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차이 없음)

2024년 5월 16일 (목) 12:10 기준 최신판

이암(泥岩, mudstone)
이암(泥岩, mudstone)
태백석탄박물관에 전시된 이암

이암(泥岩, mudstone)은 주로 점토로 이루어진 세립질의 퇴적암이다. 점토암, 실트암, 혈암, 아질라이트의 총칭. 진흙이 쌓여 딱딱하게 굳었으나, 셰일(이판암)처럼 층을 이루지 않은 퇴적암이다. 색깔은 붉은색, 은색, 녹색 등 여러가지인데, 이는 광물 조성과 만들어질 때의 지구화학적 특성으로 결정된다.

개요[편집]

일반적으로는 점토, 실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규칙한 혼합물로, 물을 함유하여 연약한 것을 진흙이라 하는데, 이것이 굳어져 생긴 암석을 가리킨다.

구성물질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이 있는데, 실트점토보다 많은 경우는 실트암, 점토가 실트보다 많은 경우는 점토암이라 한다. 또한 엽암(혈암)이나 한층 경화된 규질 점토암과 같이 층리면(層理面)에 평행으로 엷게 벗겨지기 쉬운 성질이 없고, 균질하고 괴상(塊狀)의 세립쇄설암에 대해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엽층(葉層:lamina)이 없고, 엷게 벗겨지지 않는 성질을 중시하며, 별로 단단하지 않은 암석인 경우가 많다. 색이나 성분의 특징에 따라 흑색이라든지 규질(珪質) 등을 붙여 더욱 세분화하기도 한다. 이암과 석회암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 것을 이회암(泥灰岩)이라 한다.

Udden-Wentworth 규격 분류에 의한 퇴적물 입자 크기의 분류
암석 미국표준체 mesh mm 분류
역암 - 4096
1024
256
거력 (巨礫, Boulder)
- 64 왕자갈 (Cobble)

5
16
4
자갈 (Pebble)
6
7
8
10
3.36
2.83
2.38
2.00
알갱이 (Granule)
사암 12
14
16
18
1.68
1.41
1.19
1.00
극조립사암 (Very Coarse Sand)
20
25
30
35
0.84
0.71
0.59
0.50 (1/2)
조립사암 (Very)
40
45
50
60
0.42
0.35
0.30
0.25 (1/4)
중립사암 (Medium)
70
80
100
120
0.210
0.177
0.149
0.125 (1/8)
세립사암 (Fine Sand)
140
170
200
230
0.105
0.088
0.074
0.0625 (1/16)
극세립사암 (Very Fine Sand)
머드 270
325


0.053
0.044
0.037
0.031 (1/32)
조립실트 (Coarse Silt)
- 0.0156 (1/64) 중립실트 (Medium Silt)
- 0.0078 (1/128) 세립실트 (Fine Silt)
- 0.0039 (1/256) 극세립실트 (Very Fine Silt)
- 0.0020 이하 점토 (Clay)

어원[편집]

Mud는 '진흙'을 뜻하는 초기 게르만어 mud-에서 유래되었으며. mudstone, mudfish, mudflow, mudguard, mudlark, mudpack 등 다른 단어와 합성어로 많이 쓰인다. 이 암석에 대한 한국어는 이암, 중국어와 일본어는 泥岩이며, '진흙으로 된 암석'을 뜻한다.

발달 과정 및 분포[편집]

주로 고요한 바다나 삼각주 지대에서 퇴적되어 만들어진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편집]

세립의 실트와 점토가 퇴적되어 고결된 것으로 미세한 점토처럼 생긴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다. 알갱이는 각지거나 판 모양의 것들이 있으며 색은 다양하다. 이암은 대부분 미세한 입자들이 바닥에 가라앉을 수 있을 만큼 고요한 바다에서 퇴적되어 만들어지며 흔히 호수 바닥에서도 만들어진다. 강물의 흐름이 고요하게 변하는 삼각주 지대에서도 두껍게 퇴적된 이암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셰일과 비슷하지만 층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암에는 화산재를 포함한 응회암질, 사질, 석회질의 것이 있다.

이암은 구성 물질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이 있는데, 실트가 점토보다 많은 경우는 실트암, 점토가 실트보다 많은 경우는 점토암이라 한다. 또한 혈암이나 한층 경화된 규질 점토암과 같이 층리면에 평행으로 엷게 벗겨지기 쉬운 성질이 없고, 균질하고 괴상의 세립 쇄설암에 대해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엽층이 없고, 엷게 벗겨지지 않는 성질을 중시하며, 별로 단단하지 않은 암석인 경우가 많다. 색이나 성분의 특징에 따라 흑색이라든지 규질등을 붙여 더욱 세분화하기도 한다. 이암과 석회암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 것을 이회암이라 한다. 이암은 벽돌이나 도자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용도[편집]

도자기 원료, 건축 자재, 아이티(Haiti)에서 곡식과 섞은 음식물, 토양

이암과 셰일의 구분[편집]

이암은 영문명이 mudstone이고 셰일은 shale로 영문으로도 구분이 되어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흔히 진흙이라고 하는 입자가 고운 미사나 점토가 퇴적된 것은 동일하다.

  • 셰일 (shale) : 층상 구조를 가진 퇴적암으로 따라서 층리가 보인다. 층상 구조가 있기 때문에 힘을 가하면 층리면을 따라서 얇고 잘게 쪼개질 수가 있다.
  • 이암 (mudstone) : 입자가 고운 미사나 점토 등 세립질의 진흙으로 이루어진 퇴적암을 일컫는다. 힘을 가하면 층리면이 없으므로 덩어리 형태로 부서지게 된다.

따라서 셰일은 이암의 한 종류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겠다. 경우에 따라서 층리 구조가 보이는 것을 셰일, 보이지 않는 것을 이암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으나 사실 셰일이 이암의 범주에 들어 있는 것이다. 요약하면 층리 구조가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모두 이암이고, 이 중에 층리 구조가 보이는 것을 셰일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이암 문서는 소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