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区, 서장자치구, xī cáng zì zhì qū)는 중국 서남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자치구 소재지는 라싸이다. 북쪽은 신장위구르자치구, 동쪽은 쓰촨성, 동남쪽은 윈난성, 동북쪽은 칭하이성과 인접하였으며 미얀마, 인도, 부탄, 네팔등 국가와 접하여 있다.
- 행정 단위: 자치구(自治区)
- 정부소재지: 라싸시 캉앙루 1 (拉萨市康昂路1号)
- 면적: 122만 8400 km²
- 인구: 3,438,200 명(2018년)
- 공산당 서기: 우잉제(吴英杰, wú yīng jié)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www.xizang.gov.cn/
티베트자치구는 중국 서남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북쪽은 신장위구르자치구, 동쪽은 쓰촨성, 동남쪽은 윈난성, 동북쪽은 칭하이성과 인접하였으며 미얀마, 인도, 부탄, 네팔등 국가와 접하여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높은 칭장고원(青藏高原)의 중심을 이루는 티베트고원은 해발 4,000m 이상의 대고원이며 "세계의 지붕"이라는 별칭이 있다. 고원 남부에 있는 히말라야 산맥은 험난한 산들의 봉우리가 이어져 있으며 네팔 국경에 있는 에베레스트 산(영어: Mount Everest, 네팔: 사가르마타 सगरमाथा, 티베트어: 초모랑마 ཇོ་མོ་གླང་མ, 중국조선말: 쵸몰라마봉, 중국어: 주무랑마봉 珠穆朗瑪峰) 봉우리는 해발 8,848m에 이르는 세계 최고봉이다. 지형은 크게 북티베트(藏北, 짱베이)고원, 히말라야 산지, 남티베트(藏南, 짱난) 골짜기, 동티베트(藏东, 짱둥) 고산 협곡 네 부분으로 나뉜다. 티베트는 중국에서 호수가 제일 많은 지역이다. 그 면적이 2만3800 km²로 1500개의 크고 작은 호수들이 이 있으며 비교적 큰 호수는 남초(티베트어: གནམ་མཚོ་, 중국어: 나무춰 納木錯), 셀링초(티베트어: སེར་གླིང་མཚོ, 중국어: 써린춰 色林错)가 있다.
기후는 온대 고산기후로 일교차가 크며 건조기와 우기가 명확하며 10월부터 4월 까지 건조기이고 5월부터 9월까지 우기이다. 연 평균 강우량이 지역에 따라서 차이나가 나는데 동남쪽 저산 지대는 5000mm이고 서북쪽으로 가면서 50mm로 적어진다. 티벳 남쪽은 인도양의 습윤한 기류의 영향을 받아 온난하고 비가 많으며 연 평균기온이 8℃이고 북쪽은 고산 대륙성 기후로 연 평균기온이 0℃, 빙동기가 반년 이상이다.
6세기 이전 티베트고원에는 많은 작은 나라와 부족들이 있었는데 그중에 강인(羌人)과 선비(鲜卑)의 후예들도 있었다. 후에 12개 작은 나라로 합하였는데 그중에 야를룽짱뽀 강(ཡར་ཀླུང་གཙང་པོ།, 야루짱부 강 雅鲁藏布江)부근에 있는 나라가 강성하면서 티베트를 통일 시키고 토번(吐蕃)왕조를 세웠다. 토번은 당나라, 송나라때 중국 사람들이 티베트 인에 대한 호칭이며 티베트인들은 스스로를 보에(Bod)라고 불렀다.
당나라시기 토번왕조의 손챈감포왕이 중원의 선진적인 문화를 유입하기 위하여 당나라에 여러차례 혼인을 청하였다. 641년에 문성공주(文成公主)와 결혼하면서 농업기술, 건축, 공예 등이 함께 티베트로 전수 되었다. 869년에 토번왕조는 붕괴되고 칭장고원에는 여러 나라로 분렬되었다. 원나라가 영토를 확장하면서 티베트를 정복하고 선정원(宣政院)의 관할을 받았으며 1368년에 명나라가 원나라를 멸망시킨후 티베트는 명나라의 관할을 받았다. 1652년, 제5세 달라이 라마는 북경에서 청나라 순치황제를 회견하고 그 다음해 청나라의 정식 책봉을 받았으며 그 후 제5세 반첸은 강희황제의 책봉을 받았다. 1727년, 융정황제는 티베트에 주재 관리를 두고 티베트를 관리하였다.
신해혁명후, 중화민국 시기 몽골과 티베트를 관리하는 중앙기구인 몽장사무국(蒙藏事务局)을 설립하고 국무총리 직속인 주재 장관을 두고 관리하였다. 1914년에 몽장사무국(蒙藏事务局)을 몽장원(蒙藏院)으로 개칭하였다가 1929년에는 몽장원(蒙藏院)을 몽장위원회(蒙藏委员会)로 개칭하였다.
1951년 5월 23일 중국공산당은 티베트지방정부와 <십칠조협의>(티베트를 평화적으로 해방할것에 대한 협의)를 체결하고 티베트를 평화적으로 해방하였다.
1956년 4월 22일에 티베트자치구 준비 위원회가 라싸에서 성립되었지만 1959년 3월 10일 달라이 라마를 비롯한 티베트 지도자들이 <십칠조협의>를 페지하고 라싸에서 무장반란을 일으켰다. 무장반란은 달라이 라마가 3월 17일 도망가므로 철저히 실패 하였다. 1965년 9월 9일 티베트자치구가 정식적으로 성립되었다.
행정 구역[편집]
티베트자치구는 6개의 지급시[1]와 1개 지구(地区)로 구성되었다.
- 라싸시(拉萨市, ལྷ་ས་གྲོང་ཁྱེར།)
- 르카쩌시(日喀则市, གཞིས་ཀ་རྩེ་གྲོང་ཁྱེར།།)
- 창두시(昌都市, ཆབ་མདོ་གྲོང་ཁྱེར།།)
- 린즈시(林芝市, ཉིང་ཁྲི་གྲོང་ཁྱེར།།)
- 산난시(山南市, ལྷོ་ཁ་གྲོང་ཁྱེར།།)
- 나취시(那曲市, ནག་ཆུ་ས་ཁུལ།།)
- 아리지구(阿里地区, མངའ་རིས་ས་ཁུལ།།)
2018년까지 티베트자치구 인구는 3,438,200 명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장족이 2,716,389명, 한족이 245,263명, 기타 소수민족이 40,514명이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티베트자치구 문서는 지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 지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신도시, 한국행정구역, 세계행정구역, 지도서비스,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건설, 토지
|
|
지역
|
거리 • 거주지 • 경제자유구역 • 고시촌 • 고을 • 고장 • 고향 • 공동체 • 공업지구 • 관광지 • 광산 • 광산촌 • 교외 • 구도심 • 구시가지 • 구역 • 군사기지 • 군사지역 • 권역 • 기지촌 • 녹지 • 농가 • 농어촌 • 농장 • 농지 • 농촌 • 뉴타운 • 단지 • 달동네 • 대단지 • 도시지역 • 도심 • 동네 • 디지털단지 • 리틀 이탈리아 • 마을 • 메가시티 • 메갈로폴리스 • 메트로폴리스 • 목장 • 미군기지 • 민족 월경지 • 번화가 • 베드타운 • 변두리 • 부락 • 부심 • 부촌 • 분쟁지역 • 비도시지역 • 빈민촌 • 산동네 • 산악지역 • 산업단지 • 산촌 • 상가 • 상권 • 상대농지 • 상업지구 • 상점가 • 소단지 • 수상마을 • 시가지 • 시골 • 시내 • 시외 • 식당가 • 신도시 • 신시가지 • 양외지 • 어장 • 어촌 • 업무지구 • 외지 • 요충지 • 월경지 • 위요지 • 유흥가 • 읍내 • 장소 • 절대농지 • 주말농장 • 중심상가 • 중심지 • 지구 • 지방 • 지역 • 집창촌 • 집터 • 쪽방촌 • 차이나타운 • 촌락 • 취락 • 치외법권 지역 • 코리아타운 • 타지 • 타향 • 터 • 터전 • 테마파크 • 판자촌 • 프라데시 • 학군 • 학원 • 학원가
|
|
한국의 지역
|
CBD • GBD • G밸리 • PBD • YBD • 가디구디 • 가산 • 가산디지털단지 • 강남 • 강남3구 • 강남4구 • 강남5구 • 강남 8학군 • 강남서초 • 강남업무지구 • 강동 • 강북 • 검단 • 경기 • 경기경제자유구역 • 경기지방 • 경상도 • 고덕 • 고덕국제신도시 • 관동지방 • 광교 • 광명시흥신도시 • 교산 • 구남가 • 구로 • 구로디지털단지 • 금관구 • 기호지방 • 남도 • 남해안 • 노도강 • 노량진 고시촌 • 대치동 학원가 • 대한민국 신도시 • 도심업무지구 • 동탄 • 동판교 • 동평택 • 동해안 • 마곡 • 마용성 • 마포 • 명동 • 명일동 학원가 • 목동 학원가 • 별내 • 부울경 • 부천대장 • 부천중동 • 분당 • 비수도권 • 산본 • 삼남지방 • 상계동 학원가 • 서울경기지역 • 서울도심 • 서울디지털산업단지 • 서초 • 서판교 • 서평택 • 서해안 • 성동 • 성수 • 송도 • 송산그린시티 • 송파 • 수도권 • 수용성 • 시화공단 • 시흥배곧지구 • 신도림 • 신림동 고시촌 • 신촌 • 양주신도시 • 여의도 • 여의도업무지구 • 영남지방 • 영동지방 • 영등포 • 영서지방 • 영종 • 영호남 • 왕숙 • 용산 • 용산국제업무지구 • 용산미군기지 • 용성광 • 우장산 학원가 • 운정 • 위례 • 의양동 • 이태원 • 인천경제자유구역 • 일산 • 잠실 • 잠실 엘리트 • 전라도 • 제주 • 준강남 • 중계동 학원가 • 지제 • 창릉 • 청라 • 충청도 • 테남 • 테북 • 테헤란밸리 • 판교 • 판교업무지구 • 평촌 • 평택 • 평택미군기지 • 포승지구 • 한강변 • 한강신도시 • 한국 남부지방 • 한국 중부지방 • 현덕지구 • 호남지방 • 호서지방
|
|
북한의 지역
|
38선 • 강원도 (북) • 개성시 • 개성공업지구 • 관남지방 • 관북지방 • 관서지방 • 군사분계선 • 남포시 • 동북지방 • 라선시 • 량강도 • 비무장지대 • 신의주시 • 원산시 • 자강도 • 철령관 • 판문점 • 평안남도 • 평안도 • 평안북도 • 평양시 • 한국 북부지방 • 함경남도 • 함경도 • 함경북도 • 함흥시 • 해서지방 • 황해남도 • 황해도 • 황해북도 • 휴전선
|
|
중국의 지역
|
간쑤성 • 광둥성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저우성 • 네이멍구자치구 • 닝샤후이족자치구 • 동북지구 • 동북3성 • 랴오닝성 • 만주 • 산둥성 • 산시성 (산서성) • 산시성 (섬서성) • 서남지구 • 서북지구 • 신장위구르자치구 • 쓰촨성 • 안후이성 • 옌볜조선족자치주 • 윈난성 • 장시성 • 장쑤성 • 저장성 • 중남지구 • 지린성 • 칭하이성 • 티베트자치구 • 푸젠성 • 하이난성 • 허난성 • 허베이성 • 헤이룽장성 • 화남지구 • 화동지구 • 화북지구 • 화중지구 • 후난성 • 후베이성
|
|
일본의 지역
|
간사이지방 • 간토지방 • 규슈지방 • 남일본 • 도호쿠지방 • 동일본 • 북일본 • 서일본 • 시코쿠지방 • 오키나와현 • 주고쿠지방 • 주부지방 • 중일본 • 홋카이도지방
|
|
미국의 지역
|
뉴욕주 • 뉴저지주 • 매사추세츠주 • 메릴랜드주 • 메인주 • 미국 남부지역 • 미국 동부지역 • 미국 동북부지역 • 미국 서부지역 • 미국 중부지역 • 미국 중서부지역 • 미네소타주 • 미시간주 • 버지니아주 • 실리콘밸리 • 아이오와주 • 애리조나주 • 오리건주 • 오하이오주 • 워싱턴주 • 위스콘신주 • 인디애나주 • 일리노이주 • 조지아주 • 캘리포니아주 • 코네티컷주 • 콜로라도주 • 텍사스주 • 펜실베이니아주 • 푸에르토리코 • 플로리다주
|
|
러시아의 지역
|
극동연방관구 • 남부연방관구 • 볼가연방관구 • 북서연방관구 • 북캅카스연방관구 • 시베리아연방관구 • 우랄연방관구 • 중앙연방관구
|
|
세계의 지역
|
구대륙 • 그린란드 • 극지방 • 날짜변경선 • 남극 • 남극권 • 남극대륙 • 남극점 • 남극해 • 남반구 • 남북아제르바이잔 • 남아메리카 • 남아시아 • 남아프리카 • 남유럽 • 동남극 • 동남아시아 • 동남유럽 • 동말레이시아 • 동반구 • 동아시아 • 동아프리카 • 동양 • 동유럽 • 동인도제도 • 라틴아메리카 • 멜라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 • 본초자오선 • 북극 • 북극권 • 북극점 • 북반구 • 북아메리카 • 북아시아 • 북아프리카 • 북유럽 • 서남극 • 서뉴기니(이리안자야) • 서반구 • 서아시아 • 서아프리카 • 서양 • 서유럽 • 서인도제도 • 세계 • 세계도 • 시베리아 • 신대륙 • 아나톨리아 • 아남극 • 아델리랜드 • 아랍 • 아메리카 대륙 • 아세안 • 아시아 • 아시아 태평양 • 아프로 유라시아 대륙 • 아프리카 • 앵글로아메리카 • 역외 폴리네시아 • 영미권 • 영연방 • 오세아니아 • 오스트랄라시아 • 유라시아 대륙 • 유럽 • 유럽연합(EU) • 육대주 • 자오선 • 적도 • 중남미 • 중동 • 중앙아메리카 • 중앙아시아 • 중앙아프리카 • 중앙유럽 • 중화권 • 질랜디아 대륙 • 칠대륙 • 쿠르디스탄 • 판게아 대륙 • 페르시아 • 폴리네시아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
|
지방
|
가자지구 • 남오세티야 • 남캅카스 • 도클람(둥랑) • 돈바스 • 레반트 • 메소포타미아 • 보이보디나 • 북오세티야 • 북캅카스 • 서안지구 • 아라비아 • 예가체프 • 오세티야 • 자카룽 • 제네바공화국 • 지브롤터 • 카슈미르 • 카탈루냐 • 캅카스 • 파삼룽 • 파타고니아 • 하와이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