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길눈 (날씨)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길눈은 한 길이 될 만큼 많이 쌓인 을 말한다.

개요[편집]

길눈은 거의 한 길이나 되도록 엄청나게 많이 쌓인 눈을 말한다. 보통 어른 한 사람의 키를 한 길이라고 한다. '길'은 주로 물의 깊이를 가늠할 때 쓰는 단위로, '한 길', '두 길' 따위로 나타낸다. 사실 눈이 어른의 키만큼 쌓이는 일은 그리 흔하지는 않다. 약간 부풀린 말이긴 하지만, 길눈은 그만큼 많은 눈이 내렸다는 것을 강조할 때 쓰는 말이다.[1]

자국눈과 길눈[편집]

가늘게 내리는 비를 가랑비라고 하는 것처럼 조금씩 잘게 내리는 눈은 가랑눈이라고 하는데, 가루처럼 내린다고 해서 가루눈이라고도 한다. 반대로 굵고 탐스럽게 내리는 눈을 가리키는 말은 함박눈이고, 갑자기 많이 내리는 폭설(暴雪)은 소나기눈이라고 한다. 빗방울이 내리다가 갑자기 찬바람을 만나 얼어서 떨어지는 싸라기 같은 눈은 싸라기눈, 줄여서 싸락눈이고, 누리는 싸락눈보다 크고 단단한 덩이로 내리는 눈, 즉 우박(雨雹)을 뜻하는 말이다. 발처럼 줄을 이어 죽죽 내리는 눈은 눈발, 바람에 날려 세차게 몰아치는 눈은 눈보라, 쌓인 눈이 말의 갈기처럼 흩날리는 눈보라는 눈갈기라고 한다. 눈안개는 눈발이 자욱하여 사방이 안개가 낀 것처럼 희부옇게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마른눈은 비가 섞이지 않고 내리는 눈이고, 비와 섞여서 오는 눈은 진눈이나 진눈깨비라고 한다.

진눈깨비 얘기가 나온 김에 우리말 가운데 '-깨비'가 붙어서 된 낱말들을 살펴보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도깨비, 그 다음이 허깨비다. 도깨비에 대해서는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고, 허깨비는 기가 허해 착각이 일어나 없는데 있는 것처럼 보이는 물체로, 쉽게 말하면 헛것이다. 생각한 것보다 아주 가벼운 물건도 허깨비라고 한다. 도깨비의 사촌쯤 되는 목두깨비는 이름이 무엇인지 알려지지 않은 무명씨(無名氏) 귀신으로 목두기로도 불린다. 진득찰도깨비는 한번 달라붙으면 검질기게 잘 떨어지지 않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인데, 북한에서는 그런 사람을 안타깨비라고 한다. 안타깨비는 또한 성미나 하는 행동이 안타깝도록 시원스럽지 못하게 꼬물거리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원래 안타깨비는 명주실의 토막을 이어서 짠 굵고 질 낮은 명주를 가리키는 말이다. 나무를 깎거나 다듬을 때에 생기는 잔 조각을 지저깨비라고 하는 것을 보면 '-깨비'에는 토막이나 조각이라는 뜻이 들어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깨비'가 붙은 말로는 이밖에도 방아깨비, 딱따깨비 같은 곤충 이름들이 있다. 방아깨비는 뒷다리를 잡으면 방아를 찧듯 몸을 놀린다고 해서, 딱따깨비는 날 때 딱딱딱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다시 눈 얘기로 돌아가면 자국눈은 겨우 발자국이 날 정도로 적게 내린 눈, 살눈은 살짝 얇게 내린 눈을 가리킨다. 한 자 또는 한 길이 되게 많이 쌓인 눈은 잣눈이나 길눈이라고 한다. 한 길이란 사람의 키 정도 되는 높이나 길이, 깊이를 나타낸다. 밤에 내리는 눈은 밤눈인데, 밤에 모르는 사이에 내린 눈, 아침에 일어나 "아 눈이 왔구나" 탄성을 터뜨리게 되는 눈은 '몰래'라는 의미를 강조해 도둑눈이라고 한다.

눈이 와서 쌓인 채 아무도 지나가거나 밟지 않아서 그대로인 눈은 숫눈이라고 하고, 숫눈이 쌓인 길은 숫눈길이라고 하는데, 숫처녀라는 말을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숫-'은 다른 것이 섞이거나 더럽혀지지 않아서 본디 생긴 대로라는 뜻을 나타내는 앞가지다. 쌓인 눈이 속으로 녹는 것은 움직씨로 '석는다' 또는 '눈석임한다'고 한다. 눈석임물은 눈이 녹아서 된 물, 눈석잇길은 눈석임물 때문에 질척질척해진 길을 가리킨다. 눈꽃은 나뭇가지에 내려앉아 꽃이 핀 것처럼 보이는 눈이고, 서리가 나무나 풀에 내려 눈같이 된 것은 상고대라고 한다. 서리꽃은 유리창 따위에 서린 수증기가 얼어붙어 생긴 꽃 같은 무늬를 가리킨다. 그러면 서리꽃과 성에는 어떻게 다른 것일까. 겨울에 유리나 굴뚝에 수증기가 허옇게 얼어붙은 것을 성에라고 하는 것이니까, 성에 가운데 아름다운 무늬를 이룬 것을 서리꽃이라고 하면 될 것 같다. 그러니 같은 값이면 '성에가 끼었네' 하는 것보다 '서리꽃이 피었네'라고 말하는 것이 듣기에도 좋을 것 같다.

서리에는 무서리와 된서리가 있다. 무서리는 늦가을에 처음 내리는 묽은 서리, 된서리는 늦가을에 아주 되게 내리는 서리를 가리키는데, '된서리를 맞았다'는 말은 모진 재앙을 당해 풀이 꺾였다는 뜻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서리나 눈이 재앙이나 불행을 뜻하는 예로 '눈 위에 서리 친다'는 우리 속담도 있다. 설상가상(雪上加霜), 불행이 엎친 데 덮쳐 일어난다는 뜻인데, 같은 뜻으로 '기침에 재채기' '하품에 딸꾹질' 같은 재미있는 속담들이 있다. 살면서 겪는 이런저런 불행을 다만 기침에 재채기, 하품에 딸꾹질 정도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불행이 엎친 데 덮치고 덮친 데 엎치며 떼로 몰려오더라도 얼마든지 인생을 향해 웃어 줄 수 있지 않을지 싶으며 불행이 눈이나 서리 정도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면 언젠가는 찾아올 꽃피는 봄날을 기다리며 마음에 불씨 하나 간직하고 얼마든지 견뎌 줄 수 있는 것이다.[2]

[편집]

은 구름 속의 수분이 얼어붙은 상태로 내리는 것을 말한다. 대한민국은 주로 겨울철에 눈이 내린다. 수도권은 일반적으로 11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는 눈이 온다. 4월에도 2016년을 제외하면 전국 어딘가에 한 번쯤은 눈이 내리는 편이다. 특히 강원도 산지 쪽에는 적설이 쌓이기도 하며 2020년에는 서울에서 4월 22일에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늦은 눈이 내렸다. 이후 2021년 5월 2일, 강원 산지쪽에는 5월에 봄 폭설이 내렸다. 대관령은 1.6cm, 홍천 구룡령은 18.5cm, 그리고 설악산 고지대는 무려 20cm를 넘겨버렸다.

종전 기록은 1911년 4월 19일. 이때는 적설될 정도였다. 강원도는 심하면 5월 초까지 오기도 한다. 이상 저온이 아닌 이상 서울은 5월부터 반팔을 입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이미 4월 하순부터 반팔을 많이 입고, 어린이날 이후에는 여름이나 다름없는 대구는 말할 것도 없다. 또한 2010년 4월 28일에 전국 여러 곳에서 눈이 내렸다.

그래서 대관령은 이르면 10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눈이 내리기도 한다. 그래서 전방으로 군대를 다녀온 남자들은 (군대에서 통념상 겨울이 아닌 특정 날짜에 눈이 오는 것을 두고) 화이트 식목일, 어린이날, 개천절, 할로윈, 추석 등으로 빗대기도 한다. 특이하게 부산은 눈이 잘 안 내리지만 2, 3월 늦겨울에 자주 온다. 부울경은 눈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라 겨울에 다른 지역에 다 눈내려도 이 지역만큼은 비가 오기는 하지만 눈은 거의 오지 않는다. 이렇게 눈이 잘 내리지 않는 지역인 부산과 창원에서 2023년 11월 18일에 첫 눈이 내린 것이 관측된 것을 포함해 부울경 곳곳에서 첫눈이 내렸고; 이는 두 지역에서 평년보다 각각 35일, 39일 빠른 첫 눈이었으며, 심지어 이 두 지역의 관측소에서는 역사상 최초로 11월 중순에 적설량이 관측되었다.

어형[편집]

'눈'은 장음으로 /눈ː/이라고 길게 발음한다. 신체의 일부인 '눈'은 단음이다. 단, 긴 모음과 짧은 모음을 구분하는 발음체계를 가진 사람들도 첫 음절 이하에는 긴 모음이 소실돼 짧은 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현재 표준어 규정에서는 긴 모음은 첫 음절에서만 가능하도록 규정했다. 따라서 합성어에 '눈'이 두 번째 음절 이하에 들어간 경우, '눈' 부분을 /눈ː/이라고 읽지 못하고 짧게 /눈/으로만 발음하는 게 원칙이다. 예컨대 '첫눈'은 처음 내리는 snow라는 뜻으로 사용할 때(예: 첫눈이 내리다)와 첫 인상이라는 뜻(예: 첫눈에 반하다)으로 사용할 때가 나뉘는데, 표준어 규정상 둘의 발음은 둘 다 그냥 /천눈/이다.

눈을 크게 뭉쳐서 사람 형태로 만든 것을 눈사람, 눈을 이용해 던지고 피하는 놀이가 눈싸움이라 한다.

눈의 종류[편집]

다음은 눈에 관련된 우리말 단어들이다. 국어사전에 공식적으로 등재된 단어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 가랑눈 : 조금씩 잘게 내리는 눈. 한자어로는 세설(細雪).
  • 가루눈 : 가루 모양으로 내리는 눈. 기온이 낮고 수증기가 적을 때 내린다.
  • 길눈 : 한 길이 될 만큼 많이 쌓인 눈. 한 길이 2.4m 정도이니 폭설을 의미한다.
  • 눈갈기 : 말갈기처럼 흩날리는 눈보라를 뜻한다.
  • 눈꽃 : 나뭇가지 따위에 꽃이 핀 것처럼 얹힌 눈.
  • 눈바람 : 눈과 함께, 또는 눈 위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 눈보라 : 바람에 휘몰아쳐 날리는 눈. 눈바람과 유사한 단어이지만, 눈바람은 '바람'에 초점을 맞춘 반면 눈보라는 '눈'에 초점을 맞춘 단어다.
  • 눈석임 : 쌓인 눈이 속으로 녹아 스러짐. 이렇게 녹아서 흐르는 물은 눈석임물이라고 한다.
  • 눈송이 : 굵게 엉기어 꽃송이처럼 내리는 눈.
  • 도둑눈 : 밤 사이에 사람들이 모르게 내린 눈. 동의어로 도적눈이 있다.
  • 떡눈 : 물기가 있어서 척척 붙는 눈송이.
  • 마른눈 : 가 섞이지 않고 내리는 눈.
  • 발등눈 : 발등까지 빠질 정도로 비교적 많이 내린 눈.
  • 복눈 : 을 가져다주는 눈이라는 뜻으로, 겨울에 많이 내리는 눈을 이르는 말.
  • 봄눈 : 봄철에 오는 눈.
  • 소나기눈 :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곧 그치는 눈.
  • 숫눈 : 눈이 와서 쌓인 상태 그대로의 깨끗한 눈.
  • 싸라기눈 : 빗방울이 갑자기 찬 바람을 만나 얼어 떨어지는 쌀알 같은 눈을 말한다. 준말은 싸락눈. 참고로 '눈싸라기'는 싸라기눈의 잘못이며 비표준어이다.
  • 자국눈 : 겨우 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
  • 잣눈 : 많이 내려 아주 높이 쌓인 눈을 의미한다. 한자어로는 척설(尺雪).
  • 진눈깨비 : 비가 섞여 내리는 눈.
  • 첫눈 : 그해 겨울에 처음으로 내리는 눈.
  • 포슬눈 : 가늘고 성기게 내리는 눈.
  • 풋눈 : 초겨울에 들어서 조금 내린 눈.
  • 함박눈 : 굵고 탐스럽게 내리는 눈.[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길눈〉,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
  2. 자국눈과 길눈〉, 《도사리와 말모이, 우리말의 모든 것》
  3. 눈(날씨)〉,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 길눈〉, 《네이버 국어사전》
  • 길눈〉,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
  • 자국눈과 길눈〉, 《도사리와 말모이, 우리말의 모든 것》
  • 눈(날씨)〉, 《나무위키》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길눈 (날씨)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