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MZ세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MZ 세대'''란 1981~96년생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하면서 자란 미레니얼 세대와 1997~2010년생으로 스마티폰에 익숙한 디지털세대인 Z세대를...)
 
(개요)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MZ세대(밀레니얼 + Z 세대·1981~2010년생)의 움직임에 기업과 시장이 움직이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1981~96년생)와 Z세대(1997~2010)는 '디지털 세대'라는 공통점으로 비슷한 성장 환경을 공유해왔기 때문에 이들을 주로 MZ세대로 묶어서 표현한다. 기성세대에게 있어서 MZ 세대는 함께해야 할 파트너이자 고객이지만,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존재이다. 수중에 가진 돈이 없는데 비싼 명품과 한정판 아이템은 언제든 구매하고, 퇴근 후 회식은 꺼리면서 온라인에서 온라인을 통해 연락한 생판 모르는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한다. 이들은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컴퓨터와 인터넷, 스마트폰을 순차적으로 접하다보니 신문물에 빠르게 적응한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부모의 모습을 보고, 안정적인 직장을 원하지만 기성세대보다 직장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 않다. 취업 후 노동소득이외에 자본소득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그들은 한때 '욜로(YOLO·인생은 한 번뿐)'를 외치며 현재를 즐기다보니 모아둔 돈은 없지만, 더는 뒤처지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절박하게 돈을 모으고 파이어(FIRE·조기 은퇴)족을 꿈꾼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영증(코로나 19) 확산 이후, 주식과 가상화폐 투자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Z세대는 태어났을 때부터 스마트폰과 함 몸처럼 살면서 디지털 생활을 영위했다. 사회 이슈, 연예계 소식은 물론 학업부터 취업까지 궁금한 정보를 손쉽게 유튜브에서 찾고, 드라마는 TV가 아닌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넷플릭스로 한꺼번에 몰아서 본다.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전화,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지털기기를 통해 온 세상 소식을 접한다.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세계각국의 다양한 사회 이슈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다. 주변친구가 나의 행동에 동참하지 않아도 개의치 않는다. 그들은 언제, 어디서든 취향, 관심사가 같은 친구와 연락할 수 있고 만날 수 있다. 공부, 게임 등 친구들과 온라인상에서 함께한다. MZ 세대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감지하고 비즈니스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ref>안소영 기자,〈[https://biz.chosun.com/industry/2021/05/31/57JHHZF4FBFCLGEKGKJI3IQ2VU/ 미래 비즈니스 바꾸는 新인류 ‘MZ 세대’]〉, 《이코노미조선》, 2021-05-31</ref>
+
MZ세대(밀레니얼 + Z 세대·1981~2010년생)의 움직임에 기업과 시장이 움직이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1981~96년생)와 [[Z세대]](1997~2010)는 '디지털 세대'라는 공통점으로 비슷한 성장 환경을 공유해왔기 때문에 이들을 주로 MZ세대로 묶어서 표현한다. 기성세대에게 있어서 MZ 세대는 함께해야 할 파트너이자 고객이지만,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존재이다. 수중에 가진 돈이 없는데 비싼 명품과 한정판 아이템은 언제든 구매하고, 퇴근 후 회식은 꺼리면서 온라인에서 온라인을 통해 연락한 생판 모르는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한다. 이들은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컴퓨터와 인터넷, 스마트폰을 순차적으로 접하다보니 신문물에 빠르게 적응한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부모의 모습을 보고, 안정적인 직장을 원하지만 기성세대보다 직장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 않다. 취업 후 노동소득이외에 자본소득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그들은 한때 '[[욜로]](YOLO·인생은 한 번뿐)'를 외치며 현재를 즐기다보니 모아둔 돈은 없지만, 더는 뒤처지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절박하게 돈을 모으고 파이어(FIRE·조기 은퇴)족을 꿈꾼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영증(코로나 19) 확산 이후, 주식과 가상화폐 투자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Z세대는 태어났을 때부터 스마트폰과 함 몸처럼 살면서 디지털 생활을 영위했다. 사회 이슈, 연예계 소식은 물론 학업부터 취업까지 궁금한 정보를 손쉽게 유튜브에서 찾고, 드라마는 TV가 아닌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넷플릭스]]로 한꺼번에 몰아서 본다.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전화,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지털기기를 통해 온 세상 소식을 접한다.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세계각국의 다양한 사회 이슈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다. 주변친구가 나의 행동에 동참하지 않아도 개의치 않는다. 그들은 언제, 어디서든 취향, 관심사가 같은 친구와 연락할 수 있고 만날 수 있다. 공부, 게임 등 친구들과 온라인상에서 함께한다. MZ 세대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감지하고 비즈니스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ref>안소영 기자,〈[https://biz.chosun.com/industry/2021/05/31/57JHHZF4FBFCLGEKGKJI3IQ2VU/ 미래 비즈니스 바꾸는 新인류 ‘MZ 세대’]〉, 《이코노미조선》, 2021-05-31</ref>
  
 
==특징==
 
==특징==

2021년 7월 8일 (목) 10:15 판

MZ 세대란 1981~96년생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하면서 자란 미레니얼 세대와 1997~2010년생으로 스마티폰에 익숙한 디지털세대인 Z세대를 묶어서 표현한 것이다.[1]

개요

MZ세대(밀레니얼 + Z 세대·1981~2010년생)의 움직임에 기업과 시장이 움직이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1981~96년생)와 Z세대(1997~2010)는 '디지털 세대'라는 공통점으로 비슷한 성장 환경을 공유해왔기 때문에 이들을 주로 MZ세대로 묶어서 표현한다. 기성세대에게 있어서 MZ 세대는 함께해야 할 파트너이자 고객이지만,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존재이다. 수중에 가진 돈이 없는데 비싼 명품과 한정판 아이템은 언제든 구매하고, 퇴근 후 회식은 꺼리면서 온라인에서 온라인을 통해 연락한 생판 모르는 사람을 만나 대화를 한다. 이들은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컴퓨터와 인터넷, 스마트폰을 순차적으로 접하다보니 신문물에 빠르게 적응한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부모의 모습을 보고, 안정적인 직장을 원하지만 기성세대보다 직장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 않다. 취업 후 노동소득이외에 자본소득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그들은 한때 '욜로(YOLO·인생은 한 번뿐)'를 외치며 현재를 즐기다보니 모아둔 돈은 없지만, 더는 뒤처지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절박하게 돈을 모으고 파이어(FIRE·조기 은퇴)족을 꿈꾼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영증(코로나 19) 확산 이후, 주식과 가상화폐 투자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Z세대는 태어났을 때부터 스마트폰과 함 몸처럼 살면서 디지털 생활을 영위했다. 사회 이슈, 연예계 소식은 물론 학업부터 취업까지 궁금한 정보를 손쉽게 유튜브에서 찾고, 드라마는 TV가 아닌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넷플릭스로 한꺼번에 몰아서 본다.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전화,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지털기기를 통해 온 세상 소식을 접한다.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세계각국의 다양한 사회 이슈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다. 주변친구가 나의 행동에 동참하지 않아도 개의치 않는다. 그들은 언제, 어디서든 취향, 관심사가 같은 친구와 연락할 수 있고 만날 수 있다. 공부, 게임 등 친구들과 온라인상에서 함께한다. MZ 세대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감지하고 비즈니스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2]

특징

대한민국의 MZ세대

각주

  1. 남영준,〈(남영준 연재) 관심 높은 MZ 세대(2030세대)의 특성〉, 《이코노미조선》, 2021-06-30
  2. 안소영 기자,〈미래 비즈니스 바꾸는 新인류 ‘MZ 세대’〉, 《이코노미조선》, 2021-05-31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MZ세대 문서는 메타버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