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고층운

해시넷
Junwoe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10일 (금) 15:25 판 (새 문서: 썸네일|'''고층운''' '''고층운'''(高層雲, altostratus)은 층을 이루어 하늘을 덮는 잿빛 또는 푸른색을 띤 구름을 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층운

고층운(高層雲, altostratus)은 층을 이루어 하늘을 덮는 잿빛 또는 푸른색을 띤 구름을 말한다. 보통 2km 이상의 높이에 나타나 두껍게 발달한다. 기호는 As이다.

개요[편집]

고층운은 중층운으로 높층구름, 흰색차일구름이라고도 한다.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이다. 흔히 보는 흐린 날씨의 주범으로 하늘 전체를 덮는 옅은 회색의 장막이나 베일 같은 구름이다. 중간 정도 높이의 하늘에서 발생한다. 때로는 온대저기압의 온난전선의 접근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순우리말 이름은 높층구름 또는 차일구름이다. 영어 이름에서 Alto-는 높다는 뜻이며, stratus는 층 형태를 의미한다. 한자어 이름인 "고층운" 과 그대로 통하는 뜻이다. 해나 달을 완전히 가리기도 하나, 얇을 때는 윤곽이 희미하게 보인다. 고적운이나 적란운이 변해서 될 때가 많고, 고층운에서 권층운(卷層雲)이나 난층운(亂層雲)으로 변할 때도 많다. 해나 달을 완전히 가리기도 하나, 얇을 때는 윤곽이 희미하게 보인다.

고층운은 보통 지표면에서 2~7km의 높이에서 나타나며, 때로는 상층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두께는 수백 m에서 수천 m에 이르며, 구름의 정상은 1km 높이까지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두꺼운 고층운의 상층부는 빙정, 중층부는 빙정, 눈송이, 과냉각물방울의 혼합물, 하층부는 대부분 과냉각물방울이나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얇은 구름은 물방울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얼룩이 없는 고른 모양을 나타낼 때도 있고, 줄기가 있는 섬유나 털 모양의 조직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구름의 엷은 부분에서는 반투명 유리를 통해서 보는 것과 같이 해와 달의 위치가 어렴풋이 드러날 정도이며 두꺼운 권층운과 비슷한 모양 형태를 띠고 있지만 햇무리와 달무리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두꺼운 고층운에서는 약한 비나 눈이 내리기도 한다.[1][2][3]

생성과 특징[편집]

대류권 구름의 종류

스모그 구름 같은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사실 비가 있는 먹구름이다. 지상 관측자에게는 권층운 및 난층운과 비슷해 보이나, 발생 고도는 둘의 중간쯤이며, 색상도 중간의 회색빛이다. 태양은 대개의 경우 비쳐 보이지만, 상당히 어렴풋한 빛덩어리 같은 모습으로 나타나며 눈부시지도 않다. 권층운과는 달리 햇무리가 관측되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또한 이 구름이 수증기로 구성된 것인지, 빙정으로 구성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영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최고층부는 약간의 빙정, 중간부는 큰 사이즈의 물방울, 하층부는 작은 사이즈의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매끄러운 형태의 층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주름이나 얼룩, 섬유 모양이 구름 속에 도드라져 보이기도 한다. 특히 간혹 물결 모양으로 파도치는 형태도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거친물결구름의 존재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의심된다. 이와 같은 무늬가 나타나는 이유는 명확하진 않으나 대체로 구름 속에서 윈드시어가 발생하면서 그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짐작되고 있다. 수증기를 포함한 대규모의 공기 덩어리가 일광 등의 원인으로 대류를 받아 부드럽게 상승하면서 발생한다. 물론 더 많은 양의 수증기가 유입되고 대류가 더 강해진다면 그대로 난층운으로 변화하여 비를 뿌리게 되지만, 별다른 비를 뿌리지 않고 그냥 개어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3]

바리에이션[편집]

대부분의 고층운은 태양이 희끄무레한 빛으로 비쳐 보이는 회색빛 구름인데, 이런 경우를 "Altostratus Translucidus" 라고 부른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는 "Altostratus Opacus". 한편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파도치는 모양의 고층운도 있는데, 이런 종류는 "Altostratus Undulatus" 라고 한다. 아예 구름의 모양이 깨져 버렸다면 "Altostratus Fractus". 눈치챘을수도 있겠지만 몇몇 문자들의 조합으로 파생형 구름의 이름을 붙이는 것인데, 각각의 명칭이 각각의 특징을 의미하는 영단어와 유사점이 많다.

고층운 자체가 조금만 더 수증기가 많아진다면 비를 뿌릴 수 있으니만큼, 간혹 가다 미약한 비를 뿌리는데 그게 도중에 하늘에서 증발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구름의 아래쪽에 마치 수염이나 꼬리, 털이 달린 것처럼 보인다. 이런 구름을 보통 미류운(Virga) 또는 꼬리구름이라 하는데, 이런 게 붙어 있는 고층운은 "Altostratus Virga" 라고 한다.[3]

일기 현상[편집]

고층운은 온난전선이나 정체전선 전면에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선이 지나면서 고층운이 두꺼워져 비나 눈을 동반하는 난층운(Nimbostratus)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고층운이 관측된다는 것은 전선의 접근, 강수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4]

구름의 종류[편집]

일반형[편집]

상층운

  • 권운(새털구름, 卷雲, Cirrus, Cirrus fib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고 푸른 맑은 하늘에 나타나는 새털 같은 구름이다. 어디서나 볼 수 있으며, 사실상 거의 대부분이 빙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원은 cirro- 인데, 그 뜻은 대략 곱슬곱슬한 털 같다는 것으로, 권운의 모양이 새털이나 명주실 모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그럴싸한 이름이다. 한국어 이름의 권(卷) 역시도 '(둥글게) 말다'라는 의미가 있는데 마치 길게 늘어져 끝이 갈고리처럼 말려 있는 외형상의 특징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새털구름이 있고, 실제로 민간에서도 많이 쓰이는 이름이기도 하다.[5]
  • 권적운(조개구름, 卷積雲, Cirr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은 하늘에서 희고 작은 비늘 같은 모습으로 찬란하게 피어오르는 구름. 대부분은 빙정(얼음 알갱이), 나머지는 과냉각된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다. 다소 엉뚱하지만 그 이름의 권(卷)은 책 또는 종이를 뜻하는 단어다. 영어에서 cirro- 는 곱슬곱슬한 털 같다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뒷부분의 -cumulus 부분은 쌓여 있다는 뜻을 갖고 있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털쌘구름 또는 조개구름이라고도 한다.[6]
  • 권층운(베일구름, 卷層雲, Cirrostratus, Cirrostratus Nebulos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은 하늘에서 흰색 내지는 옅은 회색의 빛으로 얇게 덮이는 베일 같은 구름. 주로 빙정, 즉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어찌 보면 약간 복슬복슬한 털 같은 느낌도 있다. 쉽게 말하면, 높은 하늘에 끼는 안개(층운)라고 보면 된다. 그 이름에서 권(卷)은 보통 책 또는 종이를 뜻하는데 어째서 이런 단어가 붙었는지는 옛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대나무 조각에 글을 썼는데 그 죽편들을 엮어서 책을 만들었고 그 책을 둘둘 말아서 보관했다. 영어에서 stratus는 넓게 퍼진 층을 뜻하며, 이는 권층운의 모습과도 상통한다. 한편 cirro- 접두사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는데, 영어로 직역하면 곱슬곱슬한 것(curl)이라고 한다. 마치 털과도 같은 구름의 질감에서 붙은 이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햇무리구름이라고 한다. 태양이 이 구름에 가려지게 되면 햇무리(halo)가 나타나기 때문이다.[7]

중층운

  • 고층운(회색차일구름, 高層雲, Alto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흔히 보는 흐린 날씨의 주범. 하늘 전체를 덮는 옅은 회색의 장막이나 베일 같은 구름. 중간 정도 높이의 하늘에서 발생한다. 때로는 온대저기압의 온난전선의 접근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순우리말 이름은 높층구름 또는 차일구름. 영어 이름에서 Alto-는 높다는 뜻이며, stratus는 층 형태를 의미한다. 한자어 이름인 "고층운" 과 그대로 통하는 뜻이다.[3]
  • 고적운(양떼구름, 高積雲, Alt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중간 정도의 높은 하늘에서 웅장하게 나타나는, 다수의 구름 덩어리들이 모여 이루어진 구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높쌘구름" 이라고 하는데, 한자어 "고적운" 이나 영어 "Altocumulus" 셋 다 모두 "높은 곳에서 수직으로 쌓여 있다" 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외에도 그 모양을 따서 "양떼구름" 이라고도 하고, 영어에서는 고등어의 비늘 같다는 표현을 즐겨 쓴다.[8]

하층운

  • 층운(안개구름, 層雲, 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 근처 또는 낮은 고도에서 응결하여, 무정형의 흐릿한 형태의 층으로 형성되는 구름. 짐작하듯이 안개와 딱 잘라 나눌 만한 차이점은 없다. 그냥 높이 떠 있는 안개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층구름 또는 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영어 이름인 Stratus와 마찬가지로, 지표와 수평 방향의 층의 형태로 만들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간혹 안개구름이라고 하기도 한다.[9]
  • 층적운(두루마리구름, 層積雲, Strat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적운과 함께 하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름이다. 다양한 이유로 인해 형성된다. 외견상 낮은 고도에서 회색빛의 두터운 구름이 담요처럼 둘둘 말리면서 헝클어진 모양을 하고 있다. "층쌘구름" 이라는 이름도 있는데,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두루마리구름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층 형태이며 이와 동시에 쌓인 형태를 가졌다는 뜻을 지녔다.[10]
  • 난층운(비구름, 亂層雲, Nimbo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쉽게 말해서 흔한 비구름이다. 단, 소나기를 내리는 그런 구름이 아니라는 점에서 웅대적운과 적란운과는 구별된다. 외견상 하늘을 가득 채운 짙은 회색빛 먹구름의 형태를 하고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비층구름" 이라고도 한다. 영어에서 "Nimbo-" 역시 비를 뿌리는 구름이라는 뜻. 당연히 대한민국에서는 적란운만큼이나 여름에 자주 볼 수 있다.[11]

수직형

  • 적운(뭉게구름, 積雲, 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이자, 일상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구름이다. 수증기가 상승기류에 의해 솟구치면서 수직으로 만들어지는 구름.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쌘구름이라고 한다. 물론 이 이름의 뜻은 "쌓여 있는 구름"이라는 뜻이다. 한자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이나 다 똑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그냥 뭉게구름이라고 한다. 수증기와 웬만큼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곳이라면 전 세계 어디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실제로 매우 흔한 구름이다. 넓은 평원이나 산간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바다 위에서도 볼 수 있다. 온대저기압의 한랭전선의 전선면에서 형성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적란운의 전조이다.[12]
  • 적란운(소나기구름, 積亂雲, Cumulonimbus) : 적란운은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이다. 적란운은 권운의 높이까지 치솟는 크기가 엄청나게 큰 구름이다.[1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고층운〉, 《두산백과》
  2. 고층운〉, 《위키백과》
  3. 3.0 3.1 3.2 3.3 고층운〉, 《나무위키》
  4. 고층운〉, 《기상학백과》
  5. 권운〉, 《나무위키》
  6. 권적운〉, 《나무위키》
  7. 권층운〉, 《나무위키》
  8. 고적운〉, 《나무위키》
  9. 층운〉, 《나무위키》
  10. 층적운〉, 《나무위키》
  11. 난층운〉, 《나무위키》
  12. 적운(구름)〉, 《나무위키》
  13. 적란운〉,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고층운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