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오정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24번째 줄: 24번째 줄:
 
철저한 사용자 중심의 상품 개발과 혁명적으로 발전하는 모바일 기술을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 활용, 생산자와 소비자가 네트워크에서 만나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ref> 박유진 기자 , 〈[http://www.mediapen.com/news/view/429391 (2019 비전포럼) 오정근 핀테크 활성화 성공 비결은 CNPG]〉 , 《미디어펜》 ,  2019-04-25 </ref>
 
철저한 사용자 중심의 상품 개발과 혁명적으로 발전하는 모바일 기술을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 활용, 생산자와 소비자가 네트워크에서 만나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ref> 박유진 기자 , 〈[http://www.mediapen.com/news/view/429391 (2019 비전포럼) 오정근 핀테크 활성화 성공 비결은 CNPG]〉 , 《미디어펜》 ,  2019-04-25 </ref>
  
 
+
=== 2019 한-우즈벡 핀테크 블록체인 포럼 ===
 +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직속 국가프로젝트관리위원회(NAPM)의 유리예비치 파크부청장과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의 유준상이사장은 양 국간 블록체인 기술발전을 위한 '기술협약'을 맺었다.
 +
행사는 오정근 교수(건국대)의 '핀테크 시장의 현황과 변화', 김형중 교수(고려대)의 '블록체인 시장의 현황과 변화', 우즈벡 Yuryevich PAK 부청장(NAPM)의 '우즈벡 시장의 현황 및 인사이트' 발표에 이어 이서령 겸임교수(선문대)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우즈벡 시장의 변화와 진출기업에 요구되는 사항'을 주제로 한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
우즈베키스탄은 올해 국가프로젝트관리위원회(NAPM) 알렉산드르 텐 총괄 본부장이 방한해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추진중인 ‘블록체인 스마트시티’와 정부의 블록체인 육성 발전정책 등을 소개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블록체인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ref> 박찬중 기자 , 〈[http://wncnews.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238 2019 한-우즈벡 핀테크 블록체인 포럼 열려]〉 , 《충남복지문화신문》 ,  2019-12-19 </ref>
  
 
== 동영상 ==  
 
== 동영상 ==  
36번째 줄: 39번째 줄:
 
* 김은지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10155376g (ABCD포럼) 오정근 회장 가상화폐, 국제기축통화에 포함될 것]〉 , 《한경닷컴》 ,  2019-10-15
 
* 김은지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10155376g (ABCD포럼) 오정근 회장 가상화폐, 국제기축통화에 포함될 것]〉 , 《한경닷컴》 ,  2019-10-15
 
* 박유진 기자 , 〈[http://www.mediapen.com/news/view/429391 (2019 비전포럼) 오정근 핀테크 활성화 성공 비결은 CNPG]〉 , 《미디어펜》 ,  2019-04-25
 
* 박유진 기자 , 〈[http://www.mediapen.com/news/view/429391 (2019 비전포럼) 오정근 핀테크 활성화 성공 비결은 CNPG]〉 , 《미디어펜》 ,  2019-04-25
 
+
* 박찬중 기자 , 〈[http://wncnews.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238 2019 한-우즈벡 핀테크 블록체인 포럼 열려]〉 , 《충남복지문화신문》 ,  2019-12-19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ABCD포럼]]
 
* [[ABCD포럼]]
  
 
{{블록체인 관계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관계자|검토 필요}}

2020년 1월 13일 (월) 14:08 판

오정근한국금융ICT융합학회의 회장이다

생애

영국에서 경제학박사학위 취득 후 한국은행 동남아중앙은행 근무 한 후 고려대 경제학 교수 를 거쳐 현재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 겸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위원으로 있으며 한국국제금융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아시아금융학회장 한국금융ICT융합학화장을 맡고 있음 주로 한국경제 국제금융 통화금융 동아시아금융협력 금융IT를 연구하고 있다.

약력

  • 2008년 12월 : 한국은행 국장
  • 2009년 ~ 2014년 : 고려대학교 교수
  • 2014년 ~ 2017년 : 건국대학교 특임교수
  • 2014년 ~ 2017년 4월 : 한국경제연구원
  • 2018년 2월 ~ 현재 : 글로벌코인평가 대표이사
  • 2018년 2월 ~ 현재 : 디지털 통화 금융 연구원장
  • 현재 :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

주요 활동

ABCD포럼

"가까운 미래에는 국제기축통화에 가상화폐가 포함될 것입니다." 오정근 금융ICT융합학회 회장은'2019 한경 디지털 ABCD 포럼'에서 강연자로 나서 "암호화폐가 기축통화와 공존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암호화폐는 금융산업은 물론 국제통화금융 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 회장은 "화폐는 거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상품화폐에서 금속화폐, 법정화폐를 거쳐 디지털 화폐로 진화하고 있다"면서 "암호화폐의 경우 기술혁신을 수용하면서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했다.[1]

2019 크리에이티브 비전 포럼-핀테크와 한국금융의 미래

CNPG란 고객화(customerization), 네트워크(network), 플랫폼(platform), 세계화(globalization)를 의미한다. 이날 포럼의 강연을 맡은 그는 한국금융산업을 현 상황을 진단하고 주목할 만한 핀테크 기업 소개, 인터넷전문은행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 혁명, 빅데이터 신용분석의 중요성, 인공지능(AI) 기술 및 블록체인 등의 사례를 제시했다. 철저한 사용자 중심의 상품 개발과 혁명적으로 발전하는 모바일 기술을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 활용, 생산자와 소비자가 네트워크에서 만나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2]

2019 한-우즈벡 핀테크 블록체인 포럼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직속 국가프로젝트관리위원회(NAPM)의 유리예비치 파크부청장과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의 유준상이사장은 양 국간 블록체인 기술발전을 위한 '기술협약'을 맺었다. 행사는 오정근 교수(건국대)의 '핀테크 시장의 현황과 변화', 김형중 교수(고려대)의 '블록체인 시장의 현황과 변화', 우즈벡 Yuryevich PAK 부청장(NAPM)의 '우즈벡 시장의 현황 및 인사이트' 발표에 이어 이서령 겸임교수(선문대)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우즈벡 시장의 변화와 진출기업에 요구되는 사항'을 주제로 한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우즈베키스탄은 올해 국가프로젝트관리위원회(NAPM) 알렉산드르 텐 총괄 본부장이 방한해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추진중인 ‘블록체인 스마트시티’와 정부의 블록체인 육성 발전정책 등을 소개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블록체인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3]

동영상


각주

  1. 김은지 기자, 〈(ABCD포럼) 오정근 회장 가상화폐, 국제기축통화에 포함될 것〉 , 《한경닷컴》 , 2019-10-15
  2. 박유진 기자 , 〈(2019 비전포럼) 오정근 핀테크 활성화 성공 비결은 CNPG〉 , 《미디어펜》 , 2019-04-25
  3. 박찬중 기자 , 〈2019 한-우즈벡 핀테크 블록체인 포럼 열려〉 , 《충남복지문화신문》 , 2019-12-19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오정근 문서는 블록체인 관계자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