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武汉, wǔ hàn)은 중국 후베이성(湖北省)의 성소재지이며 장강중류에 있으며 장강과 장강의 가장 큰 지류인 한강이 우한을 우창(武昌), 한커우(汉口), 한양(汉阳) 3개 구역으로 나눈다.
- 행정 단위: 후베이성(湖北省) 지급시[1]
- 시정부소재지: 쟝안구옌쟝대도 188(江岸区沿江大道188号)
- 면적: 8,569km²
- 인구: 1121만2000 명(2019년)
- 시장: 저우샌왕(周先旺,zhōu xiān wàng)
- 지역전화: 027
- 우편번호: 430000
고고학자들이 우한 지역에서 지금부터 약 8000년 전의 신석기 시대 도구들과 약 4300년 전의 인류가 생존하였던 고대 도시 유적을 발견하였다. 판룽성 유적지는 약 3500년 전의 상나라때 성이며 춘추전국시기에는 우한이 초나라의 관할을 받았다. 동한 말기 성을 건설하고 태수를 세우고 관할하게 하였다. 삼국시기 오나라 손권이 우한에 성을 건설하고 전망대를 세웠는데 이것이 유명한 황허뤄우(黄鹤楼)이다.
당나라때 우창(武昌)과 한양(汉阳)은 장강 연안의 중요한 상업 중심지였으며 당시 우한의 경제문화가 점차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문인들이 모이는 곳이 였다. 당나라 이름난 시인 리백은 우한에서 황허뤄우(黄鹤楼)시를 썼으며 이로 하여 우한은 <강의 도시>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명나라 중기 한강의 물길을 바꿔 장강으로 들어가게 하는 수리건설을 하여 한강 이북에 한커우(汉口)진이 형성되었다. 명나라 말과 청나라 초에 한커우(汉口)진은 수로와 육로가 모두 발달한 교통 중심지가 되면서 중국에서 중요한 번화도시가 되었다.
1858년에 청나라는 영국과 불평등 조약인 <텐진조약>을 체결하고 한커우(汉口)를 대외통상 항구로 개방하기로 하고 1861년에 정식으로 개통하였다. 영국, 독일, 러시아, 프랑스, 일본은 한커우(汉口)에 조계지를 세우고 각자의 영사법원, 경찰서 등 관리기구를 만들었으며 40여개 나라들에서 영사관을 설립하였다. 이로 하여 우한의 대외무역이 크게 발전하고 많은 외국 상인들이 한커우(汉口)에 부두를 건설하고 은행과 회사를 설립하였다. 1889년 짱즈뚱(张之洞, zhāng zhī dòng)이 후꽝총독(湖广总督)으로 있으면서 우한에 양무운동을 크게 보급시키고 한양 강철공장, 후베이 총포(枪炮)공장 등을 건설하여 우한의 근대공업과 도시 상품경제를 발전시켰다. 그는 징한철도(京汉铁路)를 수리건설하여 우한이 중국 남북교통의 중심이 되었다. 갑오전쟁후 한커우(汉口)는 민족경제를 발전시키고 점차적으로 현대화 도시로 발전하였다.
1911년 10월 10일에 신해혁의 첫번째 봉기인 우창봉기가 우창에서 일어나고 군정부를 세우고 중화민국을 성립하였다. 1926년 중화민국국민정부가 우한을 수도로 정하고 우창(武昌), 한커우(汉口), 한양(汉阳) 3개 구역을 한개 도시로 만들고 이름을 우한이라 정하였다. 1920년대 부터 항일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 우한에 516개 근대 공장이 있었으며 인구는 120만명을 초과하였다. 1937년 중국에서 항일전쟁이 전면적으로 일어나면서 우한은 주요 전쟁터로 전락되면서 인구가 많이 감소되고 경제가 크게 파손되었다.
1949년 5월 24일 중국공산당이 우한시 인민정부를 성립하였다. 1954년에 우한이 후베이성 소재지로 되기 전까지 중앙직할시였다.
행정구역[편집]
우한은 13개 구로 형성되었다.
- 차오커우구(硚口区)
- 쟝안구(江岸区)
- 쟝한구(江汉区)
- 한양구(汉阳区)
- 우창구(武昌区)
- 칭산구(青山区)
- 훙산구(洪山区)
- 차이맨구(蔡甸区)
- 둥시후구(东西湖区)
- 한난구(汉南区)
- 쟝샤구(江夏区)
- 황피구(黄陂区)
- 신저우구(新洲区)
우한은 아열대 계절풍 습윤기후로 비가 많이 내리고 습하고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다. 연 평균기온이 15.8℃—17.5℃이고 역사적으로 제일 높은 기온이 1934년 8월 10일의 41.3℃이고 제일 낮은 기온이 1977년의 -18.1℃이다. 연 강우량이 1150mm-1450mm이다. 무더운 여름 날씨 때문에 우한은 난징, 충칭과 더불어 '차이나 3대 화로' 중 하나로 알려져있다. 봄과 가을은 대체로 온화하고 겨울은 시원하고 이따금씩 눈이 온다.
2019년까지 우한의 인구는 1121만 2000명이다. 2010년의 인구 조사에 의하면 1000명을 넘는 소수민족이 12개 있으 그중에 투쟈족 30215명, 후이족 21777명이다.
참고자료[편집]
- 〈武汉〉, 《百度百科》
- 〈우한시〉, 《위키백과》
- 〈武汉市〉, 《维基百科》
같이 보기[편집]
이 우한시 문서는 도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섬, 국가, 도시 □■⊕, 신도시, 한국행정구역, 세계행정구역, 지도서비스,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건설, 토지
|
|
도시
|
경제도시 • 경제수도 • 계획도시 • 고대도시 • 공업도시 • 공정무역도시 • 관광도시 • 광업도시 • 광역시 • 교육도시 • 교통도시 • 근대도시 • 농업도시 • 뉴타운 • 다핵도시 • 대도시 • 대형신도시 • 도시 • 무역도시 • 문화도시 • 미래도시 • 사막도시 • 산악도시 • 산업도시 • 상업도시 • 생산도시 • 성도 • 소도시 • 소비도시 • 수도 • 수변도시 • 슬럼 • 슬럼화 • 신도시 • 어업도시 • 위성도시 • 자치시 • 주도 • 중세도시 • 중소도시 • 직할시 • 천도 • 초대형신도시 • 특별시 • 항구도시 • 해변도시 • 행정도시 • 행정수도 • 현대도시 • 호수도시 • 휴양도시
|
|
한국의 도시
|
개성시 • 광주광역시 • 남포시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라선시 • 부산광역시 • 서울특별시 • 세종특별자치시 • 신의주시 • 울산광역시 • 원산시 • 인천광역시 • 평양시 • 함흥시
|
|
중국의 도시
|
가오슝시 • 광저우시 • 구이양시 • 난닝시 • 난징시 • 난창시 • 난충시 • 난퉁시 • 닝보시 • 다롄시 • 단둥시 • 동관시(둥관시) • 란저우시 • 루안시 • 뤄양시 • 류저우시 • 마카오 • 바오딩시 • 베이징시 • 산터우시 • 상하이시 • 샤먼시 • 선양시 • 선전시 • 스자좡시 • 시닝시 • 시안시 • 싼야시 • 쑤저우시 • 안산시 • 안양시 • 양저우시 • 옌지시 • 옌타이시 • 오르도스시 • 우루무치시 • 우시시 • 우쩐시 • 우한시 • 우후시 • 원저우시 • 웨이하이시 • 장먼시 • 정저우시 • 지난시 • 지린시 • 진화시 • 쯔보시 • 창사시 • 창저우시 • 창춘시 • 청두시 • 충칭시 • 취안저우시 • 치치하얼시 • 칭다오시 • 쿤밍시 • 타이난시 • 타이베이시 • 타이안시 • 타이위안시 • 타이저우시 • 타이중시 • 톈진시 • 포산시 • 푸양시 • 푸저우시 • 하얼빈시 • 하이커우시 • 항저우시 • 허페이시 • 홍콩 • 화이안시 • 후이저우시 • 훈춘시
|
|
일본의 도시
|
가나자와 • 고베 • 나고야 • 니이가타 • 도쿄 • 삿포로 • 센다이 • 오사카 • 요코하마 • 후쿠오카 • 히로시마
|
|
북아시아의 도시
|
노보시비르스크 • 블라디보스토크 • 울란바토르 • 이르쿠츠크 • 하바롭스크
|
|
동남아시아의 도시
|
네피도 • 다낭 • 다바오 • 딜리 • 마닐라 • 마카사르 • 만달레이 • 메단 • 메트로마닐라 • 바탐 • 반다르람풍 • 반다르스리브가완 • 반둥 • 발릭파판 • 방콕 • 브카시 • 비엔티안 • 세부 • 수라바야 • 스마랑 • 싱가포르 • 양곤 • 자카르타 • 조호르바루 • 족자카르타 • 치앙라이 • 치앙마이 • 케손시티 • 코타키나발루 • 쿠알라룸푸르 • 파타야 • 팔렘방 • 프놈펜 • 하노이 • 하이퐁 • 호치민
|
|
남아시아의 도시
|
뉴델리 • 다카 • 델리 • 라왈핀디 • 라호르 • 러크나우 • 뭄바이 • 벵갈루루 • 수랏 • 아마다바드 • 이슬라마바드 • 첸나이 • 치타공 • 카라치 • 카불 • 카트만두 • 칸푸르 • 콜롬보 • 콜카타(캘커타) • 팀부 • 파이살라바드 • 푸네 • 하이데라바드 (인도) • 하이데라바드 (파키스탄)
|
|
중앙아시아의 도시
|
노보시비르스크 • 아스타나(누르술탄) • 아시가바트(아슈하바트) • 아티라우 • 악타우 • 알마티 • 타슈켄트 • 투르크멘바시
|
|
서아시아의 도시
|
가지안테프 • 네옴시티 • 다마스커스 • 더 라인 • 두바이 • 라말라 • 리야드 • 마슈하드 • 메디나 • 메카 • 무스카트 • 바그다드 • 바쿠 • 베이루트 • 부르사 • 사나 • 수에즈 • 수후미 • 쉬라즈 • 스테파나케르트 • 아다나 • 아바즈 • 아부다비 • 암만 • 앙카라 • 예레반 • 예루살렘 • 옥사곤 • 이스탄불 • 이스파한 • 이즈미르 • 제다 • 츠힌발리 • 카라지 • 콘야 • 쿰 • 타브리즈 • 테헤란 • 텔아비브 • 트로제나 • 트빌리시
|
|
유럽의 도시
|
그로즈니 • 나폴리 • 니코시아 • 다보스 • 더블린 • 런던 • 레이캬비크 • 로마 • 류블랴나 • 리가 • 리버풀 • 리스본 • 마드리드 • 마르세유 • 마리우폴 • 마하치칼라 • 맨체스터 • 모스크바 • 뮌헨 • 민스크 • 밀라노 • 바르나 • 바르샤바 • 바르셀로나 • 바젤 • 버밍엄 • 베르겐 • 베른 • 베를린 • 베오그라드 • 본 • 볼로냐 • 볼프스부르크 • 부다페스트 • 부쿠레슈티 • 브라티슬라바 • 브레멘 • 브뤼셀 • 블라디캅카스 • 빈(비엔나) • 빌뉴스 • 사라예보 • 상트페테르부르크 • 세바스토폴 • 소치 • 슈투트가르트 • 스타브로폴 • 스톡홀름 • 아테네 • 아스트라한 • 암스테르담 • 에든버러 • 예테보리 • 오데사 • 오슬로 • 오울루 • 제네바 • 추크 • 취리히 • 카디프 • 코번트리 • 코펜하겐(쾨벤하운) • 쾰른 • 크라스노다르 • 키시너우 • 키이우 • 탈린 • 탐페레 • 토리노 • 티라스폴 • 파리 • 프라하 • 프랑크푸르트 • 하르키우 • 함부르크 • 헬싱키
|
|
북아메리카의 도시
|
과테말라 • 나소 • 누크 • 뉴욕 • 댈러스 • 덴버 • 디트로이트 • 라스베이거스 • 레드우드시티 • 로스앤젤레스 • 로체스터 • 마나과 • 마운틴뷰 • 마이애미 • 멕시코시티 • 몬트리올 • 바스테르 • 밴쿠버 • 벨모판 • 보스턴 • 산토도밍고 • 산호세 • 산호세 (코스타리카) • 새크라멘토 • 샌디에고 • 샌프란시스코 • 샬럿 • 서니베일 • 세인트루이스 • 시애틀 • 시카고 • 애틀랜타 • 앵커리지 • 오스틴 • 오타와 • 올랜도 • 워싱턴디씨 • 인디애나폴리스 • 캔자스시티 • 퀘벡 • 클리블랜드 • 킹스톤 • 테구시갈파 • 토론토 • 티후아나 • 파나마 • 팰로앨토 • 포르토프랭스 • 포틀랜드 • 프리포트 (바하마) • 피닉스 • 피츠버그 • 필라델피아 • 하바나 • 휴스턴
|
|
남아메리카의 도시
|
과야킬 • 라파스 • 리마 • 리우데자네이루 • 마라카이보 • 메데인 • 몬테비데오 • 보고타 • 부에노스아이레스 • 브라질리아 • 산타크루즈 • 산티아고 • 상파울루 • 수크레 • 아순시온 • 조지타운 • 카라카스 • 키토 • 파라마리보 • 푼타아레나스
|
|
아프리카의 도시
|
기자 • 나이로비 • 다르에스살람 • 더반 • 라고스 • 라바트 • 루안다 • 브라자빌 • 아디스아바바 • 아부자 • 아비장 • 안타나나리보 • 알렉산드리아 • 알제 • 요하네스버그 • 이바단 • 카노 • 카사블랑카 • 카이로 • 캄팔라 • 케이프타운 • 킨샤사 • 튀니스 • 트리폴리 • 프리토리아 • 하르게이사
|
|
오세아니아의 도시
|
멜버른 • 사우스타라와 • 시드니 • 오클랜드 • 울런공 • 웰링턴 • 캔버라 • 크라이스트처치 • 호놀룰루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