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로메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로메
로메 위치

로메(Lomé)는 토고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인구는 약 83만 명이고 수도권 인구는 147만 명이다. 기니만에 접하고 토고의 중심이 되는 항만뿐만이 아니라 공업 중심지이다. 로메는 '물건이 거래되는 곳' 이라는 뜻이다.[1]

개요[편집]

로메는 토고의 남부, 마리팀주의 주도, 토고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이다. 로메는 토고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의 서쪽은 바로 가나국경이 접해 있으며 가나의 수도인 아크라베냉의 최대도시인 코토누와 연결되어 있다. 도시는 18세기에 에웨족들에 의해서 건설되었다. 19세기 말에는 독일의 식민지로 바꿔졌지만, 1897년에 토고의 수도가 아네호(Aného)로부터 로메로 이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4년에, 프랑스군에게 점령될 때까지 도시 발전은 계속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에는 프랑스 위임통치령, 제2차 세계대전 후는 신탁통치령, 1960년에는 토고의 수도가 되었다. 치안은 그렇게 썩 좋지는 않다. 강력 범죄율이 상당히 높으며, 노상강도와 차량절도가 흔히 발생한다. 날씨는 덥고 습하며 구름이 많이 껴 있다. 로메와 서쪽 도시 크팔리메(Kpalimé), 동쪽 도시 아네호(Aného), 북쪽 도시 블리타(Blitta)를 이어주는 3개의 철도가 있다. 1968년 근대적 항만시설이 완성되어 연간 150만t의 화물을 취급하고 있으며, 주요 수출품은 인산염, 코코아, 커피, 목화, 야자제품 등이다. 토고에 하나뿐인 고층빌딩이 있으며, 높이는 102m에 36층이다. 로메의 시설로는 로메 대시장, 토고 국립 박물관, 로메 대성당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 베냉 대학, 토고대학교 등이 있다. 또 교외에는 로메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으며 에티오피아 항공이 미국행 허브 공항으로 지정한 이후에는 이 곳을 경유하는 이용객이 점점 늘고 있다. 관광업은 규모가 작지만 서서히 발전하고 있다. 해안에는 연갈색 모래사장이 펼쳐져 있는데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다. 프랑스와 부르키나파소에서 주로 관광객들이 온다.[2]

지리 및 기후[편집]

로메는 북쪽으로는 석호, 남쪽으로는 대서양, 동쪽으로는 베 마을, 서쪽으로는 아프로 국경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로메 지방자치단체의 서비스는 걸프만의 경계와 도시 북쪽과 동쪽의 지방자치단체를 훨씬 뛰어넘는다.

로메는 다호메이 갭(Dahomey Gap)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적도에 가까운 위도에도 불구하고 열대 사바나 기후(쾨펜 기후 분류 Aw)를 가지고 있다. 토고의 수도는 연평균 강수량이 800~900mm로 비교적 건조하고, 연평균 비가 오는 날이 59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도시는 1년 중 대부분 벤겔라 해류의 북쪽 연장으로부터 짙은 안개를 경험하고 매년 총 2,330시간의 밝은 햇빛을 받는다. 바마코(Bamako)나 카노(Kano)와 같이 비교적 건조한 서아프리카 내륙 도시에서는 연간 일조량이 2,900~3,000시간 정도이다. 연평균 기온은 약 26.9°C이지만 7월의 월평균 기온은 24.9°C로 1년 중 가장 덜 더운 달인 2월과 4월의 월평균 기온은 29.6°C로 일정하다.[3]

역사[편집]

로메는 암양족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9세기 독일, 영국, 아프리카 상인들에 의해 확장되었으며 1897년에 토고랜드(Togoland)의 수도가 되었다. 19세기 말 영국에서는 수입품에 대한 관세(특히 술과 담배의 경우)는 매우 무거웠다. 영국 식민지인 골드코스트 동쪽의 아프라오(Aflao)와 케타(Keta) 사이 지역의 해상 에웨(Ewe)나 안로(Anlo)를 중심으로 한 무역상들은 영국 세관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물품을 하역할 대체 장소를 찾다가 자연스럽게 해안 지역인 로메(Lomé)를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관세 회피와 탈세의 상업적 역동성은 1880년경 로메의 확장을 촉진했다. 조용하고 사람이 드물게 거주하는 로메 해안선에 인구가 빠르게 유입되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로메를 대표하는 새로운 경제 중심지에 매료되었다. 도시의 급속한 성장은 강화되었고 로메는 곧 좋은 사업이 이루어지는 곳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로메가 식민지를 위해 촉발한 경쟁을 종식시킨 것은 인근 골드 코스트(현재 가나)에 있는 영국인의 위협이었으며 이는 독일의 보호를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토고랜드는 구스타프 나흐티갈(Gustav Nachtigal)과 믈라파 3세(Mlapa III) 국왕이 서명한 토고 빌 조약에 의해 1884년 7월 5일 독일 식민제국 내에서 국제법의 실체로 창설되었다.

로메는 수입의 중심지로서 계속 번성하여 북부로 향하는 주요 관문이 되었으며, 북부로 가는 주요 관문이 되었다. 1892년부터 로메-크팔리메(Lomé-Kpalimé)라는 국내 최초의 실제 도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독일 행정부가 영토의 수도를 이미 2,000명 이상의 주민이 살고 있는 도시로 이전하게 된 것은 바로 이러한 중요한 경제적 역할이었다.

로메는 1904년부터 토고의 유일한 해양 접촉 지점이 된 항구로부터 이익을 얻었으며, 경쟁자인 아네호(Aneho)를 의지하지 않고 그 때까지 훨씬 더 중요한 시기까지 망쳤다. 1905년 아네호까지, 1907년 크팔리메까지, 1909년 아탁파메까지 철도망을 구축하였다. 모든 "유용한 토고"는 이제 로메 주변의 깔때기 안에서 조직되었다. 로메는 토고 도시 네트워크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성장을 보장했다. 도시는 1914년에 8,000명의 인구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러나 1890년 우체국, 1894년 전화, 1904년 대성당, 1906년 은행, 1913년 대륙간 전신 등 독일인이 구축한 인프라가 있었다면 차별적인 특허 및 라이센스 시스템은 모두에게 이익이 되며, 가장 수익성이 높은 활동, 즉 무역이나 수출입 활동에서 아프리카 무역업자들을 점차적으로 몰아냈다.

부유한 옥타비아노 올림피오(Olympio)와 도시 최초의 대형 코코테라리스(Cocoterais), 가축 떼, 벽돌 공장, 건설 회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토고 상인들은 대리점의 관리자로서 외국 회사에 봉사해야 했다. 다른 도시에 거주하거나 내륙의 농산물 수출품 구매자로서 더 많은 자율성을 누리고 있었다. 가장 적은 인원은 주요 공장(해외 무역회사 사무실 본사)의 사무원으로 대량 채용되었다. 다른 아프리카 지역의 기업들은 숙련된 인력이 풍부한 토고를 부러워했고, 다른 지역에서는 고용주에게 훨씬 더 많은 비용이 드는 국외 거주자에게 모든 직책을 맡길 필요가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도시는 완전히 피해를 입었지만 1916년에 독일 기업이 쫓겨나고 점차 영국프랑스 기업이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되었다. 많은 토고 상인들이 로메로 돌아왔다. 그들의 번영하는 사업, 광대한 코코넛 숲, 그들의 토지 재산은 그들을 새로운 프랑스 식민 당국이 고려해야 할 부르주아지로 만들었다. 이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아프리카에서 로메에 주목할 만한 초기 정치 생활을 제공했다. 로메에서 독창적인 도시 공간의 생산 관행과 인기 있는 건축의 특이점 모두에서 아프리카 자본이 토착 부르주아(원래 프랑스 출신)에 의해 그렇게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도 매우 예외적이다.

프랑스인들은 독일인들이 남긴 기반시설을 새로 갱신했다. 철도 수리, 도로 증설, 새로운 부두 건설 등이 이루어졌다. 그들은 1926년에 전화를 추가하고 1940년에 식수 공급을 추가했는데, 이는 전임자들이 달성할 수 없었던 것이다.

1920년대에는 체계적인 저과세 정책으로 오랜 번영을 누릴 수 있었다. 1923년 1월, 두아우 지도자 두 명이 체포된 것에 반대하는 여성 반란이 일어났고, 그들의 석방을 허락했다.

로메의 인구는 1930년경 15,000명에 달했다. 그러나 1930년대 초의 세계 경제 위기는 잔인한 경기 침체로 이어졌다. 많은 상업 기업이 문을 닫았거나 통합해야 했다. 1934년에 북부 철도와 마찬가지로 투자가 중단되었다. 국민의 자원이 감소하는 가운데 급격한 세금 인상을 위한 계획이 1933년 1월 폭동을 일으켰는데,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토고 역사상 중대한 정치적 돌파구였다. 모든 것이 활력으로 가득 찼던 로메에서 호황이 다시 시작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10년 동안의 경제 침체 이후의 일이었다.

도시의 인구는 20세기 후반에 빠르게 증가했다. 1950년에는 인구가 3만 명에 불과했고, 토고가 독립한 해인 1960년에는 8만 명으로 늘었다. 10년 후인 1970년에는 200,000명에 달했다. 20년 안에 로메의 인구는 7배나 증가했다. 이 도시는 전국적으로 매우 높은 수출품 가격이 시장을 운영하고, 식민지 행정부의 상당한 투자("FIDES" 계획은 많은 수의 도로, 다리, 학교, 병원을 만들었다)가 완전한 고용을 보장했다. 오래된 코코넛 숲을 희생시키면서 건설이 급속히 확장되고 있었고, 희망은 임박한 도약을 불러일으켰다.

1970년대 중반부터 투자가 점점 더 거대해졌지만 항상 목표가 잘 설정된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작은 개방국가이자 강력한 이웃 국가들 간의 무역의 중심지인 토고에는 그것을 위해 건설된 대규모 산업에 필요한 보호 시장이 없었다. 또한 다가오는 고급 호텔에 대한 안정적인 관광 잠재력도 없다. 동시에 철도는 특히 도시 외곽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노후화되도록 허용되었다.

하지만 아프리카 도시의 경제활동은 대기업, 은행, 공장의 축적만이 아니다. 또한 대중 경제의 매우 광대한 분야가 있다. 생산, 교환, 서비스, 수리의 수많은 활동들이 사실상 대다수 인구의 생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것이 적은 자원에 상응하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경제학자들의 통계 도구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비공식 부문이 아프리카 도시 거주자들의 실제 경제 생활에 점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실업 증가에 자극을 받은 도시 주변의 시장 원예의 발달은 농촌 탈출과 채소에 대한 수요를 발생시켰다. 처음에 북쪽으로 확장된 시장 정원 가꾸기는 주로 해변에서 이루어졌다. 도시의 토지 시장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지역은 도시의 사회적, 공간적 구분 없이 호화로운 빌라와 소박한 주택이 혼합되어 상대적으로 이질적이다. 따라서 이는 토지 동결로 이어졌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분열된 도시가 아니라면, 로메가 생활 폐기물 수집과 관련된 문제를 점점 더 많이 겪고 있다는 사실은 도시와 주민들의 우선순위 중 하나가 되었다.[4]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로메〉, 《위키백과》
  2. 로메(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Lomé", Wikipedia
  4. 로메〉, 《요다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국가
서아프리카 도시
서아프리카 지리
서아프리카 문화
서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로메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