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도도마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도도마
도도마 위치

도도마(Dodoma)는 탄자니아의 법률상의 수도이며 도도마주의 주도이다. 1973년에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에서 도도마로 옮길 것이라는 국민투표가 결정했다. 1996년, 입법부가 도도마로 옮겨졌지만 실질적인 수도 기능은 다르에스살람에 있다.[1]

개요[편집]

도도마는 탄자니아 중부, 옛 수도 다르에스살람에서 서쪽으로 453km, 동아프리카공동체의 본부인 아루샤에서 남쪽으로 441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2,669km², 그 중 625km²가 도시화되어 있다. 해발고도 1,300m의 고지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서늘해서 살기 좋다. 도도마는 1907년 탄자니아 중앙 철도를 건설하는 동안 독일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1996년 이후 공식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다르에스살람은 탄자니아의 상업 수도로 남아 있으며, 여전히 이쿨루주와 많은 정부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탄자니아 대통령 집무실과 탄자니아 정부 각료 본부는 2019년 10월 탄자니아 무툼바 지역으로 이전을 완료했다. 주변에서는 목축을 주산업으, 양봉(養蜂) 외에 곡류, 두류 등이 재배된다. 또 남북으로 통하는 철도와 도로교통의 요지로서 주변 일대에서 재식농업(栽植農業)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피, 사이잘삼 등의 집산지이다. 도시 북쪽에는 도도마 공항이 있다. 도도마에는 여러 개의 대학이 있는데, 여기에는 탄자니아의 여러 도시에 캠퍼스를 가지고 있는 탄자니아 오픈 대학교, 탄자니아 성공회가 소유한 탄자니아 세인트 존스 대학교, 그리고 도도마 대학교가 포함된다.[2]

역사[편집]

원래 이도미야(Idodomya)라고 알려진 작은 시장 마을이었던 현대의 도도마는 1907년 탄자니아 중앙 철도를 건설하는 동안 독일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 배치는 원주민 마을에서 분리된 유럽의 구역과 함께 당시의 전형적인 식민지 계획을 따랐다.

1967년 독립 후 정부는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를 겪고 있던 당시 국가의 수도 다르에스살람을 통제하고 조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마스터 플랜을 작성하도록 캐나다 회사를 초청했다. 이 계획은 부분적으로 도시와 관련된 역사적, 사회적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1972년에 취소되었다.

1974년 전국적인 정당 국민투표 이후 탄자니아 정부는 중부 지역에 대한 상당한 사회적, 경제적 개선을 창출하고 국가 내에서 수도를 중앙집중화하기 위해 수도를 다르에스살람에서 보다 중심적인 위치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비용은 1억 8,600만 파운드로 추산되었으며 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다. 도도마 지역은 일찍이 1915년 당시 식민지 세력인 독일에 의해, 1932년에 영국에 의해 국제연맹의 위임통치로 그리고 다시 독립 후인 1961년 국회에서 잠재적인 새로운 수도로 간주되었다.

주요 교차로에 이미 도시가 세워져 있는 도도마 지역은 쾌적한 기후와 발전의 여지가 있었고 국가의 지리적 중심에 위치해 있었다. 시골 환경에서의 위치는 우자마의 중심지로 여겨져 이웃 마을을 보고 배울 수 있으며 육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우자마의 수도로 적합했다.

새로운 수도는 다르에스살람을 재편성하고 재건하는 것보다 더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 여겨졌으며 사회주의 통합과 개발이라는 정부의 목표에 대한 불신으로 보여지는 단일 해안 도시에서의 지속적인 집중에서 벗어나 개발을 전환하는 방법으로 이상화되었다. 새로운 수도의 목표는 탄자니아의 사회적 문화적 가치와 포부의 상징이 되는 것, 산업-상업적 발전에 의해 수도 기능이 보완되는 것, 그리고 과도한 인구 밀도, 오염, 그리고 현대 대도시의 실수와 특징이 포함되었다.

자본개발청(Capital Development Authority, CDA)은 마스터 플랜의 최적 위치 및 준비에 대한 제안서를 제출하도록 3개의 국제 기업을 초대했다. 자본개발청은 미국의 독립 컨설턴트와 함께 결정한 승자는 프로젝트 플래닝 어소시에이트로, 같은 캐나다 컨설턴트는 다르에스살람에 대한 계획이 불충분하고 탄자니아 최대 도시의 현지 상황과 요구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들의 계획은 2000년까지 40만 명, 2020년까지 130만 명이 거주하는 도시를 계획했다.

1996년 이후 공식 수도인 도도마는 아부자(Abuja) , 야무수크로(Yamoussoukro ), 브라질리아(Brasília), 워싱턴 D.C.( Washington, DC) 와 같은 다른 계획 수도의 기념비성과 위계와는 대조적으로 최초의 비기념물적 수도로 구상되었다. 도시 형태만큼 부적합한 철 및 방사형 계획은 시골의 우자마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 기존 지형과 충돌하지 않고 기복이 생기고 곡선을 이루도록 의도되었다. 당당시 탄자니아의 발전에 걸맞게 자동차는 당시 많은 인구가 이용했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에 비해 부차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1974년에 도도마는 인구가 40,000명이었으며 인근의 옴볼로(Hombolo)나 이훔와(Ihumwa)와는 반대로 새로운 수도로 선택되었다. 기존 인구 규모는 장애물로 간주되지 않았지만 기존 기반 시설은 건설 비용을 절감하였다.

1,000헥타르(2,500에이커)가 넘는 면적으로 설계된 이 도시는 도보로 경험할 수 있는 인간 규모로 건설된 "마을 국가의 주요 마을"을 의미했다. 기본 원칙은 주민과 산업을 위해 분리된 구역을 분리하는 녹지대가 있는 정원 사이에 위치한 도시의 정원 도시 모델을 따른다.

정부의 움직임의 일환으로, 국회의사당 단지가 계획되었고 국제적인 팀들의 디자인은 경쟁적인 비전과 국회의사당 단지 배치와 배치를 제공했다. 이러한 경쟁적인 제안들은 1978년에 발표되었는데, 일부는 외국 정부가 원조의 형태로 지불했고 다른 일부는 관련 회사들이 지불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2006년에야 도도마에 완공된 국회의사당을 인도했다. 의회의 최종 위치는 마스터플랜에서 원래 의도했던 위치에 있지 않았고, 현재는 대학 부지로 개발되고 있다.

초기 디자인의 대부분이 지난 40년 동안 결실을 맺지 못했기 때문에, 관공서와 대사관은 도도마로 사무실을 옮기는 것을 거부해 왔다. 그 결과 탄자니아의 상업도시이자 사실상의 수도로 남아 있는 다르에스살람에는 많은 관공서가 남아 있다.

도도마는 탄자니아에서 새로운 식민지 이후의 독립 정체성과 방향을 확고히 하기 위한 국가 건설 프로젝트로 계획되었으며 나이지리아(아부자), 보츠와나(가보로네), 말라위(릴롱웨), 모리타니(누악초트)의 프로젝트와 유사하다.[3]

탄자니아[편집]

탄자니아(영어: Tanzania)또는 탄자니아 연합공화국(영어: United Republic of Tanzania)은 동아프리카에 있는 나라이다. 1961년에 독립한 탕가니카와 1963년에 독립한 잔지바르가 1964년에 통합한 나라이다. 또한 탄자니아의 법적인 수도는 도도마이지만, 실질적인 수도의 기능은 탄자니아의 최대 도시인 다르에스살람이 하고 있으며, 각국의 대사관을 포함한 많은 공공기관들과 기업들이 현재까지도 이전을 거부하고 있는 상태이다. 탄자니아의 면적은 945,087km²로서 세계에서 31번째로 넓은 나라이다. 나이지리아의 크기와 비슷하며 이집트 다음가는 넓이이다. 북동부는 아프리카 최고봉인 킬리만자로산(5896m)을 비롯해 메루산(4556m) 등 산악 지대가 많으며, 북서쪽에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넓은 빅토리아 호와 아프리카에서 가장 깊은 탕가니카 호등 호수 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중부 지방은 넓은 평원과 경작 지대가 펼쳐져 있다. 동쪽 해안 지대는 덥고 습하다. 웅구자섬(잔지바르섬)은 바로 동쪽 해안에 접해 있다. 탄자니아에는 북쪽의 응고롱고로 분화구세렝게티 국립공원, 남쪽의 셀로우스 사냥 제한지역미쿠미 국립공원 등을 포함해 생태학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광대한 규모의 야생 공원이 여럿 있다. 서쪽의 곰베 국립공원제인 구달 박사의 침팬지 연구로 유명한 곳이다. 한편, 탄자니아 정부는 관광부를 통해 남서부의 칼람보 폭포를 탄자니아의 주요 관광지중 하나로 육성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칼람보 폭포는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높은 폭포이며, 탕가니카 호수의 남쪽 끝단에 위치하고 있다. 남서쪽으로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일부인 루콰 열곡이 지난다.

탄자니아는 1986년이래 추진해 온 경제재건 계획과 외국차관의 대량 유입, 농민들에 대한 보상과 지원, 국유산업의 합리화, 경제부분에 대한 정부 개입의 축소 등 지속적인 구조조정으로 1990년대 중반 연 4.0%의 꾸준한 경제 성장세를 유지했다. 줌베 신정부도 1985년이래 추진해 온 시장경제 편입정책의 기조를 이어나갔으며, IMF 등 국제금융기구의 권고를 적극 수용하고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에 주력하였다. 1990년 외국인투자증진 보호법 제정이래, 25억불 규모의 투자를 승인하고 1993년이래 공기업의 민영화를 추진, 550여 개의 민영화 대상을 선정하여 2004년 현재 266개의 공기업 민영화, 150여개 사의 민영화를 추진 중에 있다. 농산물, 광산물 등 1차상품의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구조상 국제가격불안정의 영향을 크게 받고 만성적 인플레이션, 정부 경상지출의 38%를 외국 원조에 의존하는 재정상태, 만성적 수입초과 및 외채 부담, 비합리적 경제구조, 관리들의 관리능력 부족과 관료주의 등은 경제회복의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6%를 상회하는 안정적인 경제성장률을 보여 주고 있는 가운데(2007년 추정 실질GDP성장률은 6.9%), 2005년 1월 1일부터 EAC 관세동맹이 출범하여 역내 외국인 투자 촉진 및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정치 통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4]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도도마〉, 《위키백과》
  2. 도도마(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도도마〉, 《요다위키》
  4. 탄자니아〉,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아프리카 국가
아프리카 도시
아프리카 지리
아프리카 문화
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도도마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