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지브롤터해협(Gibraltar Strait)은 유럽의 스페인 남부와 아프리카의 모로코 북부 사이의 해협이다.
- 지브롤터해협은 대서양과 지중해를 경계 짓는 해협이다. 해협의 북쪽은 유럽에 속하는 이베리아반도, 남쪽은 아프리카가 자리 잡고 있다. 가장 폭이 좁은 곳의 거리는 14km,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의 깊이는 300m이다. 가장 폭이 넓은 곳은 58km이다. 전설에 따르면, 로마 신화에서 헤라클레스가 여신 헤라의 미움을 사 큰 모험을 떠났다. 그런데 지중해를 빠져나가는 길목이 거대한 바위들로 막혀 있었다. 그러자 헤라클레스는 맨손으로 그 바위들을 다 찢어 버리고 길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바위들을 양쪽으로 내던져 지중해를 지키게 했다. 그리스인들은 헤라클레스의 이름을 따서 그 바위들을 헤라클레스의 기둥이라고 했는데, 이 헤라클레스의 기둥이 현재의 지브롤터 해협이다.[1]
- 지브롤터해협은 지중해와 대서양의 접점으로, 그 양편에는 유럽대륙의 서쪽 끝 스페인과 아프리카 대륙의 북쪽 끝 모로코가 있다. 길이 58㎞. 너비 13~43㎞. 해상교통 및 군사상으로 아주 중요한 지역으로서 지중해 쪽 출입구인 유럽대륙 안에는 영국 직할령의 반도 지브롤터(Gibraltar)가, 아프리카 대륙 안에는 에스파냐령의 군항 세우타(Ceuta)가 있다. 스페인 남단과 아프리카 북서단 사이에 있으며, 길이는 58㎞이고, 마로키 곶(스페인)과 키레스 곶(모로코) 사이에서는 너비가 13㎞까지 좁아진다. 해협의 서쪽 끝은 트라팔가르 곶(북쪽)과 스파르텔 곶(남쪽) 사이에 있으며 너비는 43㎞이고, 동쪽 끝은 헤라클레스의 두 기둥 사이에 있으며 너비는 23㎞이다. 헤라클레스의 두 기둥은 지브롤터의 바위산(북쪽)과, 모로코 안에 있는 스페인의 고립 영토인 세우타 동쪽에 있는 하초 산(남쪽)으로 간주된다. 이 해협은 중요한 통로 중 하나이며, 아프리카 북쪽에 있는 아틀라스 산맥과 스페인 고원 사이에 형성된 호(弧)에서 평균 수심이 365m이다.
- 지브롤터해협은 깊이가 300m, 해협의 최단 폭은 14km이다. 판과 판이 만나는 곳인 데다가 몇백만 년 전 한때 지중해가 마르는 소동이 벌어졌을 때(메시나절 염분 위기) 바닷물이 드나들며 깎였기 때문에 생각보다 깊이가 깊다. 베링 해협이 최근 빙하기 때 닫혔을 때도 지브롤터해협은 닫히지 않았다. 메시나절 염분 위기가 끝나 지브롤터해협이 다시 열렸을 때 이 해협은 거대한 폭포였다고 한다. 지중해는 증발량이 높아서 염분의 농도가 대서양보다 높다. 그래서 증발량을 메우기 위해 대서양의 바닷물이 지중해로 밀려들기 때문에 표층해류의 방향이 주로 대서양에서 지중해 방향으로 움직인다. 지브롤터 해협 북쪽은 스페인, 남쪽은 모로코이나 다른 나라의 해외 영토가 있다. 북쪽에는 영국의 속령인 지브롤터가, 남쪽에는 스페인의 영토 세우타가 있다. 지브롤터 해협에 다리를 놓겠다는 구상도 있다. 그러나 해협의 최단폭이 14km로 광안대교의 길이의 2배에 달하며 수심이 약 900m 가량이라 다리를 짓기는 힘들고 해저 터널의 구간도 길어져야 하며, 해저 터널이 되면 관광 효과는 버려버리는 문제로 아직까지 진척이 별로 되지 않고 있다. 한일 해저터널과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셈이다. 다만 한일 해저터널과 달리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것이라 잠재수요는 매우 많고 북아프리카와 유럽 국가들은 대부분 표준궤이기 때문에 철도 문제 등에 비교적 자유롭다.[2]
지브롤터(Gibraltar)[편집]
- 에스파냐의 이베리아 반도 남단에서 지브롤터 해협을 향하여 남북으로 뻗어 있는 반도로 영국의 해외 영토이다. 해협을 마주 보며 깎아지른 듯한 바위산 '지브롤터 바위'가 서 있다. 이 지브롤터 바위(높이 425 m)의 북부는 낮고 평평한 모래톱으로 에스파냐의 안달루시아 지방과 이어져 있는데, 길이 4km, 너비 1.2km의 반도는 해발고도 300m의 석회암 암봉이 5개나 연이어져 있으며, 평지 부분이 거의 없다. 바위산의 절벽과 급사면 위에는 해군 기지가 구축되어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바위산의 일부를 닦아 비행장을 만들었다. 또 해면을 간척하여 평지를 확대하였으며, 그와 동시에 운하를 파고, 바위산을 꿰뚫어 터널 수를 늘림으로써 이 요새를 더욱 강화하였다. '바위'의 서쪽은 항구로 이용되고 있으며, 군항 및 자유 무역항으로서 붐빈다.
- 지브롤터의 역사는 그리스·로마 시대부터 시작되는데, 기원후에도 이 지점을 두고 유럽·아시아·아프리카의 여러 민족이 쟁탈전을 벌인 격전지였다. 711년에는 이슬람교도의 타리크가 무어인을 거느리고 이곳을 점령하였으며, 이를 거점으로 하여 에스파냐로 쳐들어갔다. 로마 시대까지 헤라클레스의 기둥, 칼페산(山) 등의 이름으로 알려졌던 이 지점은 이때부터 타리크의 산, 즉 자발타리크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이것이 지브롤터라는 지명의 기원이 되었다.
알보란섬[편집]
- 알보란섬(Alboran Island)은 지중해의 서쪽 끝 지브롤터해협(Gibraltar Strait) 부근의 알보란해(Alboran Sea)에 위치한 스페인령 작은 섬으로 안달루시아(Andalusia)주에 속한다. 모로코에서 스페인으로 가는 바다 길의 1/3 정도에 위치한다. 1540년 스페인에 점유되어 오늘날에 이르렀으며 현재는 스페인 해군 병영과 자동으로 작동하는 등대가 있다. 1960년 대 소련의 어선에 의해서 영구적인 기지를 설치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스페인 해군에 의해서 섬을 보호하고 관할하가 위한 기지가 세워졌다.
- 안달루시아주의 아랍 역사가 깃들어 있는 알메리아(Almeria) 지방의 관할하에 있다. 모로코 주변에 있는 스페인 영토에 포함되는 차파리나스섬과 멜리아, 페논데알우세마스섬, 페논데벨레스데라고메라섬, 세우타 등과 함께 모로코에 의해서 영토로 요구되는 곳이다.
지브롤터해협의 군사적 가치[편집]
- 수에즈 운하를 건설하기 전까지는 지브롤터 해협이 유일하게 지중해와 흑해에서 대서양으로 나가는 출구였다. 그래서 고대 시절부터 '헤라클레스의 기둥'이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상당히 중요성이 높았으며, 해협의 양안에는 항상 도시나 요새가 존재했다. 해협의 폭이 바다 기준으로 보면 상당히 좁기 때문에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건너가기도 좋다. 그래서 이베리아 반도를 정복한 세력이 북아프리카로 건너가거나, 반대로 북아프리카를 확보한 세력이 유럽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지브롤터해협을 거쳐 가는 길이 가장 편리하다. 애초에 한니발 장군이 북아프리카에에 있는 카르타고에서 포에니 전쟁(로마 원정)을 시작한 바탕이 바로 식민지 히스파니아(에스파냐)였다. 반달족의 경우에는 유럽에서 아프리카로 이동했으며, 이슬람 제국의 경우에는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지브롤터해협을 건넜다. 특히 이슬람 제국의 경우에는 해협의 이름인 지브롤터를 붙여주기까지 했다.
- 이후 대항해시대가 도래하면서 제해권이 점점 더 중요해지자 지브롤터 해협의 가치는 더 높아졌으며, 각 세력 간의 마찰과 전쟁 끝에 결국 대영제국이 지브롤터를 장악하면서 해협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영국의 경우에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지브롤터에 항상 본국함대와 맞먹거나 적어도 그다음 순위가 될 정도의 해군 전력을 집중해서 몰타와 알렉산드리아와 함께 지중해의 제해권을 유지하는 데 전력을 다했다. 독일은 지중해의 제해권을 위해 U보트를 지중해로 투입하는 등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지브롤터에 집중한 영국의 해군 전력이 너무 막강한데다가, 지브롤터의 해류가 대부분 지중해로 들어오는 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에 잠수함 같은 것을 투입하면 지중해로 들어오기는 쉽지만, 나가기는 거의 불가능한 사태가 발생하여 지브롤터의 덫이라는 말까지 나올 지경으로 상황이 안 좋았다.
- 세계대전이 종전된 후에는 항공력의 발달과 영국의 세력 약화 등이 합쳐져서 이전처럼 절대적 요충지의 지위에서는 벗어났다. 하지만 21세기의 시점에서도 지중해나 흑해에 있는 군용함선들이 외양으로 나가려면 수에즈 운하로 나가지 않는 한 반드시 이 해협을 거쳐야 하므로 지정학적 중요성은 매우 높은 편이다. 스페인, 모로코, 영국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혀있다. 스페인은 스페인대로 이 지역을 영해로 통제할 수 있는 스페인령 세우타와 주변 무인도들을 포기하지 않으려 하며, 영국 또한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지브롤터 반환을 거부하고 있다. 모로코는 모로코대로 세우타 및 북아프리카의 스페인 도서지역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지브롤터해협의 기후와 생태[편집]
- 해협에 부는 바람은 동풍 아니면 서풍이다. 북쪽으로부터 지중해 서부 해역으로 확장하는 찬 기단이 종종 레반테로 알려진 낮고 빠른 속도의 동풍이 되어 지나간다. 해협을 지나가는 물의 흐름에도 중요한 변화가 있다. 시속 2kn(노트)의 표층해류가 동풍의 영향을 받을 때를 제외하고는 해협의 중심부를 통해 동쪽으로 흐른다. 이 표층의 운동은 수심 120m 이하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무겁고 차며 염기가 많은 해류를 압도한다. 이렇게 해서 이 해협은 지중해가 점점 수량이 줄어드는 염호가 되는 것을 막아준다.
-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 헤라클레스의 두 기둥은 서쪽 끝을 표시했다. 전략적·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여 일찍이 많은 대서양 항해자들이 이용하였으며, 선박 항로로서 남부 유럽, 북부 아프리카, 아시아 서부지역에 절대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지브롤터의 바위산을 놓고 서로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이 지역 역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지역은 대서양과 지중해를 연결하는 핵심 지점으로서,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다. 이에 따라 해협 주변에는 스페인과 영국이 주도하는 군사기지들이 위치하고 있다. 지브롤터 해협을 향해 여행하는 여행객들에게는 이곳에서 볼 수 있는 경치도 매우 인상적이다. 해협을 따라 높은 바위산 위에 있는 경치 좋은 전망대들은 많은 관광객들의 발길을 이끌어내고 있다.
- 이 지역은 지중해와 대서양의 서로 다른 해양생물들이 만날 수 있는 생물학적으로도 흥미로운 지역이다. 매년 많은 해양생물학자들이 이 지역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해양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또한 지브롤터 해협은 역사, 경제, 군사, 자연 등 매력적인 다양한 측면을 갖고 있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해협〉, 《위키백과》
- 〈해협〉, 《나무위키》
- 〈지브롤터 해협〉, 《나무위키》
- 〈지브롤터 해협〉, 《위키백과》
- 〈해협(strait,海峽)〉, 《두산백과》
- 〈지브롤터(Gibraltar)〉, 《두산백과》
- 〈해협(海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박차영 기자, 〈지브롤터의 지정학…스페인 턱밑을 찌르는 비수〉, 《아틀라스뉴스》, 2020-05-07
같이 보기[편집]
 이 지브롤터해협 문서는 세계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한국지리, 세계지리 □■⊕,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신도시, 한국행정구역, 세계행정구역, 지도서비스,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건설, 토지
|
|
세계의 산
|
K2봉 • 갈회피겐산 • 디날리산 • 로건산 • 마우나로아산 • 마우나케아산 • 마터호른산 • 몽블랑산 • 백두산(장백산) • 베수비오산 • 빈슨 산괴(빈슨 매시프) • 아콩카과산 • 에베레스트산 • 옐브루스산 • 워시번산 • 침보라소산 • 크라카타우산 • 키나발루산 • 킬리만자로산 • 태산 • 푼착자야산 • 한라산 • 후지산
|
|
세계의 산맥
|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 • 난링산맥 • 다싱안링산맥 • 로키산맥 • 발칸산맥 • 스칸디나비아산맥 • 아틀라스산맥 • 아펜니노산맥 • 안데스산맥 • 알타이산맥 • 알프스산맥 • 애팔래치아산맥 • 와칸회랑 • 우랄산맥 • 친링산맥 • 카르파티아산맥 • 칼레도니아산맥 • 캅카스산맥 • 쿤룬산맥 • 톈산산맥 • 피레네산맥 • 히말라야산맥
|
|
세계의 사막 • 고원
|
고비사막 • 골란고원 • 그레이트 베이슨 사막 •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 • 나미브사막 • 남극툰드라사막 • 데칸고원 • 룹알할리사막 • 모하비사막 • 몽골고원 • 브라질고원 • 사하라사막 • 소노라사막(힐러사막) • 아라비아사막 • 아타카마사막 • 에티오피아고원(아비시니아고원) • 우유니사막 • 이란고원 • 중앙시베리아고원 • 카라쿰사막 • 칼라하리사막 • 콜로라도고원 • 타르사막 • 타클라마칸사막 • 티베트고원 • 파미르고원 • 파타고니아사막
|
|
세계의 대평원
|
동북평원(둥베이평원) • 동유럽평원 • 북아메리카 중앙평원(그레이트 플레인스) • 북유럽평원 • 서시베리아평원 • 세렝기티 • 송눈평원 • 유럽대평원 • 팜파스 • 프레리 • 호주중앙평원 • 화남평원 • 화북평원 • 화중평원
|
|
세계의 강
|
감비아강 • 갠지스강 • 그랜드캐니언 • 나이저강(니제르강) • 나일강 • 다뉴브강 • 돈강 • 드네프르강 • 라인강 • 라플라타강 • 레나강 • 루아르강 • 리오그란데강 • 매켄지강 • 머리강 • 메그나강 • 메콩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볼가강 • 브라마푸트라강 • 샤트알아랍강 • 서스캐처원강 • 세인트로렌스강 • 시르다리야강 • 아마존강 • 아무다리야강 • 아무르강 • 엠바강 • 예니세이강 • 오렌지강 • 오비강 • 오타와강 • 요르단강 • 요하(랴오허) • 우랄강 • 유콘강 • 유프라테스강 • 이라와디강(에야워디강) • 이르티시강 • 인더스강 • 잠베지강 • 장강(양쯔강) • 주강 • 콜로라도강 • 콩고강 • 타림강 • 탈라스강 • 티그리스강 • 파라나강 • 패드마강 • 한강 • 황하
|
|
세계의 호수
|
갈릴리호(갈릴래아호) • 그레이트베어호 • 그레이트슬레이브호 • 나세르호 • 니카라과호 • 라도가호 • 레만호 • 리빈스크호 • 마나과호 • 마라카이보호 • 만차르호 • 말라위호 • 미드호 • 미시간호 • 바이칼호 • 반호 • 발하슈호 • 벌러톤호 • 베네른호 • 베이호 • 보스토크호 • 볼타호 • 비와호 • 빅토리아호 • 사리카미슈호 • 세반호 • 슈피리어호 • 아이다르쿨호 • 알라콜호 • 애서배스카호 • 오네가호 • 오대호 • 온타리오호 •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 우르미아호 • 위니펙호 • 이리호 • 이식쿨호 • 자이산호 • 중난하이(중남해) • 천지 • 칭하이호 • 카리바호 • 카프타이호 • 쿤밍호 • 탕가니카호 • 톤레삽호 • 투르카나호 • 티티카카호 • 페이푸스호 • 푸포호 • 하문호 • 한카호(싱카이호, 항카호, 흥개호) • 휴런호
|
|
세계의 폭포
|
과이라 폭포 • 나이아가라 폭포 • 빅토리아 폭포 • 앙헬 폭포 • 이과수 폭포 • 코네 폭포 • 황과수 폭포
|
|
세계의 운하 • 터널
|
걸프만 연안수로 • 경항운하(대운하) • 마이애미운하 • 백해-발트해 운하 • 베니치아운하 • 볼가-발트해 수로 • 수에즈운하 • 유럽운하(계획) • 이리운하 • 채널터널 • 카라쿰운하 • 코린토스운하 • 킬운하 • 파나마운하
|
|
세계의 바다
|
그린란드해 • 남극해 • 남대서양 • 남인도양 • 남중국해 • 남태평양 • 노르웨이해 • 대서양 • 동시베리아해 • 동인도양 • 동중국해 • 동카리브해 • 동태평양 • 동해 • 랍테프해 • 래브라도해 • 래카다이브해 • 로스빙붕 • 론빙붕 • 리구리아해 • 마르마라해 • 마리아나해구 • 바렌츠해 • 반다해 • 발트해 • 백해 • 버마해 • 베링해 • 보르네오해 • 보퍼트해 • 보하이해(발해) • 북극해 • 북대서양 • 북태평양 • 북해 • 비스마르크해 • 사해 • 산호해(코럴해) • 서남극빙하 • 서인도양 • 서카리브해 • 서태평양 • 세일리시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술라웨시해 • 술루해 • 아드리아해 • 아라비아해 • 아라푸라해 • 아랄해 • 아일랜드해 • 아조프해 • 알보란해 • 에게해 • 오대양 • 오호츠크해 • 이오니아해 • 인도양 • 자와해 • 중태평양 • 지중해 • 추크치해 • 카라해 • 카리브해 • 카스피해 • 코르테스해 • 태즈먼해 • 태평양 • 티레니아해 • 티모르해 • 포인트 니모 • 필리핀해 • 홍해 • 황해 • 흑해
|
|
세계의 만
|
경기만 •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만 • 기니만 • 도쿄만 • 동조선만(동한만) • 라이저우만 • 랴오둥만 • 멕시코만 • 바레인만 • 배핀만 • 베네수엘라만 • 벵골만 • 보트니아만 • 보하이만(발해만) • 비스케이만 • 사가미만 • 사로니코스만 • 샌파블로만 • 샌프란시스코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세인트로렌스만 • 수에즈만 • 스루가만 • 아덴만 • 아무르만 • 아카바만 • 알래스카만 • 오만만 • 오사카만 • 와카사만 • 우수리만 • 이세만 • 지브롤터만 • 진주만 • 카라보가스골만 • 코린토스만 • 타이만 • 파나마만 • 페르시아만 • 포시예트만 • 표트르대제만 • 핀란드만 • 하롱베이(할롱만) • 허드슨만
|
|
세계의 해협
|
간몬해협 • 골든게이트해협 • 다르다넬스해협 • 대만해협(타이완해협) • 대한해협 • 데이비스해협 • 도버해협 • 드레이크해협 • 마젤란해협 • 말라카해협(믈라카해협) • 메시나해협 • 모잠비크해협 • 밥엘만뎁해협(바브엘만데브해협) • 배스해협 • 베링해협 • 보스포루스해협 • 보하이해협 • 비글해협 • 순다해협 • 싱가포르해협 • 쓰가루해협 • 쓰시마해협 • 영국해협 • 유카탄해협 • 조지아해협 • 조호르해협 • 지브롤터해협 • 카리마타해협 • 쿡해협 • 타타르해협(마미야해협) • 토레스해협 • 포크해협(팔크해협) • 플로리다해협 • 호르무즈해협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