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성천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평안남도 위치
성천군 위치

성천군(成川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성천군의 면적은 724㎢이며 149,809명(2008)이다. 평안남도 내륙에 있는 군으로, 평양의 북쪽에 인접해 있다. 서쪽은 평성시, 북쪽은 은산군북창군, 동쪽은 신양군회창군, 남쪽은 평양이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3구 20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성천읍이다.

고려 때에 예로부터 유명한 흘골산성 아래 비류강가에 위치한 고을이라 하여 성 성(城)자, 물가 주(洲)자를 쓰는 성주(城洲)로 불리다가 음이 같고 획이 간단한 이룰 성(成)자, 고을주(州)를 쓰는 성주(成州)로 바뀌었다. 1413년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당시 고을의 이름에서 주(州)를 천(川)이나 산(山)으로 바꾸는 규례에 따라 고을 주(州)자 대신 내 천(川)자를 써서 성천(成川)이라 하였다.

내륙지역이지만 서해갑문대동강을 통해 평양을 지나 성천까지 1천 톤급 선박이 출입항할 수 있는 항만 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나 그 사용실태가 확인되지 않는다. 평양 시내와는 강동군과의 고속도로를 거쳐 오기 쉽다.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운용하는 조선인민군 전략군의 사령부가 있다.

특산물로는 담배가 유명하다. 조선 후기부터 이름난 담배 재배지였으며, 성천의 담배는 특별히 성천초로 불렸다. 현대에도 담배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북한 내에서 성천 담배는 여전히 고급 담배로 통한다고 한다.

고구려 시대에는 多勿이라고 했는데 당시 고구려어로는 다미라고 부른다.

자연환경[편집]

성천군은 대체적으로 낮은 중간지대에 속하는데, 동부지역이 높고 서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루고 있다. 제일 높은 곳은 신양군, 회창군과의 경계에 있는 만산령산(萬山嶺山, 951m)이며 제일 낮은 곳은 대동강과 비류강이 합류되는 곳이다. 북쪽으로 천성산 줄기(天聖山-)가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데 이 산줄기에 숭아산(崇娥山, 684m), 호전산(678m) 등이 솟아 있다.

남쪽으로 강동군과의 경계에는 강동산줄기가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여기에 취봉산(鷲峯山, 514m), 현명산(玄明山, 530m) 등이 솟아있다. 이밖에 북동부에는 시루봉(741m)이, 동남부에는 만산령산이 솟아 있다. 성천군의 산지는 비류강과 그의 지류에 의하여 여러 갈래로 단절되어 산줄기로서의 형태를 뚜렷이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산의 절대높이에 비하여 비교적 깊이 패여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천군의 중부에 규모가 큰 성천분지가 자리잡고 있다.

지질은 낭림층군, 상원계, 황주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낭림군층은 결정편암, 편마암, 대리암, 규암, 각섬암으로 되어 있는데 이 층은 장림일대에 드러나 있다. 상원계은 성천군의 넓은 지역에 드러나 있으며 직현통, 사당우통, 묵천통으로 되어 있다. 황주계층은 양덕통과 무진통으로 갈라져 있는데 양덕통은 편암, 규암으로 되어 있다. 제4기층은 강바닥과 강기슭 및 산기슭들에 분포되어 있다. 성천군안에는 장림단층선, 향풍산단층선, 마전령단층선 등이 있는데 이 단층선들은 모두 북서방향으로 놓여있다. 성천군에는 철, 납, 아연, 금, 은, 몰리브덴, 중정석, 형석 등 지하자원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성천군은 평안남도의 중간지대에 속하는 군으로서 대륙성기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중간지대의 군들 가운데서 기온의 한해 변화차가 큰 지역에 속한다. 연평균기온은 9.0℃로서 대동군의 연평균기온과 비슷하다. 기온이 가장 높은 8월 평균기온은 24.3℃로서 평안남도 안에서 제일 높다. 기온이 가장 낮은 1월 평균기온은 -9.1℃이다. 지금까지 관측한 자료에 의하면 최고극기온은 36.1℃(1970년 8월 12일), 최저극기온은 -29.2℃(1967년 1월 15일)였다.

연평균강수량은 1,156mm이며 그 가운데서 봄철에 13%, 여름철에 65%, 가을철에 17%, 겨울철에 5%의 강수량이 내린다. 1967년 8월 28일에는 243.3mm의 비가 내렸다. 첫서리는 10월 8일, 마감서리는 다음해 5월 1일, 무산기는 평균 166일이다. 첫눈은 평균 11월 13일, 마감눈은 다음해 4월 1일까지 내린다. 무리는 한해에 평균 1.2회 정도 내리며 주로 5~6월과 9~11월 사이에 내린다. 연평균상대습도는 74%이다. 연평균바람속도는 1.2m/s로서 약한 편이다. 바람이 센 4월에 바람속도는 1.8m/s, 바람이 약한 1월과 10월, 12월에는 0.9m/s 정도이다. 폭풍날수는 한해 평균 3.4일이다.

풍향은 북서풍이 우세하다. 하천은 비류강이 북서방향으로 흐르다가 신성천과 운봉 일대에서 그 방향을 바꾸어 남쪽으로 흐르고 있으며 대동강이 성천군의 서쪽 변두리에서 평성시와의 경계를 이루면서 흐르고 있다. 이밖에 5km 이상 되는 하천이 모두 16개 유입되어 있다. 성천군에는 온전저수지를 비롯한 여러 개의 저수지가 있으며 온정리에는 피부병, 관절염, 신경통 치료에 효과가 있는 온천이 있다. 성천군은 식물분포구에서 온대중부구에 속하는데 산림면적은 성천군 전체면적의 68.5%에 달한다. 산림이 많이 분포된 지역은 성천군의 북동 및 동부에 놓인 시루봉과 사도산이며 북서부지역으로 가면서 산림면적이 줄어들고 있다.

산림 면적의 대부분은 해발 500m 미만의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소나무, 잎갈나무, 잣나무, 노간주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 사스래나무, 쉬나무, 느릅나무, 황벽나무, 다릅나무, 황철나무, 버드나무 등이 기본 수종을 이루고 있다. 산림 속에는 밤, 돌배, 머루, 다래 등 산과일과 당귀, 세신, 오미자, 삽주 등 약용식물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성천군은 동물분포구로 볼 때 조선저지소구에 속한다. 성천군 안의 산림에는 40여 종의 벌레먹는 짐승류가 분포되어 있다. 이밖에 수십 종의 낮나비류와 들꿩, 물까치를 비롯한 30여 종의 새류, 산토끼, 오소리, 너구리, 여우, 살쾡이, 노루를 비롯한 10여 종의 짐승류가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 충적토, 논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3]

역사[편집]

옛날 성천군 지역은 비류, 다물, 졸본부여라고 불렸다. 고려가 건국한 이후 931년(태조 14년)에 성천군 지역에 강덕진(剛德鎭)을 설치하였다. 1018년(현종 9년)에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 관하의 성주(城洲)로 되었다. 조선왕조가 건립된 이후 1413년(태종 13년) 지방관제개편 시에 성천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415년에 성천도호부로 되었다.

17세기 초에 상부방(上部坊), 하부방(下部坊), 암포방(巖浦坊), 먹소방(墨所坊), 망고개방(芒古介坊), 회곶방(檜串坊), 선래방(仙來坊), 왕을이방(旺乙伊坊), 삼파방(三波坊), 와동방(瓦洞坊), 직동방(直洞坊), 후근고방(朽斤庫坊), 천곡방(泉谷坊), 심학방(深壑坊), 유동방(柳洞坊), 온수방(溫水坊), 추탄방(楸灘坊), 서부방(西部坊), 성암방(城巖坊), 삼기방(三岐坊), 칠전방(漆田坊), 삭면방(朔面坊), 필밀방(必密坊), 사가동방(史家洞坊), 축전방(柚田坊) 등 25개 방을 관할하였다.

17세기 말에 후근고방을 문헌방(文憲坊)으로 개칭하였으며, 18세기 초에 망고개방을 남전방(藍田坊)으로, 필밀방을 봉래방(蓬萊坊)으로, 사가동방을 사가방(四佳坊)으로, 축전방을 죽전방(竹田坊)으로, 와동방을 와룡방(臥龍坊)으로, 삭면방을 용현방(龍峴坊)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19세기 초에 성천군으로 되면서 동구방(東區坊)을 신설하고 선래방을 대곡방(大谷坊)으로, 회곶방을 숭인방(崇仁坊)으로, 왕을이방을 왕을방(旺乙坊)으로, 심학방을 인산방(仁山坊)으로, 칠전방을 용전방(龍田坊)으로, 봉래방을 천성방(天成坊)으로 각각 개칭하여 상부방, 하부방, 동구방, 암포방, 먹소방, 남전방, 숭인방, 대곡방, 왕을방, 삼파방, 와룡방, 직동방, 문헌방, 유동방, 온수방, 추탄방, 서부방, 성암방, 삼기방, 용전방, 용현방, 천성방, 사가방, 인산방, 천곡방, 죽전방 등 26개 방을 관할하였다. 1880년에 동구방을 동부방(東部坊)으로 개칭하였다.

1896년에 평안남도 성천군으로 되면서 방을 면으로 개편하여 상부면(上部面), 하부면(下部面), 동부면(東部面), 암포면(巖浦面), 구룡면(九龍面), 남전면(藍田面), 숭인면(崇仁面), 대곡면(大谷面), 문흥면(文興面), 삼파면(三波面) 와룡면(臥龍面), 순덕면(順德面), 문헌면(文憲面), 유동면(柳洞面), 운산면(雲山面), 추탄면(楸灘面), 서부면(西部面), 성암면(城巖面), 삼기면(三岐面), 용전면(龍田面), 용현면(龍峴面), 천성면(天成面), 사가면(四佳面), 인산면(仁山面), 천곡면(泉谷面), 죽전면(竹田面) 등 26개 면을 관할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문헌면이 강동군(江洞郡)에 이관되고 양덕군(陽德郡)의 대구면(大邱面)이 성천군에 편입되었다.

동시에 운산면 · 추탄면 · 유동면을 병합하여 영천면(靈泉面)을, 삼기면 · 성암면을 병합하여 삼덕면(三德面)을, 와룡면 · 남전면 · 순덕면을 병합하여 능중면(陵中面)을, 삼파면 · 문흥면을 병합하여 삼흥면(三興面)을, 천곡면 · 서부면 일부 · 인산면 · 죽전면을 병합하여 통선면(通仙面)을, 서부면 일부 · 동부면 · 하부면 · 상부면 · 암포면을 병합하여 성도면(成都面)을, 용전면 · 용현면을 병합하여 쌍룡면(雙龍面)을 각각 신설하여 이때 성도면, 구룡면, 숭인면, 대곡면, 삼흥면, 능중면, 통선면, 문헌면, 영천면, 쌍룡면, 천성면, 사가면, 삼덕면 등 13개 면, 133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8년에 성도면을 성천면(成川面)으로 개칭하였고, 1938년에 천성면이 사가면에 편입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구룡면의 5개 리 · 숭인면 · 대곡면 · 릉중면의 전체 리를 회창군에, 대구면을 신양군에, 삼흥면 전체 리를 강동군에 각각 편입하고 나머지 성천면 · 통선면 · 영천면 · 삼덕면 · 사가면 · 쌍룡면의 전체 리와 구룡면 중 1개 리를 병합하여 성천군을 다시 구성하였는데, 이때 성천면의 상부리 일부 · 하부리 · 순덕리 일부와 통선면 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성천읍(成川邑)으로, 성천면의 용선리 · 흥덕리와 순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흥리(龍興里)로, 성천면의 대부리와 마전리를 병합하여 암포리(巖浦里)로, 성천면의 영목리와 삼덕면 대동리를 병합하여 향풍리(香楓里)로, 사가면의 회덕리와 용흥리를 병합하여 덕흥리(德興里)로, 삼덕면의 쌍림리와 사가면의 석우리 · 지석리 · 거흥리를 병합하여 거흥리(巨興里)로, 사가면의 천성리와 맥전리를 병합하여 회전리(檜田里)로, 사가면의 장림리와 성림리를 병합하여 장림리(長林里)로, 구룡면 고척리와 사가면 은수리를 병합하여 은곡리(銀谷里)로, 쌍룡면의 용현리와 상평리를 병합하여 신평리(新坪里)로, 쌍룡면의 용문리와 오동리를 병합하여 신풍리(新豊里)로, 쌍룡면의 금성리와 풍평리를 병합하여 금평리(錦坪里)로, 쌍룡면의 석전리와 삭창리를 병합하여 삭창리(朔倉里)로, 삼덕면 문원리와 노동리, 성천면의 상부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덕리(三德里)로, 쌍룡면 하리와 삼덕면 장상리를 병합하여 장상리(長上里)로, 삼덕면의 삼덕리 · 원덕리 · 신덕일리 · 신덕이리를 병합하여 기창리(岐倉里)로, 삼덕면 운봉리를 운봉리(雲峯里)로, 영천면의 용택리와 노동리를 병합하여 온정리(溫井里)로, 영천면의 대평리와 용봉리를 병합하여 대봉리(大峯里)로, 영천면의 자파리와 유동리를 병합하여 유동리(柳洞里)로, 영천면의 용암리와 통선면 남산리를 병합하여 용산리(龍山里)로, 영천면의 대자파리와 조양리를 병합하여 대양리(大陽里)로, 통선면의 상리 · 하리 일부와 영천면 송강리를 병합하여 상하리(上下里)로, 통선면의 남원리를 남원리(南源里)로, 천곡면의 군자리 · 안택리 · 덕암리를 병합하여 군자리(君子里)로, 통선면의 백원리와 용담리를 병합하여 백원리(百源里)로, 통선면의 문흥리와 옥정리를 병합하여 문옥리(文玉里)로, 사가면의 쌍계리 · 입석리 · 회원리를 병합하여 계석리(溪石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7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기창리 일부로 신덕리(新德里)를, 군자리 일부로 덕암리(德巖里)를 다시 설치하여 1읍 29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장림리가 장림노동자구(長林勞動者區)로, 군자리가 군자노동자구(君子勞動者區)로 승격되고 은산군 남옥리 일부가 유동리에 편입되었으며 신평리를 북창군에 이관하였다.

1961년에 신덕리가 신성천노동자구로(新成川勞動者區)로 승격되었고, 1963년에 은곡리가 은곡노동자구(銀谷勞動者區)로 승격하였으며, 1967년에 덕흥리가 신양군에 편입되고 장상리 일부가 삭창리에 흡수되었다. 1970년에 백원리가 백원노동자구(百源勞動者區)로 승격되었고, 1972년에 기창리 일부가 은산군 용흥노동자구(龍興勞動者區)에 편입되었다.

1974년에 은산군 남옥리(南玉里)와 숭화리(崇化里) 일부가 넘어왔고, 1992년에 유동리, 대양리, 남옥리, 남원리가 은산군에 이관되었다. 1995년에 군자노동자구가 덕암리에 편입되었고, 백원노동자구로 다시 백원리로 강등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성천읍), 3구(신성천노동자구, 은곡노동자구, 장림노동자구), 20리(거흥리, 계석리, 금평리, 기창리, 대봉리, 덕암리, 용산리, 용흥리, 문옥리, 백원리, 삭창리, 삼덕리, 상하리, 신풍리, 암포리, 온정리, 운봉리, 장상리, 향풍리, 회전리)로 구성되어 있다. 성천군 소재지는 성천읍이다.[4]

산업[편집]

성천군의 경제는 채취공업과 기계공업을 비롯한 중앙공업과 발전된 지방공업과 농촌경리로 이루어져 있다. 공업은 채굴, 기계, 건재, 화학, 일용품, 방직, 피복, 식료품 공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채취공업은 성천군의 공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주로 금, 은, 몰리브덴 광석 등을 채굴하는 광산들이 있다. 기계공업에서는 성천군의 발달된 광산채굴업에 이용되는 시추기 등 광산기계를 비롯하여 전기 및 자동차부속품, 농기구 등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 밖에 된장, 간장, 기름, 고추장을 비롯한 식료품과 벽돌, 석재, 시멘트를 비롯한 여러 가지 건재류들, 그리고 토기제품, 유리, 종이, 의약품 등을 생산하는 지방산업공장들이 배치되어 있다. 일용품공업에서는 철제일용품, 수지일용품, 목재일용품 생산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성천군의 농업은 밭농사를 위주로 하면서 논농사도 하는 중간지대농업의 특성을 띠고 있다. 농경지는 성천군 전체면적의 19.7%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이 비류강 연안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성천군의 농업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알곡생산이다. 알곡에서 기본은 옥수수와 벼이다. 이 두 작물은 알곡생산량의 95%를 차지한다. 옥수수는 성천군 안의 모든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보다 많이 생산되는 지역은 상하리, 대봉리, 용산리 등 지역이다.

벼는 성천군의 서부지역인 은정리 일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성천군은 주요 담배산지로서 예로부터 기후 및 토질에서 담배생산에 유리한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어 담배 생산이 발달되었다. 담배는 용흥리, 금평리, 장상리 일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이밖에 성천읍 · 장림리 · 기창리 일대에서는 채소 · 감자가, 거흥리 · 삼덕리 · 온정리 일대에서는 고구마가 많이 생산되고 있다.

축산업에서는 소, 염소, 양, 토끼를 비롯한 초식동물과 돼지, 닭 등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가 기본이고 다음은 포도, 자두, 살구, 대추 등 순위로 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사과가 약 50%를 차지한다. 주요 산지는 성천읍, 용흥리, 암포리 등 지역이다. 예로부터 덕천의 항라와 함께 성천의 명주가 이 지역의 특산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누에고치는 주로 성천읍, 상하리, 향풍리, 대봉리, 삼덕리 일대에서 많이 난다.[5]

교통[편집]

교통은 평덕선(평양~덕천)과 평라선(평양~라진)이 통과하고 있는데 평라선에는 신성천역, 거흥역, 장림역이 설치되어 있고 평덕선에는 백원역, 성천역, 삼덕역, 신성천역, 금평역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신성천역은 북한 철도운수의 주요 지점으로 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원산 간 1급 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성천군 내 각 지역과 이어지는 도로망이 구축되어 있는데 도로의 총연장 길이는 380여 km이다.[6]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성천군〉, 《위키백과》
  2. 성천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성천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성천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성천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성천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성천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