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연사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함경북도 위치
연사군 위치

연사군(延社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중서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연사군의 면적은 1,210km²이며 인구는 37,876명(2008)이다. 동쪽으로 무산군·경성군, 남쪽으로 어랑군, 서쪽으로 량강도 대홍단군·백암군에 인접한다. 동서(삼포리~광양리) 간 거리는 32km이고, 남북(신양노동자구~삼하리) 간 거리는 55km이며, 도 전체면적의 7.58%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10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연사읍이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 시에 연사면을 위주로 신설한 군이므로 연사군이라 하였는데, 연사면은 연면사를 개편하여 신설한 면으로서, 연면사의 가운데 자를 줄여 붙인 이름이다. 연면사는 연면수(길게 뻗은 강)를 낀 사(부락)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으며, 연사군은 결국 길게 뻗은 강을 낀 군이라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3]

자연환경[편집]

연사군은 백무고원(白茂高原)의 중간 부분을 차지한 지역으로서 함경북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평균 해발은 1,000~1,300m로서 제일 높은 곳은 관모봉(冠帽峯, 2,540m)이고, 제일 낮은 곳은 삼하리의 서두수골 바닥(570m)이다. 연사군 영역의 상대적 높이는 약 2,000m이다. 지세는 동부와 남부가 높고 연면수(延面水)와 서두수(西頭水)가 흐르는 북부로 가면서 낮아진다.

동부에는 경성군, 어랑군과 경계를 이루는 함경산맥(咸鏡山脈)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연사군의 기본 영역에는 연면수(延面水)와 구운수(九雲水)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북서방향으로 뻗은 3개의 큰 지맥이 있다. 동부 함경산맥에는 북한에서 백두산(白頭山) 다음가는 관모봉을 비롯하여 투구봉(鬪具峯, 2,333m), 궤산봉(櫃山峯, 2,272m), 도정산(道頂山, 2,200m), 대덕산(大imagefont山, 2,174m) 등 해발 2,000m 이상의 높은 산들과 국사봉(國祠峯), 태평산(太坪山, 2,206m), 원골산(1,379m), 삼북산(三北山, 1,328m) 등이 솟아 있다.

노평리 일대에는 상대적 높이가 200~300m 정도의 노평덕, 송평덕과 같은 덕땅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연면수 연안의 팔소리, 연수리, 신장리 일대에도 농업생산에 유리한 덕지대들이 이루어져 있다. 연사군의 지질은 마천령계(摩天嶺系)의 성진통, 두만계(豆滿系)의 암기통, 제4기층, 이원암군, 단천암군으로 이루어졌다. 성진통은 연사지구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혼성암류, 편마암류로, 암기통은 군의 남부일대에 드러나 있으며 규질암류, 천매암류, 점판암, 사암들로 이루어졌다.

이원암군은 주로 연면수 서쪽일대에, 단천암군은 주로 연면수 동쪽일대에 분포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화강암류로 되어 있다. 연사군에는 규석, 이탄, 몰리브덴과 같은 지하자원들이 묻혀 있는데, 이탄은 연수리에, 규석은 연사 일대에, 몰리브덴은 신양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연사군은 대륙성기후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역이다. 연평균기온은 3.6℃, 1월 평균기온은 -15.5℃, 7월 평균기온은 20.2℃이고 1월 평균기온이 함경북도에서 제일 낮은 지역이다. 최고극기온은 36.4℃(1978년 7월 28일), 최저극기온은 -34.4℃(1977년 1월 2일)이였다.

연평균일조율은 55%이며 6~7월에는 48% 정도이다. 연안개일수는 2일로서 함경북도에서 제일 적다. 10℃이상 적산온도는 연사에서 2,428℃, 광양에서 2,200℃, 삼포에서 2,100℃이다. 연평균강수량은 580mm이며 연최대강수량은 773.9mm(1962년), 연최소강수량은 351.1mm(1977년)였다. 첫서리는 9월 중순에, 마감서리는 5월 말에 내린다. 겨울동토의 깊이는 연사일대에서 110cm이다. 연중 우세한 바람은 남서풍이며 연평균풍속은 2.8m/s이다. 연사군의 북서부 변두리로 두만강의 제1지류 서두수가 유입되어 있고, 중부로는 연면수가 흐른다.

이 밖에도 연면수(延面水)의 지류들인 구운수(九雲水), 대리천(大里川), 설령천(雪嶺川), 초소천(初所川)을 비롯한 많은 하천들이 있다. 하천들은 거의다 깊은 계곡을 따라 흐르는 산지하천들이다. 구운수 하류에는 전력생산에서 의의가 큰 저수지가 있다. 연사군은 북한에서 산림 자원이 가장 풍부한 지역의 하나이다.

산림은 연사군 면적의 90% 이상 차지하며 수종구성에서 침엽수가 대부분이다. 산림의 대부분은 신양, 삼포, 노평 일대의 산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높은 산지에는 주로 잎갈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사스래나무, 사시나무들이 분포되어 있고 저산 및 중산성산지에는 소나무와 신갈나무들이 많이 자라고 있다.

연사군에는 황기, 승마, 삼주, 오미자, 산사자를 비롯한 여러 가지 약용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는데, 오미자는 광양리에, 황기는 석수리와 노평리에, 승마 · 산함박꽃 같은 것은 신양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연사군에는 특이한 동물로 알려진 쥐토끼, 흰족제비와 사향노루, 사슴, 수달, 곰, 검은담비 등 여러 가지 짐승들이 있다. 사슴은 투구봉일대에, 사향노루는 설령의 북쪽 등연동골짜기에 비교적 많다. 하천들에는 두만강 수계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긴붕어와 산천어가 있다. 토양 유형에서 기본은 표백화갈색산림토양, 경석층토양, 갈색산림토양, 충적토이며 그밖에 고산습초원토양, 표백성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고산습초원토양은 관모봉, 설령(雪嶺, 2,442m), 투구봉 등 해발 2,000m 이상의 산봉우리에, 해발 1,700~1,800m 지역에는 표백성토양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경석층토양은 화산이 분출할 때 화산사가 뿌려져 층을 이루고 새로운 토양생성과정을 거치고 있는 토양으로서 연사군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경석층토양이 비교적 두터운 층을 이루고 있는 곳은 삼포리, 석수리, 광양리 등 지역인데 평균 30~40cm의 두께를 보이고 있다. 충적토는 연면수, 서두수, 구운수 연안을 따라 좁은 띠모양으로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1952년 12월에 전 무산군 연사면(延社面)의 전체 리와 삼장면(三長面)의 5개 리를 병합하여 연사군을 구성하였는데, 연사면의 사지리와 구소리 일부를 병합하여 연사읍(延社邑)을, 연사면의 신흥리를 분리하여 신흥일리(新興一里)와 신흥이리(新興二里)를 각각 신설하였고, 연사면의 신장리와 상포리를 병합하여 신장리(新章里)로, 연사면의 팔소리와 구소리 일부를 병합하여 팔소리(八所里)로, 연사면의 남작리와 양수리를 병합하여 남작리(南作里)로, 연사면의 신양리와 당동리를 병합하여 신양리(新陽里)로, 연사면의 삼포리와 서안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포리(三浦里)로, 연사면의 석수리와 서안리 일부를 병합하여 석수리(石水里)로, 삼장면의 삼상리를 연사군 삼상리(三上里)로, 삼장면의 농사리를 연사군 농사리(農事里)로, 삼장면의 신덕리를 연사군 신덕리(新德里)로, 삼장면의 유곡리를 연사군 유곡리(柳谷里)로, 연사면의 신북리를 연사군 신북리(新北里)로, 연사면의 광양리를 연사군 광양리(廣陽里)로, 연사면의 노평리를 연사군 노평리(蘆坪里)로, 삼장면의 삼하리를 연사군 삼하리(三下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6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무산군 연수리(延水里)가 연사군에 편입되었고, 신흥일리는 신흥노동자구(新興勞動者區)로, 신덕리는 신덕노동자구(新德勞動者區)로, 농사리는 가동노동자구(駕洞勞動者區)로, 삼상리는 삼상노동자구(三上勞動者區)로, 유곡리 일부는 유곡노동자구(柳谷勞動者區)로 승격되었으며, 유곡리 일부와 신흥이리를 병합하여 노은산노동자구(老隱山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1954년 10월에 유곡노동자구 일부가 보천군 독소노동자구(篤所勞動者區)에 편입되었고, 다른 일부는 삼상노동자구에 흡수되었으며, 무산군 삼장리(三長里)와 백암군 원봉리가 연사군에 이관되었고, 신북리 일부 지역이 삼하리에 흡수되는 동시에 삼하리 일부 지역이 무산군 임강리(臨江里)에 편입되었다.

1961년에 신양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고, 신덕노동자구 · 가동노동자구 · 신흥노동자구 · 삼상노동자구 · 노은산노동자구가 양강도에 가설된 삼지연군(三池淵郡)에 편입되었고, 원봉리가 양강도 백암군에 각각 흡수되었고, 양강도 백암군 원봉리 일부가 연사군 노평리에, 양강도 백암군 원봉리와 유평노동자구(柳坪勞動者區)의 각 일부가 연사군 광양리에 각각 편입되었다. 1967년 10월에 양강도 백암군 원봉리가 연사군에 이관되면서 노동자구로 승격되었고, 동시에 연사군 광양리 일부 지역이 원봉노동자구(圓峯勞動者區)에 편입되었다.

1978년 8월에 연사군의 삼하리 일부가 양강도 대홍단군 삼봉노동자구에 흡수되었고, 연사군 삼장리와 원봉노동자구의 대부분 지역이 양강도 대홍단군에 이관되면서 원봉노동자구의 일부 지역이 연사군 노평리에 흡수되었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연사읍), 1구(신양노동자구), 10리(광양리, 남작리, 노평리, 삼포리, 삼하리, 석수리, 신북리, 신장리, 연수리, 팔소리)로 되어 있다. 연사군 소재지는 연사읍이다.[5]

산업[편집]

연사군은 산간지역으로서 예로부터 산림 자원이 풍부하여 통나무생산지로 유명하다. 광복 전에는 통나무채벌업과 원시적인 화전농업이 위주로 되어 있었다. 광복 후 연사군은 임업과 지방공업 그리고 농업과 축산업 등 농촌경리의 여러 부문을 가진 지역으로 발전하였다. 주요 공업부문은 임업, 식료품공업, 일용품공업, 방직 및 피복공업이다.

임업은 군에서 주도적 자리를 차지할 뿐 아니라 도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전국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부문이다. 연사군에는 신양임산사업소(新陽林山事業所)와 연사임산사업소(延社林山事業所)를 비롯한 통나무생산기지들이 있는데, 주로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잎갈나무 등이 생산되고 있다. 생산된 통나무는 무산제재공장(茂山製材工場)에서 여러 가지 용재로 가공되어 전국에 공급된다. 임업 다음 자리를 차지하는 식료품공업에서는 이 지역원료에 의한 간장, 된장, 기름, 당과류, 채소가공품, 산나물가공품, 청량음료가 산출된다.

일용품공업에서는 가구, 학용품, 운동기구생산이 큰 의의를 가지는데, 수십 여 종에 달하는 가구류와 탁구판, 탁구채, 하키채 같은 제품들은 도안의 여러 지역에 공급된다. 이밖에 군에서는 가성소다, 종이, 의약품, 부엌세간, 질그릇도 생산된다. 황기고, 창출고, 인진고, 오미자시럽제, 영신환, 사포솔, 대중합제 같은 의약품은 북한 여러 지역에 공급된다.

농경지산지가 많은 지형상 특성으로 하여 연사군 전체면적의 약 4%에 불과하다. 함경북도에서 농경지 비율이 제일 낮은 지역이다. 농경지에서 밭은 93%, 논은 2.6%를 차지한다. 농경지의 대부분은 연면수, 서두수를 비롯한 하천들의 침수지와 연수덕, 신장덕, 팔소덕, 노평덕과 같은 덕지대가 많은 신장리, 광양리, 팔소리, 연수리, 연사읍에 분포되어 있다. 농경지의 수직적 분포를 보면 그 대부분이 해발 600~1,000m 사이에 분포되어 있다.

평탄면이 많은 연수리, 신장리, 팔소리, 신북리 일대에는 해발 800m 이하에 농경지가 분포되어 있다. 해발 800m 이상에 농경지가 많은 지역은 석수리, 삼포리, 노평리이다. 이 지역에는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곳에도 농경지가 분포되어 있다. 주요 농산물은 감자, 옥수수이다. 연사군에서는 이 지방의 지대적 특성과 기후풍토에서 잘되는 감자와 옥수수를 기본으로 하면서 여러 가지 농작물을 재배하여 그 생산을 늘이고 있다. 감자는 노평, 석수, 삼포 일대를 비롯한 군의 대부분 지역에서 옥수수는 연사읍, 신장리, 팔소리 일대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산출된다. 이 밖에 벼, 콩, 보리, 밀 같은 것도 재배하고 있다.

공예작물에서는 담배, 들깨가 기본이다. 담배는 연수리, 신장리, 팔소리, 광양리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군에서는 고산지대의 기후풍토에 맞는 채소를 재배하여 그 생산을 늘이고 있다. 많이 재배하고 있는 채소는 무, 배추, 시금치, 파, 고추이다.

축산업은 닭, 토끼, 소, 염소, 양, 돼지 등 가축의 사육이 활발하다. 소를 많이 사육하는 지역은 신장리, 광양리, 팔소리, 연수리이며 양과 염소를 많이 사육하는 지역은 광양리이다.[6]

교통[편집]

교통은 중부 연면수 연안을 따라 백무선(白茂線)이 군 영역의 41.6km 구간에서 달리고 있으며 여기에 연수역(延水驛), 신장역(新章驛), 연사역(延社驛), 소도역(小桃驛), 나적역(羅跡驛) 등 5개 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망은 신의주~우암 간 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연사~무산, 연사~대홍단 간 도로가 달리고 있다. 연사~연수, 연사~삼포, 연사~신양, 연사~노평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연사군〉, 《위키백과》
  2. 연사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연사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연사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연사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연사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연사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연사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