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석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차이 없음)

2024년 5월 10일 (금) 14:21 기준 최신판

석기(石器, Stone tool)

석기(石器, Stone tool)란 을 재료로 그것을 가공해 제작한 도구의 총칭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손의 연장으로서의 돌로 만든 도구를 가리켜며, 비석이나 묘석과 같은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석기에 의존하는 문화가 오늘날까지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석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선사 시대의 생활상과 연관되어 있다.

석기에 관한 연구를 고고학자들은 석기 해부(lithic analysis)라고 하며, 석기는 뗀석기간석기로 세분화된다. 이러한 석기들은 화살촉이나 창 끝 등으로 사용되었다.

개요[편집]

석기는 돌을 이용하여 만든 도구들의 총칭으로, 인류가 지구상에 등장한 이후 금속을 이용하기 전에 먼저 돌을 사용하여 도구를 만들었다.

석기는 제작방법에 따라 뗀석기(打製石器)와 간석기(磨製石器)로 나눌 수 있는데, 뗀석기는 구석기시대에 주로 사용되었고, 간석기는 신석기시대 이후로 나타났다.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사이에는 세석기(細石器)를 사용하였던 중석기시대가 존재하였다.

구석기시대의 석기는 모두 뗀석기로서 그 재료는 강가나 해안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갈돌뿐 아니라 특별히 관심을 갖고 채집해야 하는 흑요석(黑曜石), 수석(燧石, flint), 반암(斑岩), 안산암(安山岩), 유문암(流文岩), 셰일(shale) 등이 선택되었다. 구석기시대는 시기별로 사용되던 도구가 달랐다. 구석기시대 전기에는 직접떼기가 가장 보편적인데, 사용되었던 석기로는 외날찍개(chopper), 쌍날찍개(chopping tool), 주먹도끼(hand-axe), 사냥돌(bolas), 자르개(cleaver), 긁개(scraper), 찌르개(point) 등이 있다.

12만년 전에서 4만년 전인 중기에는 석기제작기술이 보다 발달되어 톱니날석기, 뚜르개, 새기개(burin)등이 등장하고, 르발루아(Levallois)기법과 박편(剝片)을 정밀하게 새로 다듬는 이차가공법(二次加工法)이 나타난다. 4만년 전에서 1만년 전인 후기에는 간접떼기(間接打擊法)와 눌러떼기(加壓法)가 새로이 사용되는데 조각도로 사용된 끝날긁개(end-scraper)를 비롯하여 긁개, 찌르개, 뚜르개 등이 보다 소형화하며 수량이 많아진다.

신석기시대의 석기는 돌을 알맞게 다듬은 후 일부 혹은 전부를 마연(磨硏)하여 용도에 맞는 석기를 제작하는데 후기에 이르기까지 타제석기도 계속 사용되었다. 석재에는 자갈돌(礫石)을 계속 사용하지만 화강암(花崗岩), 섬록암(閃錄岩), 점판암(粘板岩), 혈암(頁岩), 사암(砂岩) 등 다양하다. 석기의 종류에는 어로(漁撈)와 관련되는 조합식어구(組合式漁具)·그물추(漁網錘), 사냥에 이용되는 돌화살촉(石鏃)·돌창(石槍), 일상용구인 돌도끼(石斧)·갈돌(石棒), 농경구(農耕具)인 낫·삽·가래·괭이 등이 있다.

청동기시대가 되면 주로 석기를 일상용구로 사용하게 되는데 거의 모든 석기가 간석기로 만들어졌다. 이 시기의 경제생활이 농경 의존도가 큰 시기이고 청동기가 한정적으로 만들어지므로 석기가 매우 다양하고 다량으로 만들어졌다. 곡식의 이삭을 따는 돌칼(石刀)이 있는데 반월형(半月形)과 삼각형(三角形)이 있고, 밭을 가는데 쓰이는 도구에는 돌괭이, 가래, 호미 등이 있다. 일상용구인 돌도끼(石斧)는 나무를 켜는 등 다목적용으로 그 형식이 다양하면서 많은 수가 유적에서 출토되었고, 홈자귀(有溝手斧)와 턱자귀(有段手斧)는 자귀의 일종으로서 목재를 다듬는데 이용되었다. 석기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숫돌(砥石)과 실을 꼬는데 사용하는 가락바퀴(紡錘車)도 많은 주거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사냥에 쓰이는 돌화살촉(石鏃)과 돌창(石槍)이 있는데 특히 돌화살촉은 신석기시대에 비해 그 형식이 다양하고 지역에 따라 다른 형식이 출토되고 있다. 무기인 석검(石劍)은 유경식(有莖式)과 유병식(有柄式)으로 나뉘고, 유병식은 다시 일단병식(一段柄式)과 이단병식(二段柄式)으로 나누어진다. 석검은 과거에는 세형동검(細形銅劍)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았으나 지금은 세형동검 출현 이전에 만들어진 실용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밖에 달도끼(環狀石斧), 별도끼(星形石斧) 등은 실용적이기보다는 상징적인 것으로 사용되었다. 석기 용도에는 실용적인 것 이외에도 의기용과 부장용이 있는데, 고인돌과 돌널무덤에서는 부장용의 돌화살촉과 석검이 출토되었다.

철기시대 이후에는 철기로 일상적인 도구를 만들기 때문에 석기의 종류나 수가 제한적이다. 다만 철기시대 초기에 철기가 본격적으로 공급되기 전에는 돌도끼, 돌화살촉, 숫돌, 가락바퀴 등이 여전히 사용되었으나 점차 줄어든다.

석기의 진위 구분과 판단 요소[편집]

가짜 석기(eoliths)의 문제는 고고학 연구의 초기에 유럽에서도 있었고, 오늘날 일본학계의 전기 구석기 논쟁도 근본적으로는 진짜와 가짜 석기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다. 이 논란은 사람의 행위로 석기에 생긴 특징들의 기준을 확립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고체인 돌에 충격을 가하면 흔히 조가비 모양의 돌 조각이 떨어진다. 돌의 부딪친 곳에 혹(bulb)이 생기고, 거기서 부챗살처럼 퍼져나가는 방사선(fissures)과 더불어 물결이 퍼지듯 동심원 무늬(ripples)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옆모습을 보면 혹이 생긴 부위(proximal part)에서 맞은편 끝(distal end)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진다(그림 1. 뗀석기의 특징 요소). 이런 흔적과 모습은 옛 사람이 석기를 제작할 때 어디를 가격하였는지 알려주는 요소들이다.

뗀석기의 겉면에는 서로 구별되는 면들, 즉 원석면[속면], 자갈면, 뗀면, 켜면[돌결면], 풍화면, 훼손면, 터진 면 등이 남아 있다. 원석면은 돌이 처음 생성되었을 때의 색깔이나 단단하기를 보이는 면이고, 자갈면(cortex)은 돌이 구르면서 닳아 생긴 면이다.

뗀면은 돌을 깨뜨렸을 때 드러난 원석면이고, 켜면은 돌 안에 들어 있는 이물질을 따라 깨어진 면으로 흔히 평평하다. 풍화면은 세월이 흐르면서 물리, 화학 작용을 받아 장석과 유리질 성분이 빠져나간 결과 색깔이 변하고 푸석푸석하게 약해진 부위이다.

훼손면은 경작이나 발굴 과정에서 도구에 의해 훼손된 부위를 가리킨다. 터진 면은 풍화를 받은 석기가 겉흙에 드러나 강한 햇볕이나 서리로 인한 열 충격(thermal shock)을 받을 때 생긴다. 이런 자국들은 유물에 미친 자연의 작용과 사람의 행위를 순서대로 구분하고, 석기 제작자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를 추정하는 데 있어 아주 중요한 단서가 된다.

사람이 만든 석기는 일정한 행위가 반복된 결과로서 정형성을 띠지만, 자연 작용으로 깨진 것은 일회성 또는 우연이어서 규칙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갈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깨뜨리고 잔손질하여 완성된 주먹도끼는 평면 모습이 삼각형, 심장형, 타원형 등으로 좌우 대칭, 그리고 앞뒷면이 옆 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룬다. 그러나 지질 작용이나 열 충격을 받아 깨진 돌은 불규칙한 모양이며, 열 충격으로 깨진 면에는 혹, 방사선, 동심원 자국이 없다.

또한 옛 사람이 만든 석기는 오랜 세월 동안 풍화 작용을 받아 색깔이나 질감이 변하는 이른바 녹(patina)이 슬었지만, 오늘날 진짜 석기를 모방해 만든 것은 겉면의 상태가 신선하여 구별된다.

끝으로 석기의 고고학적 출토 상황(archaeological context)도 진위 구분에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구석기라면 12,000년 전 이전의 갱신세(pleistocene)주6 토양에서 석기의 제작, 사용, 수리, 폐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과정이 반영된 상태로 발견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고고학계는 지난 2000년에 발각된 일본의 전기, 중기 구석기 날조사건을 계기로 반드시 발견 유물의 출토 모습과 들어낸 자리를 촬영하여 보고서에 제시하도록 하였는데, 출토 상황은 석기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한국 후기 구석기시대 석기군의 특징[편집]

돌날, 좀돌날, 슴베찌르개, 밀개, 새기개 등으로 대표되는 후기 구석기시대 석기군에는 전기 구석기시대부터 제작되었던 주먹도끼, 주먹자르개(cleaver), 공모양석기와 심지어 신석기시대에 성행한 간돌도끼와 U자형 뗀돌도끼 등도 소량 포함되어 있다.

즉, 전문화된 정교한 도구들이 주류를 이루지만, 이전의 석기문화 요소도 잔존하고 심지어 나중 시대의 석기문화 요소까지 일부 내포하고 있는 양상이다. 이것은 후기 구석기인들이 이전의 문화를 배격하지 않은 채 혁신적인 도구 제작 기술을 추가해 생존하였을 뿐 아니라, 이후 시대의 주인공들이 계승할 기술도 보유하였음을 의미한다.

한반도에서 42,000년 전에 등장한 슴베찌르개가 일본 규슈에서 29,000년 전 이후 수천 년 동안 유행하였다. 반면 일본열도 고유의 석기로 알려진 나이프형석기와 모뿔찌르개[각추상석기]가 단양 수양개 유적, 임실 하가 유적, 광주 삼리 유적 등지에서 발굴되었다.

그리고 장흥 신북리 유적과 순천 월평리 유적에서 규슈산 흑요석과 안산암으로 만든 석기가 발견된 반면, 일본 규슈 북부에 있는 다쿠(多久)와 오기(小城)의 안산암 원산지에서 박편첨두기[슴베찌르개의 일본식 용어]가 대량으로 제작되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후기 구석기시대에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구석기인들 사이에 교류가 잦았음을 알려준다.

석기의 종류와 용도[편집]

오늘날 현대인들은 상황에 따른 알맞은 도구를 선택하여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과거의 인류 또한 도구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사냥을 위한 찌르개나 나이프, 포획한 동물을 해체하고 가공하기 위한 긁개나 밀개와 같은 도구, 또는 뚜르개우리역사넷와 같은 가죽이나 나무에 구멍을 내는 도구 등이다.

이러한 도구의 다양화는 시대가 새로워질수록 전문화되며 소형화의 길을 걷게 된다. 흡사 오늘날 최신형의 전자제품이 소형화 경량화의 길을 걷는 것처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일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한 예를 석기를 만드는 행위의 단위가 되는 일정량의 석재를 가공하여 목적으로 하는 도구로 만들었을 때 그 유효한 효율성은 상당한 차이가 보인다. 시대별로 석기를 어느 정도 효율성을 가지고 만들었는가를 살펴보면 그 놀라운 발전양상이 보인다.

먼저 구석기시대에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인 석재로 부싯돌(flint)이 있다. 부싯돌은 단단하며 경도가 높아 흡사 유리와 같이 날카로운 날을 만드는데 좋은 석재이다. 이 부싯돌 454g(1파운드)을 이용해 유효한 날부분을 만들 경우 약 200만 년 전부터 160만 년 전의 시기에 해당하는 올드완(Oldowan)시대 즉 전기구석기시대에는 5㎝의 날을 만들 수 있었다. 그 다음 단계인 160만년~40만 년에 해당되는 아슐리안 문화기에는 20㎝, 그다음 단계인 40만년~4만년(아시아에서는 12만년~4만년) 중기구석기 시대의 무스테리안(nousterian) 문화기에는 100㎝의 날을 만들 수 있었다. 실로 20배 이상의 효율성의 발전을 볼 수가 있다. 그러나 그 다음 단계인 후기 구석기시대인 27000 B.P. 인 그라베티앙(Gravettian)문화기가 되면 한꺼번에 극단적인 변화를 볼 수 있다. 날부분이 300~1,200㎝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올드완에 비교하면 240배의 효율성 증대로 연결되어진다.

숫적으로만 보면 표면상의 양적 증가에 불과하지만 석기를 만드는 내용을 살펴보면 구조적으로 준비된 돌감을 이용하기 위한 철저한 계획과 그에 맞는 기술의 개량 또는 발전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발달은 무스테리안이라고 불리는 중기구석기시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서아시아, 유럽 등에서 이용했었던 격지를 떼어내는 박리기술의 하나인 르발로와 기법(Levallois technique)에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이전과는 전혀 차원이 다른 격지 석기를 만들기 위해 복잡한 석기제작방법을 고안했던 인류는 네안데르탈인이었다. 이렇듯 인류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뇌용량의 증가를 더불어 발전시켜왔다. 초기 올드완석기군을 만든 인류의 뇌용량이 650~800㏄였으며, 후기구석기시대의 그라베티앙에서는 약 15,000㏄ 정도가 된다. 이렇듯 뇌의 발전 또한 2배에 달한 점이 석기제작기술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구석기시대의 석기는 크게 2가지의 모드로 구분을 지을 수 있다. 'Mode Ⅰ'으로는 석핵석기(core tool)를 들 수 있으며, ‘Mode Ⅱ’로는 격지석기(flake tool)를 들수 있다. 먼저 모드Ⅰ을 살펴보면 주먹도끼로 구분되는 석기군이 포함된다. 주먹도끼(hand axe)는 끝이 약간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동물을 사냥하거나 포획한 동물을 해체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석기다. 쪼우개(pick)는 끝이 뾰족한 석기로 뼈에 구멍을 내거나 가죽을 뚫는데 사용하는 석기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냥을 위한 도구로도 쓰인다. 째개(cleaver)는 가죽을 자르거나 나무를 자르는데 사용되는 석기로 날이 석기축에 직각이 되게 설치되어 있다. 매우 애매한 표현이지만 일반적으로 세가지 기종 모두를 주먹도끼라고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위와 같은 주먹도끼류는 어른 주먹만한 크기이거나 그보다 크며, 무게는 500g 에서 1,000g이 넘는 경우도 있다. 주먹도끼와는 다르지만 기술적인 요소는 비슷한 점을 가지고 있는 찍개(chopper-chopping tool)가 있다. 모양을 형성하는데 더 거친 형태이며 단순한 모습을 가졌는데 이는 인류 초기의 석기군속에서도 찾아지는 모습으로 시대가 지나면서 좀더 정형성을 띠게 된다. 외형상의 모습에서는 가공의 정도와 크기에 차이를 두지 않는다면 후기구석기시대를 대변하는 긁개와 유사한 모습을 발견할 수도 있는 석기이다.

이와 같은 석기들 외로 다면체구(poly headron)라고 하는 정체를 잘 구분 짓기 어려운 구형 또는 방형을 한 석기가 있다. 다면체구는 그 모습이 소프트볼과 비슷한데 크기는 야구공보다 좀 작은 크기에서 소프트볼 만한 크기까지 다양하다. 또한 주사위와같이 각진 모습에서 완전한 구체를 이루는 것 까지 다양한 외형을 지니고 있기에 기능 또한 망치 볼라스톤(bola stone), 미사일스톤(missile stone), 또는 몸돌로 불리우기도 한다. 이런 종류의 석기들을 석핵석기(core tool)로 부른다.

모드Ⅱ의 석기는 격지석기(flake tool)를 말하는데 몸돌에서 격지를 떼어내 새롭게 석기로 가공을 하는 석기이다. 이런 종류의 석기들은 후기구석기시대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정교해진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석기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