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장강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자강도 위치
장강군 위치

장강군(長江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중북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장강군의 면적은 727.11㎢이며 인구는 54,601(2008)명이다. 북서쪽으로 만포시, 북쪽으로 자성군, 동쪽으로 화평군·랑림군, 남쪽으로 강계시·성간군, 서쪽으로 시중군과 접한다. 북서~남동(명신리~낭림노동자구) 간의 길이는 41km이고, 남서~북동(성장리~원평리) 간의 길이는 16km이며, 도 전체면적의 4.3%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3구 10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장강읍이다.

원래 평안북도 강계군으로 1949년 북한평안북도 동부를 분리시켜 자강도를 신설하면서 도 인민위원회 소재지를 자강도 강계읍으로 정하고 강계읍을 강계시로 승격시켰다. 그리고 강계읍이 떨어져 나간 나머지 읍면 지역을 셋으로 쪼개 북부에는 만포군, 남부에는 전천군이라는 새로운 군을 신설하고 남은 지역에는 함경남도 장진군 동문면을 편입시킨 후 장강군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군 이름인 '장강'은 말그대로 '장'진과 '강'계에서 하나씩 따왔다. 그러나 1952년 군면리 대폐합으로 동문면 지역이 장진군 북부 지역과 함께 랑림군으로 다시 분군되면서, 이름과는 달리 장진군과는 전혀 관련없이 원래 강계군이었던 곳만 남게 됐다. 동시에 곡하면과 어뢰면이 만포군 시중면과 함께 시중군으로 개편되면서 현재의 장강군은 광복 당시 강계군 종남면, 종서면, 공북면 일원에 해당한다.[3]

자연환경[편집]

장강군은 낭림산줄기의 서쪽 경사면에 위치해 있으며 자강도에서 해발이 높은 지대에 속한다. 장강군 경계에는 백삼봉(白三峯, 1,548m), 사덕산(寺imagefont山, 1,362m), 무선동산(舞仙洞山, 1,252m), 매바위산(1,135m), 십이집산(十二集山, 1,046m) 등 해발 1,000m가 넘는 높은 산들이 솟아 있고 그 사이에 직고개(1,059m), 수절령(水節嶺, 1,005m), 배랑령(1,027m) 등 높은 영들이 있다. 남동부에는 사랑봉(舍廊峯, 1,787m), 황수령(黃水嶺, 1,475m) 등 높은 산과 영이 솟아 있다. 남부에는 낭림산줄기에서 갈라진 지맥이 성간군과의 경계에 뻗어 있는데, 여기에 향래봉(香來峯, 1,727m), 민봉(敏峯, 1,548m), 마유령(馬踰嶺, 1,150m) 등 높은 산과 높은 영이 솟아 있다.

이 지역에서 제일 높은 곳은 사랑봉(1,787m)이고 제일 낮은 곳은 북천 하류의 장평 일대(해발 300m)이다. 평균해발은 420m이다. 해발 400~1,000m 되는 산지가 장강군 면적의 3분의 2로서 대부분을 차지한다. 15~25°의 경사지가 장강군 전체면적의 50% 이상, 15° 이하와 25° 이상의 경사지면적이 각각 20%를 차지한다. 변두리의 산들은 심하게 침식되어 경사가 급한 벼랑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산릉선들은 좁고 날카롭다.

이 지역의 지형에서 특징적인 것은 현무암대지지형과 석회암지형이 발달되어 있는 것이다. 십이집산과 조이덕산 일대에는 황주계 초산통의 탄산염암석이 두껍게 깔려있으며 산마루의 평탄면에는 석회암지형이 이루어져 있다. 산지 경사면에는 높이 30~50m의 석회암벼랑도 있다. 사덕산 일대에는 옛 평탄면 위에 덮인 비교적 넓은 현무암대지가 있다.

이 지대는 김일성 주석의 1974년 11월 교시에 의하여 현재 많은 새 땅이 개간되어 감자, 무를 비롯한 여러 가지 작물이 재배되고 있다. 이밖에 금파산(金坡山) 일대에도 규모가 크지 않은 현무암대지가 있다. 이 지역에는 북천과 남천(南川), 종성강(從城江)에 의하여 이루어진 큰 골짜기를 비롯하여 많은 골짜기들이 뻗어 있다. 향하리, 장평리, 종포리에는 충적평야가 전개되어 있는데 특히 북천과 종성강이 합류되는 장평리 일대에는 자강도에서 큰 벌의 하나인 장평벌이 펼쳐져 있다.

하천 연안에는 각이한 높이를 가진 단구들이 발달되어 있다. 지질은 시생대로부터 신생대에 이르는 시기의 지층과 관입암이 분포되어 있다. 주요 구성 암석은 편마암, 규암, 사암, 역암, 분사암, 점판암, 석회암, 현무암, 화강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흑연, 납, 아연, 금, 철, 동, 안티몬, 석회석, 형석, 니켈 등의 지하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기온의 변화가 크고 지역적 차이가 심하다. 연평균기온은 5.5℃, 10℃이상 적산온도는 3,040℃, 연강수량은 930~970mm이다. 첫서리는 9월 말에, 마감서리는 5월 중순에 내린다. 연평균상대습도는 72%이며 연평균풍속은 1m/s 미만이다. 기본 수계는 남천과 북천이다. 남천, 북천, 종성강을 비롯하여 길이가 5km 이상 되는 하천이 12개 있다. 그 가운데서 길이가 20km 이상인 하천은 4개, 10~20km인 하천은 2개이다. 유역면적이 100km2 이상 되는 큰 하천은 3개, 50~100km2인 하천은 2개, 그밖의 하천은 50km2 아래의 작은 하천들이다.

이 지역의 하천은 길이가 짧고 물매가 급한 산악하천들이다. 하천들의 유량이 많은 달은 8월이고 제일 적은 달은 2월이다. 장강군은 식물분포구에서 온대북부구로부터 북부고원구로 넘어가는 지대에 자리잡고있다.

산림은 장강군 전체면적의 88%를 차지한다. 해발 600m 아래 지대에는 소나무숲이, 600~1,000m 지역에는 활엽수혼성림이, 그 이상 지대에서는 삼송류를 주로 하는 침엽수와 활엽수 혼성림이 분포되어 있다. 북부온대성식물상에서 기본을 이루는 수종은 소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박달나무, 찰피나무, 층층나무, 음나무, 들메나무 등이며 아한대성식물상에서는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종비나무, 사시나무, 사스래나무, 자작나무 등이다. 이밖에도 전나무, 잎갈나무, 주목, 눈측백나무, 가래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느릅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분포되어 있다.

산림 속에는 오미자, 승마, 삼지구엽초, 삽주, 만삼, 고사리, 고비, 참나물, 두릅, 더덕, 도토리, 돌배, 머루, 다래 등 산중부원이 풍부하다. 특히 두릅과 참나물, 느타리버섯 자원이 자강도에서 제일 많은 곳으로 알려졌다.

동물로는 노루, 족제비, 여우, 산달, 청서, 다람쥐, 딱따구리, 할미새, 딱새, 촉새, 부엉이, 동고비, 박새, 들꿩, 산비둘기 등이 서식하고 있다. 토양은 대부분 지역에서 갈색산림토양이 분포되어 있으며 해발 1,000m 이상 되는 지역에는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 덮여 있다. 북천, 남천, 종성강을 비롯한 하천연안에는 충적토와 논 토양이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장강군 지역은 본래 평안북도 강계군 지역이었다. 1949년 12월에 강계군의 공북면(公北面) · 종남면(從南面) · 종서면(從西面) · 곡하면(曲河面) · 어뢰면(漁雷面)과 함경남도 동문면(東門面)을 병합하여 자강도에 장강군을 신설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동문면을 낭림군(狼林郡)에, 곡하면 · 어뢰면을 시중군(時中郡)에, 공북면의 4개 리를 강계시(江界市)에, 공북면의 1개 리를 성간군(城干郡)에 각각 편입하고 나머지 종남면 · 종서면의 전체 리와 공북면의 5개 리로 장강군을 다시 구성하였는데, 이때 종남면의 한전리는 장강읍(長江邑)으로, 공북면의 향하리는 향하리(香河里)로, 공북면의 장항리는 장항리(獐項里)로, 공북면의 승방리는 승방리(勝芳里)로, 공북면의 문암리는 문암리(門岩里)로, 공북면의 아득리는 아득리(牙得里)로, 종남면의 세중리 · 장평리를 병합하여 장평리(長坪里)로, 종남면의 무덕리는 무덕리(武imagefont里)로, 종남면의 도가리 · 성장리를 병합하여 성장리(成章里)로, 종남면의 장항리 · 원평리를 병합하여 원평리(院坪里)로, 종서면의 종포리는 종포리(從浦里)로, 종서면의 황청리는 황청리(黃淸里)로, 종서면의 신성리는 신성리(新城里)로, 종서면의 명신리는 명신리(明新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3리를 관할하였다.

1952년 12월 문암리가 오일노동자구(五一勞動者區)로, 아득리가 낭림노동자구(狼林勞動者區)로 각각 개편되었고, 1967년에 승방리가 승방노동자구(勝芳勞動者區)로 승격하였으며, 장평리 일부 지역은 강계시 고영동 일부 지역과 병합하여 강계시 고계동으로 개편되었다. 1981년에 황청리가 혁신리(革新里)로 개칭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장강읍), 3구(낭림노동자구, 승방노동자구, 오일노동자구), 10리(명신리, 무덕리, 성장리, 신성리, 원평리, 장평리, 장항리, 종포리, 향하리, 혁신리)로 구성되어 있다. 장강군 소재지는 장강읍이다.[5]

산업[편집]

장강군은 광복 전에 궁벽한 산간화전 지역이었다. 당시 일제는 이 일대에서 흑연과 통나무를 수많이 약탈하여 갔다. 광복 후 장강군은 광업, 전력공업, 임업과 발전된 농촌 경제를 가진 지역으로 전변되었다. 공업에서 기본은 전력공업으로서 대규모 수력발전소와 함께 중소 규모의 수력발전소를 전군중적 운동으로 건설하여 나라의 동력기지를 강화하는데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여기에는 규모가 큰 강계청년발전소(江界靑年發電所)와 신성발전소, 종포발전소, 장강 3호군민 청년발전소를 비롯한 중소규모의 발전소들이 있다.

광업은 전력공업 다음 가는 자리를 차지하는데 주로 납, 아연, 형석, 흑연 등 광물이 산출된다. 이러한 광물은 나라 유색금속 부문을 비롯하여 경제 여러 부문에 이용되고 있다. 임업의 주요 산지는 장강임산사업소 산하 종남임산작업소와 황포임산작업소이다. 여기에는 통나무생산기지들과 그 가공기지들이 배치되어 있다.

지방공업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방직 및 피복 공업으로서 주로 천과 옷들을 생산하고 있다. 일용품 공업에서는 목재 일용품과 철제일용품 등이, 식료품공업에서는 장류와 기름 · 청량음료 · 채소와 고기가공품이 생산된다. 특히 청량음료인 사이다는 장강군의 특산물로 유명하다. 장강군에는 자강도적인 의의를 가지는 주철관공장을 비롯하여 금속 및 기계공장들이 있다. 이밖에 시멘트, 화학제품, 약품 등을 생산하는 공장들이 있다.

농경지는 장강군 전체 면적의 75% 되는데 그 가운데서 이 13%, 밭이 71%, 과일밭이 3%, 뽕밭이 12%를 차지한다. 곡물은 옥수수, 벼, 보리, 콩, 수수, 녹두, 팥 등이 재배된다. 이밖에 동부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채소업에서는 채소전문작업반을 갖춰놓고 무, 배추, 고추 등 갖가지 채소류를 생산하여 장강군 내의 주민들은 물론 강계시 안의 주민들에게도 공급하고 있다.

공예작물로는 들깨와 약초류 등을 재배하고 있으며 축산업에서는 소, 돼지, 양, 닭, 오리, 토끼, 염소 등 가축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산경사지와 빈땅을 이용한 양잠업도 발달되어 있다. 과수업에서는 강계시 다음 가는 포도산지로 유명하다. 이밖에 피나무, 싸리나무를 이용하여 양봉업도 행해지고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남부로 강계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향하역(香河驛), 승방하리역(勝芳-驛), 승방역(勝芳驛), 공북역(公北驛), 오일역(五一驛), 평리역(坪里驛), 황포역(黃浦驛), 십리평역(十里坪驛) 등 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강계~혜산, 강계~낭림 간 도로와 장강~만포, 강계~대흥, 장강~원평 간 도로가 달리고 있는데, 자강도 소재지인 강계시까지는 12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장강군〉, 《위키백과》
  2. 장강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장강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장강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장강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장강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장강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장강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