톡 묻혀서는 도장이 절대 예쁘게 안 찍힌다는 것이다. '스탬프 인주'는 스탬프 패드를 말한다. 원본대조필, 결재란 같은 온갖 스탬프를 찍는 데 쓰는 것을 말하며 이 중 빨간색 스탬프패드를 인주로도 많이들 쓴다는 것이다. 스탬프 패드를 인주 대용으로 쓰는 또 다른 이유이자, 사치하타 인주가 도장을 많이 찍는 업계(특히 공인중개사)에서 사랑받는 이유. 단, 은행이나 관공서에선 도장을 찍을 일이 많아도 너무 많이 찍어서 사찌하타 인주 같은 비싼 물건을 쓰면 돈 감당 못한다. 매표화학 박스에 공기관, 정부조달도 한다고 적혔다. 가끔가다 담금주병을 축소한 듯한 인주통이 보이는데, 너무 많이 찍어서 보충용 주육으로 작은 것을 넣으면 금세 떨어지니 한 번에 많이 충전하려는 의도이다.

도장의 나라 일본에서는 스탬프 패드형 인주가 대세인데, 나고야시에 소재한 사치하타(シヤチハタ)라는 회사에서 만드는 인주를 최고로 친다. 한두 번 톡 묻혀도 도장이 예쁘고 깔끔하게 찍히면서도, 인주가 잘 안 번지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선거용 도장이 엄청 잘 찍히는데 그걸 만드는 회사이다. 단, 대선, 총선, 지선 같은 대한민국이 자체 주관하는 선거에선 안 쓴다. 또한 여기 인주는 염료 대신 안료를 넣어 제작한다. 재료부터가 고급이라 비싸다. 중형 하나에 7~8천 원쯤 하는데, 국내산 대형 한두 개쯤 살 돈이다. 주로 음식, 부품 포장지에 찍는 용도로 사용하는 넘버링용은 값이 중형 하나에 3~4만으로 뛴다. 잉크도 공장에서 쓰는 만큼 많이 들어가는데 큼직한 초대형 잉크통이 11만 원이나 한다.[1]

관련 기사[편집]

  • 4·15 총선을 하루 앞둔 2022년 4월 14일 투표 주의사항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48.1㎝에 달하는 투표용지를 접다가 다른 칸에 인주가 번지면 어떻게 될까,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밝힌 투표 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알아봤다. 선관위에 따르면 유효표 무효표를 나누는 가장 큰 기준은 기표도장의 사용 여부 및 중복 투표 여부다. 우선 한 후보자란에 기표도장이 찍혀 있다면 유효표로 처리된다. 도장이 제대로 찍히지 않았아도 식별만 가능하면 문제 없다. 특정 후보란에 기표도장을 찍었는데 인주가 다른 후보란에 뭍은 경우도 유효표로 처리된다. 마찬가지로 투표용지를 접는 과정에서 마르지 않은 기표도장 인주가 다른 후보란에 번지더라도 식별만 가능하다면 유효표로 집계된다. 후보 또는 정당을 선택한 뒤 투표용지 여백에 기표도장을 찍더라도 해당표는 유효하다. 반면 기표도장을 사용하지 않거나 여러 후보자란에 중복 기표한 경우에는 무효표로 분류된다. 두개의 후보자란에 기표도장을 겹쳐 찍은 경우도 유권자의 의사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무효로 처리된다. 후보자를 선택하지 않고 여백에 기표도장을 찍은 경우도 유효표로 인정하지 않는다.[3]
  • 한 회사에서 60년 가까이 다니고 있는 인주 장인이 있다. 주인공은 김주한 매표화학 고문(85)이다. 김 고문은 1967년 입사해 지금까지 매표화학을 다니고 있다. 1946년 설립된 매표화학은 인주와 도장, 그리고 문구류 등을 만드는 회사다. 김 고문은 인주 제작업계에서 최고 기술자로 손꼽힌다. 옛 청와대에 쓰이는 인주도 그의 손을 거쳤다. 인주는 도장 찍을 때 쓰는 빨간색 재료다. 모든 인주 제조과정은 장인의 수작업을 거쳐야 한다. 여기엔 생산성보다 정성이 담겨있다. 그는 "1967년부터 매표화학 한 곳에서 인주를 만들고 있다"며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 일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 고문은 회사에서 일주일에 2~3회만 출근하라고 권유해도 주5일 근무를 지키고 있다. 체력이 있기 때문이다. 출근 시간도 젊은 직원들보다 빠르며,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있다. 매표화학에서 일하면 자식 2명을 훌륭한 성인으로 키워냈다. 최윤석 매표화학 대표에게 김 고문은 아버지 같은 존재다. 최 대표는 부친인 고(故) 최상봉 매표화학 창업주에 이어 2대째 가업을 운영하고 있다. 김 고문은 창업주와 현 대표 모두 겪은 만큼 회사 사정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안다. 최 대표에게 조언도 아끼지 않고 있다. 매표화학에는 정년이 없으며 김 고문 외에도 정병추 공장장 등 3명이 70세가 넘어서도 일하고 있다. 이같은 회사 분위기에는 최 대표의 경영철학이 담겨있다. 그는 요즘 ESG(환경·책임·투명경영)를 공부하며, 임직원과 함께 성장하고 나누는 회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최 대표는 "회사를 둘러싼 여러 이해관계자 중 가장 고마운 분들은 임직원들"이라며 "구성원들이 가족같이 따뜻함을 느끼는 회사를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4]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1.0 1.1 1.2 인주〉, 《나무위키》
  2. 서영진, 〈도장 인주는 왜 빨간색일까? 나만의 색을 표현하는 인주〉, 《ㅍㅍㅅㅅ》, 2020-07-27
  3. 강소현 기자, 〈D-1 인주 번지면 무효?… 총선투표 주의사항은〉, 《머니S》, 2022-04-14
  4. 정승환 기자, 〈직장생활 60여 년 한 인주 장인 김주한 매표화학 고문〉, 《매일경제》, 2022-08-26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인주 (도장) 문서는 계약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