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신흥군

해시넷
Liqingli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10일 (금) 16:28 판 (새 문서: {{동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북한''' 위치 썸네일|300픽셀|함경남도 위치 '''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함경남도 위치

신흥군(新興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중부 내륙 산악 지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신흥군의 면적은 1,200km²이며 인구는 104,002명(2008)이다. 북쪽으로 부전군, 량강도 김형권군, 동쪽으로 덕성군, 남쪽으로 홍원군·함흥시, 서쪽으로 영광군, 장진군과 접한다. 북동~남서(흥경리~중평리)의 길이는 53km이고, 북서~남동(발전노동자구~축상리)의 길이는 22km이며, 도 면적의 약 6%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3구 21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신흥읍이다.

흥군에서 분리되어 새로 설치된 군이라는 뜻에서 새 신(新)자와 함흥군의 흥자를 따서 신흥군이라 하였다.[3]

자연환경[편집]

신흥군은 성천강 연안의 좁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산지로 되어 있다. 북부에는 명당봉(明堂峯, 1,807m), 백역산(白亦山, 1,856m), 부전령(赴戰嶺, 1,355m), 백암산(白岩山, 1,740m), 고대산(高大山, 1,766m), 동부에는 천산대봉(天山大峯, 1,976m), 태백령(太白嶺, 1,143m), 발의봉(1,477m), 팔봉(八峯, 1,682m), 사시봉(1,110m), 남부에는 박달봉(905m), 장동산(長洞山, 405m), 서부에는 천불산(千佛山, 1,456m), 마안산(馬鞍山, 1,182m) 등이 솟아 있다.

신흥군의 지질은 주로 시생대 낭림층군과 중생대 · 신생대 지층으로 되어 있으며 주요 관입암은 시생대 연화산암군과 중생대 단천암군이다. 편마암, 역암, 사암, 분사암 그리고 화강암이 많이 분포하였다. 주요 지하자원은 금, 납, 아연, 동, 철, 석탄 등이다. 이 지역에서 연평균기온은 8.8℃, 1월 평균기온은 -7.0℃, 8월 평균기온은 22.8℃이다.

연평균최고기온은 15.7℃, 1월 평균최고기온은 0.7℃, 8월 평균최고기온은 27.9℃이며 연평균최저기온은 3.5℃, 1월평균최저기온은 -13.1℃, 8월 평균최저기온은 18.9℃이다. 0℃이상 적산온도는 3,735℃, 5℃이상 적산온도는 3,642℃이고 10℃이상 적산온도는 3,329℃, 15℃이상 적산온도는 2,729℃이다. 연평균일조율은 60%이다.

첫 서리는 10월 중순, 마지막 서리는 4월 중순에 내린다. 늦가을부터 다음해 이른봄사이에 성천강 골짜기를 따라 내기바람이 많이 분다. 연평균강수량은 930mm 정도이며 그의 50%이상이 7~8월에 집중되어 있다. 최고강수량(1954년)은 1,692.4mm, 최저강수량(1977년)은 548.9mm였고 1일 최대강수량은 156.2mm(1962년 7월 30일), 2일 최대강수량은 236.0mm(1928년 8월 29일~30일), 3일 최대강수량은 306.0mm(1928년 8월 28일~30일)였다.

신흥군에는 성천강 상류와 이 강에 유입되는 수십 개의 작은 하천들이 있다. 그중 길이가 15km 이상의 하천은 6개이다. 하천들은 계절에 따라 유량의 차이가 크고 강바닥의 경사가 급한 산악하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주요 하천은 성천강과 동덕천(東imagefont川), 서고천(西古川), 작은골천, 동흥천(東興川), 경흥천(慶興川), 서곡천(西谷川)이다.

신흥군에는 영고저수지(永高貯水池), 중평저수지(中坪貯水池), 동흥저수지(東興貯水池), 서남저수지(西南貯水池) 등이 건설되어 있다. 신흥군은 함경남도에서 산림자원이 많은 지역으로서 산림이 군 전체 면적의 87%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나무, 참나무, 피나무, 가래나무, 잣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잎갈나무, 사스래나무 등이 주종을 이룬다.

그 해발별분포를 볼 때 해발 800m 이하의 지역에 소나무 숲과 소나무 · 참나무의 혼성림이, 해발 800~1,300m 지역에 참나무 숲이 조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서는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성림과 침엽수림이 우세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분포를 볼 때 북동부 지역에 삼송류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동부 축상리 일대의 골짜기들에는 가래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다.

신흥군에는 함경남도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머루와 다래자원이 있으며 이 외 고사리, 송이버섯, 도라지, 만삼, 오미자, 족도리풀, 당귀, 삼지구엽초 등 산중부원도 풍부하다. 천불산 · 부전령 일대의 산림지대에는 사향노루, 산양, 검은담비, 곰, 노루, 너구리 등 동물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신흥군의 서부 천불산 일대에는 동물보호구가 설정되어 있다. 신흥군의 주요 토양은 갈색산림토양,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며 하천 연안을 따라 일부 충적토와 논토양도 분포하였다.[4]

역사[편집]

신흥군 지역에서 원시시대의 유적유물은 발굴된 적이 없다. 하지만 주변에 있는 함흥시홍원군 등 지역에서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의 유적유물이 발굴된 것으로 미루어보아 적어도 청동기시대에서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고대국가가 형성되면서 옥저에 속해 있었으며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영역이었고 그 후반에 신라의 판도에 편입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698년 발해가 건립되면서 남경용원부(南京龍原府)에 속해 있었다. 고려의 개국에 이르러 고려의 판도에 편입되었으며 한때 여진의 지배하에 있다가 후에 금나라가 쇠망하고 원나라 쌍성총관부의 관하에 있었다. 그러다가 1356년에 다시 고려의 영토로 수복되어 함주에 속해 있었고 그 후 함주가 함주목이 되면서 함주목에 속해 있었다.

조선왕조가 건립되어서 1416년(태종 16년)에 함주목이 함흥부로 승격되었고 신흥군 지역은 함흥부에 속해 있었다. 조선 말기까지 신흥군 지역은 군현으로 독립되지 못하고 함흥부 산하의 행정구역으로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함흥군의 동원평면(東元平面) · 서원평면(西元平面) · 상동서고천면(上東西古川面) · 하동서고천면(下東西古川面) · 영천면(永川面) · 고산면(高山面) · 서고천면(西古川面) · 가평면(加平面)과 홍원군의 상원천면(上元川面) · 하원천면(下元川面) · 장진군 동상면(東上面)의 7개 리를 통합하여 신흥군을 구성하였는데, 상동서고천면과 하동서고천면을 병합하여 동고천면(東古川面)을, 동원평면과 서원평면을 병합하여 원평면(元平面)을, 영천면과 고산면을 병합하여 영고면(永高面)을 각각 신설하여 산하에 8면 13리를 두고 관할하였다.

1915년에 함흥군, 홍원군의 일부 지역들이 편입되었고, 1930년에 동고천면이 신흥읍(新興邑)으로 승격되었다가, 1945년에 다시 신흥면으로 강등되었다. 광복 전까지 신흥군은 8면(신흥면, 가평면, 원평면, 서고천면,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 동상면)으로 구성되었으며, 1949년 10월 46개의 리들이 통합되어 23개의 리로 되었다.

952년 12월에 전 신흥군의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이 신설되는 부전군(赴戰郡)에 편입되었다. 동시에 전 신흥군의 신흥면 · 가평면 · 원평면 · 서고천면 · 동상면의 전체 리를 통합하여 신흥군을 구성하여 신흥면의 삼일리 · 장흥리 · 원흥리 · 부민리 · 흥경리 · 중상리 · 신흥리 · 길흥리를 병합하여 신흥읍(新興邑)을, 가평면의 화장리 · 상리를 병합하여 화장리(花藏里)를, 가평면의 중양리 · 흥남리 · 중리를 병합하여 중리(中里)를, 가평면의 능상리 · 능리를 병합하여 능리(陵里)를, 가평면의 지동리 · 관수리를 병합하여 관수리(觀水里)를, 가평면의 풍상리 · 풍양리를 병합하여 풍상리(豊上里)를, 가평면의 풍서리 · 자동리 · 장풍리를 병합하여 자동리(柘洞里)를, 원평면의 풍동리 · 중평리 · 서리 · 남리를 병합하여 중평리(中坪里)를, 원평면의 장흥리 · 동상리 · 흥덕리 · 흥성리를 병합하여 원동리(元東里)를, 원평면의 최남리 · 풍양리를 병합하여 원평리(元平里)를, 원평면의 장하리 · 장전리 · 장풍리를 병합하여 전동리(典洞里)를, 원평면의 사리 · 신성리를 병합하여 천불산리(千佛山里)를, 서고천면의 도상리 · 요중리 · 주양리를 병합하여 도동리(道洞里)를, 서고천면의 신동리 · 중흥리 · 풍향리 · 신기리를 병합하여 대동리(大洞里)를, 신흥면의 상리 · 복흥리 · 중동리 · 중흥리를 병합하여 흥복리(興福里)를, 신흥면의 인풍리 · 동흥리 · 풍남리를 병합하여 풍흥리(豊興里)를 각각 신설하였고, 가평면의 중흥리 · 중상리 · 동흥리를 병합하여 중상리(中商里)로, 원평면의 오신리 · 서남리를 병합하여 서남리(西南里)로, 원평면의 중상리 · 우상리 · 우하리를 병합하여 우상리(右上里)로, 서고천면의 창전리 · 창서리를 병합하여 창서리(倉西里)로, 서고천면 삼상리 · 길리 · 길봉리를 병합하여 길봉리(吉峯里)로, 신흥면의 동상리 일부와 신성리 · 이전리 · 풍양리를 병합하여 이전리(梨田里)로, 신흥면의 부흥리와 고천면의 흥평리, 동상리 일부를 병합하여 부흥리(富興里)로, 신흥면의 신정리 · 신풍리 · 서흥리를 병합하여 신풍리(新豊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3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길봉리 일부 지역이 창서리에 편입되었고 1954년 10월에 화장리, 중리, 능리, 관수리, 풍상리, 자동리, 중상리, 원평리, 천불산리, 전동리 등 10리가 영광군(당시 오로군)에 이관되었고, 11월에 부전군의 발전리(發電里), 영고리(永高里), 경흥리(慶興里), 서곡리(西谷里), 동곡리(東谷里), 상원천리(上元川里), 해방리(解放里), 반석리(盤石里), 축상리(杻上里), 신풍리(新豊里), 영웅리(英雄里), 흥경리(興慶里), 복거리(福巨里), 동흥리(東興里), 부연리(釜淵里), 기린리(麒麟里) 등 16리를 흡수하였으며, 발전리를 노동자구로 승격하고, 서곡리 일부를 상원천리에 편입하여 1읍 1구 28리를 개편 관할하였다.

1956년 9월에 신풍리를 하원천리(下元川里)로 개칭하였고, 1958년 6월에 도동리를 창서리에, 신풍리를 부흥리에, 동곡리 일부를 상원천리에, 부흥리 일부를 이전리에, 창서리 일부를 대동리에 각각 편입하였으며, 해방리를 동곡리와 반석리에 분리 편입하여 산하에 1읍 1구 25리를 두고 관할하였다.

1961년에 창서리 일부가 신흥읍에 편입되었고, 1967년 10월에 복거리가 영웅리와 흥경리에 분리 편입되었으며, 1971년 5월에 풍흥리를 노동자구로 승격하면서 신흥노동자구(新興勞動者區)로 개칭되었고, 1972년 11월에 또 부흥리를 노동자구로 승격하였다. 2001년 8월에 이전리가 함흥시에 편입되었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신흥읍), 3구(발전노동자구, 부흥노동자구, 신흥노동자구), 21리(경흥리, 기린리, 길봉리, 대동리, 동곡리, 동흥리, 반석리, 부연리, 상원천리, 서곡리, 서남리, 영고리, 영웅리, 우상리, 원동리, 중평리, 창서리, 축상리, 하원천리, 흥경리, 흥복리)로 되어 있다. 신흥군 소재지는 신흥읍이다.[5]

산업[편집]

신흥군의 공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전력공업이다. 신흥군에서는 부전강류역 변경에 의하여 많은 양의 전력을 생산하여 동해안 지구의 여러 공업부문의 공장과 업체들에 적지 않게 공급하고 있다. 이밖에 신흥군에서는 중소형규모의 발전소들을 건설하고 여기서 발전된 전기로 지방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신흥군에서는 함경남도 내의 지방수요 보장을 위한 임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갱목들이 생산되며 목재 일용품생산과 선박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재통나무도 반출된다. 주요 지방공업부문은 식료품, 일용품, 종이, 직물, 피복, 제약, 건재, 기계 공업이다.

식료품공업은 지방공업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며 여기서는 간장, 된장, 기름, 청량음료, 사탕, 과자 그리고 갖가지 고기, 채소, 과일가공품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최근년간에 채소와 고기 가공품생산이 신속히 증가하고 있다. 신흥식료공장에는 큰 규모의 냉동설비도 갖추어져 있다. 일용품공업은 군의 주요 지방공업부문의 하나이다. 주로 화학일용품, 수지일용품, 목재일용품, 문화일용품, 철제용품들이 생산되고 있는데, 그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화학일용품이다. 신흥군의 잉크, 비누, 치약, 향수와 갖가지 칠감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신흥군에서는 칫솔, 단추, 장통, 수지공예품 등도 많이 생산되며 수지로 만든 목란꽃, 철쭉꽃, 도라지꽃, 장미꽃 등은 신흥군의 명산물로 알려져 있다. 신흥군에서 만든 목란화분과 소나무화분은 북한의 여러 지방에 공급되고 있다. 이밖에 신흥군에서는 갖가지 가구류, 그릇류, 학습장, 가죽제품, 전기일용품들도 생산하며 또한 여러 가지 보약재, 의약품들도 산출되고 있다. 필기종이, 포장종이, 천, 옷, 벽돌, 기와, 기계 등도 부차제품으로 많이 산출된다. 신흥군의 농업은 곡물생산을 기본으로 하는 농산업과 축산업, 과수업, 양잠업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농경지는 군 면적의 약 10%를 차지하며 그가운데서 논이 22%, 밭이 59%, 과수밭이 10%, 뽕밭이 7%를 점한다. 논은 주로 성천강 연안의 서남, 경흥, 동흥, 영고, 길봉, 원동 일대에 비교적 많이 개간되었으며 밭은 영웅, 하원천, 부흥 등 산간지대에 분포하였다. 주요 곡물은 옥수수, 벼, 콩, 팥, 수수 등이 있다. 신흥군은 예로부터 담배를 많이 재배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는데 주로 영웅, 서곡, 중평, 서남, 원동, 동흥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채소업에서는 시금치, 무, 배추, 양배추, 고추, 오이, 마늘, 호박, 가지 등을 가꾼다.

과수업에서는 사과, 복숭아, 배, 살구, 자두 등 갖가지 과일이 많이 산출되며 과일생산량에서 사과가 약 70%로서 첫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신흥군은 도 내에서 손꼽히는 누에고치산지의 하나이며 양잠업에서 고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자연사료원천이 풍부한 이 지역에서는 축산업 또한 신속히 발전하여 돼지, 염소, 닭, 토끼 등 가축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신흥군에는 양어장이 건설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칠색송어를 많이 양식하고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신흥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우상역, 신흥역, 동흥역, 경흥역, 송하역, 송흥역 등이 설치되어 있다. 송흥~부전령 구간은 경사가 아주 급한 강삭철도로 되어 있다.

도로 교통은 함흥에서 신흥을 지나 부전령을 넘어 부전으로 통하는 2급도로와 신흥에서 불개미령을 넘어 양강도 김형권군으로 통하는 2급 도로를 비롯하여 여러 갈래의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신흥군 소재지인 신흥읍에서 함경남도 소재지 함흥시까지는 36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신흥군〉, 《위키백과》
  2. 신흥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신흥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신흥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신흥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신흥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신흥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신흥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