릉라도(綾羅島)는 평양직할시 중구역 경상동 대동강(大同江)에 있는 섬이다.
- 릉라도는 면적 약 1.3㎢, 둘레 6km, 길이 2.7km인 대동강의 충적섬이다. 이름은 대동강 물결 위에 능수버들이 비단을 풀어놓은 듯 아름답다는 데서 유래한다. 경치가 수려하여 예로부터 기성팔경(箕城八景)의 하나로 꼽힌 평양시민의 위락지이다. 또 능라도에서 바라보는 금수산(錦繡山) 절벽 위의 부벽루(浮碧樓)와 영명사(永明寺)·을밀대 등의 경치가 빼어나다. 이곳에는 북한 천연기념물 제1호로 지정된 능라도 산벚나무와 젓나무가 있다. 남쪽에는 반월도가 있어 능라도와 연결하여 하나의 유원지로 꾸며져 있다. 남쪽에는 금릉동굴을 통하여 안상택거리와 문수지구를 이어주는 능라다리가 있다. 북쪽에는 동평양의 문수지수와 금릉2동굴을 지나 연못지구를 이어주는 청류다리가 있다.[1]
- 릉라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중구역에 있고 대동강이 굽어 흐르는 장소에 형성된 하중도의 하나이다. 면적은 1.3km2이고 둘레는 6km, 길이는 2.7km, 너비는 0.5km이다. 릉라도5월1일경기장이나 평양 시내에서 유일한 수영 시설인 반월도 수영장과 릉라인민유원지도 개설되어 있다. 능라도를 관통하는 다리로는 1988년 개통된 능라교와 1995년 개통된 청류교 두 개가 있으며, 강 서쪽의 평양 시내와는 터널을 통해 연결된다. 8.15 해방 이전 능라도에는 아래 사진에 나온대로 1910년경 건설된 수도정수지(水道淨水池)가 있었고, 평양 시내로 급수하는 대형수도관이 부설된 다리 벽라교(碧羅橋)가 있었다. 이 다리는 통칭 수도국 다리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차량 통행은 불가능했다. 이 다리는 해방 때까지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2]
- 릉라도는 평양시 중구역 경상동 일대에 위치한 대동강의 하중도로 면적은 1.3km2 정도 된다. 둘레 6km, 길이 2.7km이며 폭이 제일 넓은 곳의 너비는 약 0.5km 정도이다. 대동강이 평양시내에서 꺾이는 지역에 위치하여 남북방향으로 길죽한 모양이 특징이다. 능라도라는 이름의 유래는 예로부터 대동강 물결 위에 휘늘어진 구슬 같은 맑은 물 위에 비단필을 풀어놓은 듯 그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불려 오는 이름이다. 고려시대 말기까지는 별 볼일 없는 섬이었다. 하중도의 특성상 대동강이 범람하면 물에 잠기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모흥갑을 비롯한 여러 판소리 명창들의 공연장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버드나무가 많이 우거져 숲을 이룰 정도였다고 하며, 아예 이 섬을 소재로 한 신소설도 출판된 적이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가 세운 수원지 정수장과 '벽라교'라는 다리가 있었다. 그러다가 현재 능라도는 북한의 체제선전을 위한 대규모 토목공사로 유원지가 되었다. 섬의 변두리는 화강암으로 둑을 쌓아 강물에 침식되지 않도록 해놓았다. 섬의 좌측에는 뱃놀이장과 수영장이 갖춰져 있으며 섬의 중심에 평양 남북을 잇는 능라교가 있고 그 도로 좌현에는 무려 11만 명이 수용 가능한 북한의 80년대 3대 실정의 상징물인 릉라도5월1일경기장이 있다. 그 외에도 섬중앙에는 테니스장, 롤러스케이트장, 그네터와 씨름터, 어린이들을 위한 비행탑과 같은 여러 가지 야외 체육문화 오락시설들이 잘 갖춰져 있다. 그 외에도 식당, 상점, 청량음료점 등 편의봉사망이 골고루 배치되어 있다. 물론 이것들은 모두 북한의 체제과시를 위한 것이다. 북한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능라도 산벚나무와 전나무가 있다.[3]
섬의 분류[편집]
- 섬은 바다로 완전히 둘러싸인 땅이다. 섬은 대륙보다 작고 암초보다는 큰 것을 말한다. 특히 사람이 살 수 없거나 살지 않는 섬은 무인도라고 한다. 적당히 큰 섬은 도(島, island)라 하고 작은 섬은 서(嶼, islet)라 하여 이 둘을 통칭 도서(島嶼)라 한다.
- 섬은 지각운동에 의하여 해저의 일부가 융기하거나, 해안산맥의 일부가 침수되어 높은 땅의 일부가 해면 위에 남아 있거나, 또는 육지의 일부가 침강하여 그곳에 해수가 들어와서 형성된다. 해저화산이 분출하여 만들어진 화산도(火山島)나 해안 지역의 일부가 파도와 빙하의 침식을 받아 육지와 분리되어 만들어진 섬도 있다.
- 바다에 있는 섬은 육도(陸島)와 양도(洋島)로 나누어진다. 육도는 지질적으로 대륙과 같은 구성 물질로 되었으며, 육지의 일부가 대륙이나 또는 대륙에 가까운 큰 섬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섬이다. 양도는 육지와 관계없이 생성된 것으로서 화산섬과 산호섬이 여기에 속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섬은 덴마크의 속령인 그린란드이고, 아시아에서 가장 큰 섬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가 각각 분할 통치하고 있는 섬인 보르네오섬이며, 중국에서는 하이난섬이 가장 크다.
릉라도 산벚나무와 젓나무[편집]
- 평양직할시 중구역 경상동에 있는 나무. 1980년 1월 북한 천연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 대동강 중앙의 능라도에 있다. 산벚나무들의 높이는 평균 7.9m, 밑둥 둘레는 85cm, 수관폭은 7m이며, 젓나무들의 평균 높이는 7.9cm, 밑둥 둘레는 85cm, 가슴높이 둘레는 60cm, 수관폭은 5.3m이다.
대동강(大同江)[편집]
- 평안남도 대흥군과 함경남도 장진군 사이 한태령에서 발원하여, 남포시 와우도구역 영남리·송관리 경계에서 황해로 흐르는 강이다. 길이 450.3㎞이며, 유역면적 20,247㎢로서 한국에서 다섯번째로 큰 강이다. 낭림산맥(랑림산맥)의 한태령(1,356m)에서 발원하여 평안남도 평양특별시·남포직할시·황해북도·황해남도 등을 흐르며, 평안남도 내륙수로의 대동맥을 이룬다.
- 620개의 크고 작은 지류가 있다. 지류 중에서 길이가 20㎞ 이상인 것은 68개, 50㎞ 이상인 것은 11개, 100㎞ 이상인 것은 5개이다. 남강·재령강·비류강·황주천·곤양강·장선강·마탄강 등 큰 지류는 왼쪽 유역에서, 순화강·보통강·금천강·성룡강 등 작은 지류들은 오른쪽 유역에서 흐른다. 청천강·예성강(례성강)·성천강·금진강·금야강·임진강(림진강) 등과 접하며, 분수령은 북동쪽·동쪽에서 높고 남서쪽·서쪽에서 낮다.
- 강물은 공업용수·생활용수·농업용수·관개용수, 수력발전, 수상운수에 이용된다. 평양∼남포, 남포∼신환포, 평양∼길성포, 평양∼송림, 평양∼만경대, 미림∼봉화, 덕천∼영원 등의 수로가 있다. 그리고 남포와 봉화갑문 간에는 외암포, 동전, 송림, 오화포, 요포, 대안, 보산, 강선, 만경대, 평천 등의 하항 또는 포구들이 있다. 또한 유역에는 고조선·낙랑군·고구려의 연고지로서 고구려 유적이 많다.
평양직할시[편집]
- 1946년 9월에 평안남도에서 분리되어 직할시가 된 평양은 북한의 수도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로 잘 알려져 있다. 면적은 약 1,100㎢이다. 고구려의 수도이기도 했으며, 단군이 처음 나라를 세운 왕검성 역시 평양으로 유서 깊은 도시이다.
- 시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흐르는 대동강을 비롯한 보통강, 합장강, 순화강 등 여러 강과 시내 중심부에 있기 때문에 북한에서 ‘수도의 정원’이라고 부르는 모란봉을 비롯한 대성산, 룡악산, 릉라도 등 명승지가 많이 있다.
- 오랫동안 고구려의 수도였기 때문에 평양성, 안학궁, 대성산성, 동명왕릉 등 고구려 시대 유적들이 특히 많이 있다. 그 밖에도 고구려 때 처음 세웠던 대동문, 보통문, 칠성문과 을밀대, 최승대, 련광정 등 옛 성문과 정각들이 있다. 또 만경대 학생소년궁전, 만수대 예술극장, 주체사상탑 등도 평양의 명물이다.
릉라인민유원지(綾羅人民遊園地)[편집]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직할시 릉라도에 위치한 놀이공원이다. 2012년 7월 25일 준공되었다.
릉라교[편집]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에 위치한 다리로 길이는 1,070m이다. 대동강 위에 세워진 평양직할시의 6개의 다리 가운데 하나이며 1988년에 준공되었다. 다리 남쪽에 있는 옥류교와 다리 북쪽에 있는 청류교 사이에 위치한다. 대동강 우안에 있는 모란봉구역과 좌안에 있는 대동강구역을 연결하며 다리 중간에 있는 릉라도를 경유한다.
부벽루(浮碧樓)[편집]
- 평양직할시 중구역 금수산 모란봉 동쪽 깎아지른 청류벽 위에 서 있는 정자이다. 본래 393년에 창건한 영명사의 부속건물로서 그때는 이름도 영명루라고 불렀는데, 그 후 12세기에 이르러 '대동강의 맑고 푸른 물 위에 떠 있는 듯한 정자'라는 뜻에서 부벽루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다. 청류벽 밑을 흐르는 맑고 푸른 대동강물과 녹음이 비단결처럼 출렁이는 릉라도가 신비하리만치 아름답다.
릉라도 5월1일 경기장(綾羅島5月1日競技場)[편집]
- 평양직할시 릉라도에 있는 경기장으로 행정 구역상으로는 평양직할시 중구역에 속해 있으며, 1989년 8월에 개최된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을 위해 1989년 5월 1일 완공되었다. 2002년과 2005년에 아리랑 축제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이 경기장은 15만 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 경주장을 제외하면 세계에서 가장 큰 다목적 경기장이다.
- 준공 이틀 전인 1989년 4월 29일에는 중앙인민위원회를 통해 인민대경기장으로 명명되기도 했으며, 5월 1일 준공식 때 지금의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5월 1일 경기장이라는 이름은 준공식이 국제 노동절, 즉, 5월 1일에 진행된 점에서 비롯되었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섬〉, 《위키백과》
- 〈섬〉, 《나무위키》
- 〈릉라도〉, 《위키백과》
- 〈릉라교〉, 《위키백과》
- 〈릉라도〉, 《나무위키》
- 〈능라도(綾羅島)〉, 《두산백과》
- 〈릉라인민유원지〉, 《위키백과》
- 〈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영희 기자, 〈우리나라 섬 3천348개 '세계4위'…매주 1곳씩 가도 64년〉, 《연합뉴스》, 2018-08-30
- 이승현 기자, 〈대동강 섬 이름과 유래...대동강에 풀어놓은 비단필 '릉라도'〉, 《통일뉴스》, 2015-02-04
같이 보기[편집]
 이 릉라도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일본 도시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태국 행정구역, 베트남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유럽 도시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한국의 산
|
가야산 • 가학산 • 개마고원 • 계룡산 • 계방산 • 계양산 • 관모봉 • 구대봉 • 구름산 • 구월산 • 국사봉 • 국사봉 (영암) • 굴봉산 (춘천) • 궁산 (대구) • 금강산 • 금오산 • 남포태산 • 남한산 • 낭림산 • 내장산 • 대둔산 • 대청봉 • 덕유산 • 도덕산 • 두류산 • 두타산 • 마니산 • 만월산 • 망우산 • 매봉산 (태백시) • 멸악산 • 묘향산 • 무등산 • 문수봉 • 문학산 • 반야봉 • 백두산 • 백록봉 • 백운봉 • 백운산 (광양) • 북대봉 • 북포태산 • 비로봉 (금강산) • 비로봉 (치악산) • 설악산 • 성산일출봉 • 성인봉 • 소백산 • 속리산 • 송악산 (개성) • 송악산 (제주) • 수도산 (김천) • 오대산 • 와룡산 (대구) • 월악산 • 일월산 • 장군봉 • 정일봉 • 조령산 • 주왕산 • 주화산 • 지리산 • 천문봉 • 천왕봉 •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 태백산 • 토함산 • 팔공산 • 팔달산 • 한라산 • 향로봉 • 화개산 • 화장산 (울산)
|
|
서울의 산
|
개운산 • 개화산 • 관악산 • 구룡산 • 국사봉 (서울) • 굴봉산 (서울) • 궁산 (서울) • 낙산 • 남산 • 노고산 • 대모산 • 도봉산 • 매봉산 (강남구) • 매봉산 (성동구) • 백련산 • 백운산 (서울) • 봉화산 • 북악산 • 북한산 • 불암산 • 성산 (서울) • 수도산 (서울) • 수락산 • 연희산 • 오패산 • 와룡산 (서울) • 와우산 • 용마산 • 용왕산 • 아차산 • 우면산 • 우장산 • 응봉산 • 인릉산 • 인왕산 • 일자산 • 청계산 • 초안산 • 화장산 (서울)
|
|
한국의 산맥
|
강남산맥 • 광주산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북정맥 • 낙남정맥 • 낙동정맥 • 남원산맥 • 낭림산맥 • 노령산맥 • 마식령산맥 • 마천령산맥 • 만풍산맥 • 멸악산맥 • 묘향산맥 • 무등산맥 • 백두대간 • 백두대간 생태축 • 부전령산맥 • 북수백산 • 소백산맥 • 언진산맥 • 예봉산맥 • 임진북 예성남 정맥 • 장백정간 • 적유령산맥 • 차령산맥 • 철령산맥 • 청남정맥 • 청북정맥 • 추가령구조곡 • 태백산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정맥 • 한북정맥 • 함경산맥 • 해서 임진북 예성남 정맥 • 해서정맥 • 호남정맥
|
|
한국의 고개
|
남태령 • 노령 • 대관령 • 마등령 • 마식령 • 마천령 • 문경새재 • 미시령 • 미아리고개 • 부전령 • 삼수령 • 육십령 • 이화령 • 적유령 • 조령(새재) • 죽령 • 진부령 • 차령 • 철령 • 추가령 • 추풍령 • 팔량치 • 한계령
|
|
한국의 평야
|
김제평야 • 김포평야 • 김해평야 • 나주평야 • 논산평야 • 만경평야 • 박천평야 • 부평평야 • 수성평야 • 안성평야 • 안주평야 • 여주평야 • 연백평야 • 영흥평야 • 예당평야 • 용천평야 • 이천평야 • 장남평야 • 재령평야 • 진영평야 • 철원평야 • 파주평야 • 평양평야 • 평택평야 • 함흥평야 • 호남평야
|
|
한국의 강
|
가야하 • 경안천 • 경인아라뱃길 • 고막원천 • (굴포운하) • 금강 • 금야강(룡흥강) • 금호강 • 낙동강 • 낙동강 삼각주 • 남강 • 남강 (평안남도) • 남한강 • 대동강 • 대령강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두만강 삼각주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백마강 • 보성강 • 보통강 • 부르하통하 • 부전강 • 북한강 • 비류강 • 삽교천 • 서낙동강 • 서두수 • 섬강 • 섬진강 • 소양강 • 수영강 • 아이허 • 안면운하(판목운하) • 안성천 • 압록강 • 압록강 삼각주 • 영산강 • 예성강(례성강) • 오십천 • 옥동천 • 왕숙천 • 이사천 • 임진강 • 자성강 • 장자강 • 장진강 • 재령강 • 주천강 • 진위천 • 창릉천 • 천내강 • 청천강 • 초강 • 충만강 • 탐진강 • 태화강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함평천 • 해란강 • 허천강 • 형산강 • 홍단수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주강 • 훈강 • 훈춘강
|
|
서울의 강
|
고덕천 • 난지천 • 당현천 • 도림천 • 도봉천 • 목감천 • 묵동천 • 반포천 • 방학천 • 봉천천 • 불광천 • 성내천 • 성북천 • 세곡천 • 안양천 • 양재천 • 여의도 샛강 • 여의천 • 우이천 • 정릉천 • 중랑천 • 청계천 • 탄천 • 홍제천
|
|
한국의 호수
|
경포호 • 고삼호 • 광포 • 구암저수지 • 구암호 • 금성호 • 나주호 • 대청호 • 동번포 • 동복호 • 동정호 (강원도) • 동정호 (경상남도) • 랑림호 • 만포 • 백록담 • 벽골제 • 부전호 • 삼일포 • 삼지연 • 상사호 • 새만금호 • 서번포 • 서흥호 • 소양호 • 수풍호 • 시중호(강동호) • 시화호 • 안동호 • 연탄호 • 영랑호 • 예당저수지 • 옥정호 • 용담호 • 우포 • 운봉호 • 은파호 • 의림지 • 의암호 • 이동저수지 • 일감호 • 임남저수지 • 임하호 • 장수호 • 장연호 • 장진호 • 주암호 • 진양호 • 창녕우포늪 • 천아포 • 천지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탑정호 • 태천저수지 • 파로호 • 팔당호 • 평택호(아산호) • 하포 • 합천호 • 현담지(흑지) • 화진포 • 횡성호
|
|
한국의 호수공원
|
광교호수공원 • 기흥호수공원 • 동탄호수공원 • 미사호수공원 • 석촌호수공원 • 세종호수공원 • 송도센트럴파크(송도호수공원) • 은계호수공원 • 일산호수공원 • 청라호수공원
|
|
한국의 계곡
|
가평 명지계곡 • 밀양 쇠점골계곡 • 방화동 가족휴가촌 • 산청 대원사계곡 • 설악산 구곡담계곡 • 설악산 천불동계곡 • 순창 송정계곡 • 양평 중원계곡 • 지리산 칠선계곡 • 평창 흥정계곡 • 한라산 탐라계곡
|
|
한국의 폭포
|
관음폭포 • 구룡폭포 • 대승폭포 • 두문폭포 • 박연폭포 • 불일폭포 • 비룡폭포 • 삼부연폭포 • 소승폭포 • 소정방폭포 • 수옥폭포 • 엉또폭포 • 연산폭포 • 용대리폭포 • 용소폭포 (가평) • 용소폭포 (인제) • 위봉폭포 • 이끼폭포 (삼척) • 재인폭포 • 정방폭포 • 직소폭포 • 직탕폭포 • 천제연폭포 • 천지연폭포 • 토왕성폭포 • 파래소폭포
|
|
한국의 댐
|
금성댐 • 부전댐 • 수풍댐 • 운봉댐 • 은파댐 • 임남댐(금강산댐) • 장진댐 • 태천댐
|
|
한국의 바다
|
가로림만 • 가막만 • 강령만 • 강진만 • 강화만 • 강화해협 • 거제만 • 견내량 • 경기만 • 경기해 • 경포만 • 광량만 • 광양만 • 남양만 • 남해 • 남해안 • 노량해협 • 다도해 • 대동만 • 대한해협 • 동조선만(동한만) • 동해 • 동해안 • 동해퇴 • 득량만 • 마산만 • 명량해협(울돌목) • 보성만 • 부산만 • 부산해협 • 사천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서해안 • 송전만 • 수영만 • 순천만 • 아산만 • 안용복해산 • 여수만 • 여수해만 • 여자만 • 영일만 • 옹진만 • 우산해곡 • 울릉대지 • 울릉분지 • 울산만 • 원산만 • 장수만 • 제7광구 • 제8광구 • 제주해협 • 진해만 • 천수만 • 함흥만 • 해주만 • 황해(서해)
|
|
한국의 섬
|
가거도 • 가덕도 • 가도 • 가파도 • 강화도 • 거금도 • 거문도 • 거북섬 (부산) • 거북섬 (시흥) • 거제도 • 고군산군도 • 교동도 • 구리도 (신안군) • 구리도 (평안북도) • 금란도 • 금오도 • 나로도 • 남해도 • 내나로도 • 노들섬 • 녹둔도 • 다이아몬드제도 • 대부도 • 대연평도 • 대저도 • 대청도 • 덕적도 • 독도 • 돌산도 • 두루섬 • 류초도 • 릉라도 • 마라도 • 마양도 • 매직아일랜드 • 미륵도 • 반달섬 • 밤섬 • 백령도 • 보길도 • 비금도 • 비단섬 • 사량도 • 서래섬 • 서부두섬 • 서해5도 • 석도 • 석모도 • 선유도 (군산) • 선유도 (서울) • 세빛섬 • 소록도 • 소연평도 • 소청도 • 신미도 • 신안가거초(가거초) • 안면도 • 양각도 • 여서도 • 여의도 • 연평도 • 영도 • 영종도 • 영흥도 • 오리암초 • 옹진소청초(소청초) • 완도 • 울진왕돌초(왕돌초) • 외나로도 • 욕지도 • 우도 (서해5도) • 우도 (제주도) • 울릉도 • 위도 • 위화도 • 을숙도 • 이어도 • 제부도 • 제주도 • 조도 (진도) • 조도 (부산) • 진도 • 창선도 • 청산도 • 초도 (남포시) • 초도 (여수시) • 추자군도 • 추자도 • 파랑초 • 한산도 • 호랑이암초 • 홍도 • 황금평 • 흑산도
|
|
한국의 반도
|
갈마반도 • 강령반도 • 고성반도 • 고흥반도 • 김포반도 • 룡연반도 • 마산반도 • 무안반도 • 변산반도 • 부안반도 • 산이반도 • 송전반도 • 여수반도 • 옹진반도 • 읍저반도 • 장흥반도 • 태안반도 • 한반도 • 해남반도 • 호도반도 • 호미반도(장기반도) • 화원반도
|
|
한국의 곶
|
간절곶 • 무수단 • 섭지코지 • 장산곶 • 호미곶(장기곶)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