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운전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평안북도 위치
운전군 위치

운전군(雲田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운전군의 면적은 360㎢이며 인구는 101,130명(2008)이다. 동쪽으로 박천군, 서쪽으로 정주시, 북쪽으로 태천군에 접해있는 군이다. 남쪽으로 황해와 접해있다. 북동(북일리)~남서(관해리) 간의 길이는 32km이고, 서북(청정리)~동남(송학리) 간의 길이는 13km이며, 도 전체면적의 2.86%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25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운전읍이다.

광복 이전에는 평안북도 정주군, 박천군의 일부였다. 운전(雲田)이라는 이름은 당시 운전읍이 되었던 정주군 대전면 운전리에서 따온 것이며 지역에 운(雲) 자가 붙은 동네가 다섯 군데나 되었고 이 지역의 갯벌을 운전벌이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가산군이 아닌 운전군으로 이름을 지은 이유는 당시 운전리는 가산군과 관련은 없다.[3]

자연환경[편집]

운전군은 구릉 지대, 낮은 산지로 되어 있다. 남부에는 그 면적이 180㎢에 달하는 운전벌이 전개되어 있다. 지질은 여러 지질시대의 지층과 암석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금, 운모, 석탄, 유화철, 이탄, 흑연 등 지하자원이 묻혀 있다. 운모광상은 북일리와 삼광리 일대에, 이탄은 바닷가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운전군은 평안북도의 남쪽 해안지역에 위치해 있어 해양성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1월 평균기온 -8.8℃, 8월 평균기온 23.9℃이고 최고극기온 34.3℃(1982년 7월 14일), 최저극기온 -30.7℃(1981년 1월 5일)이였다. 10℃이상 적산온도는 3,465℃, 연평균일조율은 56%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200mm인데, 강수량이 많았던 1967년에는 1,666.9mm, 적었던 1952년에는 598.2mm였다. 첫서리는 10월 중순경에, 마감서리는 4월 중순경에 내린다. 땅이 어는 깊이는 65cm이며 가장 깊이 언 1975년에는 78cm였다. 겨울에는 북풍이, 여름에는 남서풍이 우세하며 연평균풍속은 2.6m/s이다.

하천은 남부 변두리로 청천강이, 남동부 변두리로 대령강이 유입되어 있다. 이 밖에 장수탄강, 대성천, 황마강을 비롯하여 길이 5km 이상의 하천이 10개 있다. 운전군에서는 운전 저수지, 대성저수지를 비롯하여 이미 있던 저수지들을 정비 보강하여 저수능력을 높이는 한편 황마강을 비롯한 하천들과 골짜기들을 막아 평지원저수지, 신오저수지, 운흥저수지 등 관개용저수지들을 건설하고 농경지를 관개하는 동시에 큰물피해도 막아내고 있다.

산림은 운전군 전체면적의 38% 되는데, 소나무가 기본 수종을 이루고 있다. 산림자원이 풍부한 지역은 삼광리, 용봉리, 청정리, 가산리, 북일리 등 지역인데, 이곳에 운전군 전체 산림면적의 65%가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주로 갈색산림토양, 충적토, 진펄토양, 논토양, 간석지토양으로 이루어졌다. 논토양의 대부분은 저지성논토양으로서 그 대부분이 해발 160m 이하에 분포되어 있으며 흙층이 비교적 두텁다.[4]

역사[편집]

운전군 지역은 본래 평안북도 정주군(定州郡)과 박천군(博川郡)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정주군의 마산면(馬山面) · 대전면(大田面) · 고덕면(古德面) · 갈산면(葛山面), 박천군 용계면(龍溪面) · 서면(西面)의 전체 리와 가산면(嘉山面)의 8개 리 · 청룡면(靑龍面)의 4개 리를 병합하여 평안북도에 운전군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정주군 대전면의 운북리 · 운흥리 · 운암리 · 운전리를 병합하여 운전읍(雲田邑)으로, 정주군 갈산면의 청룡리 · 동서리 · 사룡리 · 토성리 · 오산리 · 남북리를 병합하여 오산리(五山里)로, 정주군 갈산면의 대송리 · 운흥리 · 서산리를 병합하여 흑록리(黑麓里)로, 정주군 갈산면의 동북리 · 북오리 · 중앙리 · 송산리 · 송천리를 병합하여 광동리(光東里)로, 정주군 갈산면의 사산리 · 해암리 · 운정리 · 춘천리 · 일해리를 병합하여 일해리(逸海里)로, 정주군 갈산면의 동부리 · 서부리를 병합하여 애도리(艾島里)로, 정주군 갈산면의 오정리 · 대전리 · 당촌리 · 마관리를 병합하여 세마리(細馬里)로, 정주군 고덕면의 갈현리 · 구린리 · 신시리 · 월훈리를 병합하여 월현리(月峴里)로, 정주군 고덕면의 과화리 · 덕원리 · 송당리를 병합하여 덕원리(德元里)로, 정주군 고덕면의 일향리 · 일신리 · 부산리 · 신촌리 · 갈산면 황성리를 병합하여 일신리(日新里)로, 정주군 고덕면의 관해리 · 산서리 · 운곡리 · 운평리를 병합하여 관해리(觀海里)로, 정주군 고덕면의 덕암리 · 관룡리를 병합하여 덕암리(德巖里)로, 정주군 대전면의 현산리 · 삼오리 · 미륵리 · 대흥리를 병합하여 대오리(大鰲里)로, 정주군 대전면의 하일리 · 강서리 · 운학리 · 운산리 · 소교리를 병합하여 운하리(雲河里)로, 정주군 마산면의 원서리 · 용진리 · 냉정리를 병합하여 원서리(院西里)로, 정주군 마산면의 청정리 · 두무리 · 청남리 · 청산리 · 춘산리를 병합하여 청정리(淸亭里)로, 정주군 마산면의 봉화리 · 동창리를 병합하여 동창리(東倉里)로, 정주군 마산면의 경안리 · 신오리를 병합하여 신오리(新五里)로, 정주군 마산면의 대성리 · 수문리 · 옥야리 · 원동리를 병합하여 옥야리(玉野里)로, 박천군 서면의 운포리 · 하양리 · 곡하리 · 용진리를 병합하여 학산리(鶴山里)로, 박천군 서면의 송담리 · 송죽리 · 근장리 · 성산리를 병합하여 송학리(松鶴里)로, 박천군 서면의 금계리 · 와곡리 · 학현리를 병합하여 금계리(金鷄里)로, 박천군 용계면의 은봉리 · 원하리를 병합하여 은봉리(隱鳳里)로, 박천군 용계면의 인봉리 · 은창리 · 오룡리를 병합하여 오룡리(五龍里)로, 박천군 용계면의 삼광리 · 삼원리 · 고창리 · 상감리를 병합하여 삼광리(三光里)로, 박천군 가산면의 지장리 · 동문리 · 남신리 · 봉소리를 병합하여 가산리(嘉山里)로, 박천군 가산면의 봉서리 · 신사리 · 평지리 · 용탄리를 병합하여 용봉리(龍鳳里)로, 박천군 청룡면의 광성리 · 노전리 · 위령리 · 운흥리를 병합하여 북일리(北一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7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애도리가 애도노동자구(艾島勞動者區)로 승격되었고, 북일리가 박천군에 편입되었다. 1954년에 은봉리가 분리되어 청정리와 오룡리에, 오룡리 일부가 삼광리에, 송학리 일부와 금계리 일부가 학산리에, 학산리 일부가 송학리에, 일신리 일부가 오산리에 각각 편입되고 오산리 · 흑록리 · 광동리 · 일해리 · 세마리 · 오룡리 · 애도노동자구가 정주군에 이관되었다.

그리고 박천군의 보석리, 구련리, 영미리, 서삼리, 봉덕리, 동삼리, 삼봉리, 청룡리, 대연리, 삼화리, 북일리를 흡수하면서 영미리와 보석리 일부를 병합하여 운전읍으로 개편하고 원 운전읍을 운전리(雲田里)로 강등하였다. 1958년에 일신리가 정주군에, 삼화리, 삼봉리, 청룡리가 박천군에 각각 이관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운전읍), 25리(가산리, 관해리, 구련리, 금계리, 대연리, 대오리, 덕암리, 덕원리, 동삼리, 동창리, 용봉리, 보석리, 봉덕리, 북일리, 삼광리, 서삼리, 송학리, 신오리, 옥야리, 운전리, 운하리, 원서리, 월현리, 청정리, 학산리)로 구성되어 있다. 운전군 소재지는 운전읍이다.[5]

산업[편집]

운전군은 농업 생산에 유리한 운전벌을 끼고 있었으나 광복 전 일제의 식민지통치로 하여 낙후한 농업지대로 되어 있었으며 조선시대부터 이름났던 놋그릇 제조도 파산되었다. 산업은 북일리에 운모광산이 있었을 뿐이었다. 광복 후 이 지역은 현대적인 공업, 발전된 농업과 수산업을 가진 지역으로 전변되었다. 공업에서 기본은 금속건재공업과 채굴업이다. 채굴업에서는 운모생산이 큰 의의를 가진다. 이밖에 다양한 식료품, 솜, 천, 종이, 도자기, 모피가공품, 부엌세간, 가구, 의약품, 농기구, 가성소다 등 제품들이 생산된다.

운전군은 평안북도의 수산기지의 하나로서 여기에는 운전수산사업소, 운전세소어업사업소, 운하수산협동조합과 운전담수양어사업소 등 수산업체들이 있다. 주요 수산물은 까나리, 멸치, 전어를 비롯한 물고기들과 조개류이다. 생산된 수산물은 생선과 절임제품, 젓갈품 등으로 가공되어 주민들에게 공급된다. 운전군은 예로부터 논 벼 고장으로 알려진 지역이다. 농경지에서 논이 62%, 밭이 30%, 과일밭이 6%를 차지한다. 논은 주로 남부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관해리는 농경지면적의 95%가, 덕원리 · 학산리 · 월현리는 농경지면적의 80%가 논으로 되어 있다. 곡물은 주로 벼와 옥수수를 재배하고 있는데, 벼는 주로 남부지역에서, 옥수수는 북부와 서부지역에서 많이 산출된다.

채소업에서는 배추, 무, 시금치, 가지, 호박, 오이 등을 재배하고 있다. 공예작물은 주로 담배를 재배하고 있는데, 그 주요 재배지는 원서, 옥야, 동창, 청정, 신오 등 지역이다. 축산업에서는 주로 소, 토끼, 염소, 돼지, 닭, 오리 등을 사육한다.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자두 등이 큰 비중을 점하며 이밖에 살구, 단버찌도 생산된다. 과일생산량의 50%가 보석, 운하, 송학 등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누에치기도 성행하는데, 전문 고치농장이 설치되어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남부로 20여 km 구간에 평의선이 통과하며 여기에 운전역과 운암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평의선과 병행하여 평양~신의주 간 1급 도로와 정주~운전, 운전~태천 간 도로가 달리고 있으며 태천과 정주까지는 각각 30km, 박천까지는 8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운전군〉, 《위키백과》
  2. 운전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운전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운전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운전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운전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운전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운전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