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블로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번째 줄: 1번째 줄:
'''블로터'''(Bloter)는 블로터들이 만드는 디지털 전문 미디어이다. 주로 블로터는 전문적인 주제에 대한 글을 올리면서 자신의 블로그를 1인 미디어의 지위로 격상시킨 사람을 뜻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57338&cid=43667&categoryId=43667 블로터]〉, 《네이버 지식백과》</ref>
+
'''블로터'''(Bloter)는 블로터들이 만드는 디지털 전문 미디어이다. 주로 블로터는 전문적인 주제에 대한 글을 올리면서 자신의 블로그를 1인 [[미디어]]의 지위로 격상시킨 사람을 뜻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57338&cid=43667&categoryId=43667 블로터]〉, 《네이버 지식백과》</ref>
  
 
== 개요 ==
 
== 개요 ==
블로터(Bloter)는 블로거(Blogger)와 리포터(Reporter)의 합성어로, 블로거의 분석 능력과 리포터의 취재 능력을 결합한 디지털 전문 미디어이다.개개인의 세미프로인 블로터들이 모인 사이트로 다양한 정보 제공 및 수용자의 눈높이에서 어려운 지식들을 제공하며, 정보의 수용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더 효율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면에서 생산자와 정보 수용자 상호간의 이익이 된다. 블로터는 it 전문 기사를 제공하며, 이외에도 블로터 아카데미를 통해 기술, 미디어, 마케팅, 블록체인 및 ico 등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유데미(Udemy)의 공식 한국 파트너로 웹 개발, 데이터 분석, 쇼셜 마케팅 등 온라인 강좌를 제공한다. 블로터는 (주)블로터앤미디어가 운영하고 있으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310 태광빌딩 디자인하우스 4층에 위치해있다.
+
블로터(Bloter)는 블로거(Blogger)와 리포터(Reporter)의 합성어로, 블로거의 분석 능력과 리포터의 취재 능력을 결합한 디지털 전문 미디어이다.개개인의 세미프로인 블로터들이 모인 사이트로 다양한 정보 제공 및 수용자의 눈높이에서 어려운 지식들을 제공하며, 정보의 수용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더 효율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면에서 생산자와 정보 수용자 상호간의 이익이 된다. 블로터는 [[it]] 전문 기사를 제공하며, 이외에도 블로터 아카데미를 통해 기술, 미디어, 마케팅, [[블록체인]] 및 ico 등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유데미]](Udemy)의 공식 한국 파트너로 웹 개발, 데이터 분석, 쇼셜 마케팅 등 온라인 강좌를 제공한다. 블로터는 (주)블로터앤미디어가 운영하고 있으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310 태광빌딩 디자인하우스 4층에 위치해있다.
  
 
== 역사 ==
 
== 역사 ==
  
*2006년 : 정재엽 대표가 블로터앤미디어 라는 회사를 설립
+
*2006년 : [[정재엽]] 대표가 블로터앤미디어 라는 회사를 설립
*2010년 : 시지온과 제휴해 대한민국 미디어 최초로 소셜 댓글 서비스 '라이브리'를 도입<ref> 김상범, 〈[http://www.bloter.net/archives/35224 블로터닷넷, 소셜댓글 서비스 시작합니다]〉, 《블로터》, 2010-07-19</ref>
+
*2010년 : [[시지온]]과 제휴해 대한민국 미디어 최초로 소셜 댓글 서비스 '라이브리'를 도입<ref> 김상범, 〈[http://www.bloter.net/archives/35224 블로터닷넷, 소셜댓글 서비스 시작합니다]〉, 《블로터》, 2010-07-19</ref>
 
*2014년 : 회사 제호가 '블로터닷넷'에서 '블로터'로 변경됨<ref> 이희욱, 〈[http://www.bloter.net/archives/205706 블로터8주년 ‘따뜻한’ 디지털이다]〉, 《블로터》, 2014-09-05</ref>
 
*2014년 : 회사 제호가 '블로터닷넷'에서 '블로터'로 변경됨<ref> 이희욱, 〈[http://www.bloter.net/archives/205706 블로터8주년 ‘따뜻한’ 디지털이다]〉, 《블로터》, 2014-09-05</ref>
  
14번째 줄: 14번째 줄:
 
=== 메이커미디어 ===
 
=== 메이커미디어 ===
  
메이커미디어는 세계 최대의 메이커 전문 커뮤니티 겸 출판사이다. 2017년 7월 14일 블로터를 운영하고 있는 블로터앤미디어가 미국의 메이커미디어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고, 현재 메이커 전문 잡지인 메이크를 비롯한 주요 단행본을 독점 출간하고 있다.<ref>이수호 기자, 〈[http://news1.kr/articles/?3048315 블로터 메이커미디어와 체결]〉, 《뉴스1코리아》, 2017-07-14</ref> 또한 국내 메이커들의 축제 '메이커 페어 서울'도 해마다 개최하고 있다.
+
메이커미디어는 세계 최대의 메이커 전문 [[커뮤니티]] 겸 출판사이다. 2017년 7월 14일 블로터를 운영하고 있는 블로터앤미디어가 미국의 메이커미디어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고, 현재 메이커 전문 잡지인 메이크를 비롯한 주요 단행본을 독점 출간하고 있다.<ref>이수호 기자, 〈[http://news1.kr/articles/?3048315 블로터 메이커미디어와 체결]〉, 《뉴스1코리아》, 2017-07-14</ref> 또한 국내 메이커들의 축제 '메이커 페어 서울'도 해마다 개최하고 있다.
  
 
=== 블로터 아카데미 ===
 
=== 블로터 아카데미 ===
  
2016년 6월 28일에 에듀테크 스타트업 ㈜클레비는 IT전문미디어 ㈜블로터앤미디어와 교육 콘텐츠 제공에 관한 업무 협약을 했다.㈜클레비는 협약에 따라 ㈜블로터앤미디어가 운영하는 블로터아카데미의 인기 IT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장소와 시간 제약 없이 배울 수 있게 온라인으로 생중계하고 VOD 서비스도 한다. ㈜클레비는 각 분야 전문가의 강의 플랫폼을 운영 중인 에듀테크 스타트업으로, 디자인, 마케팅 분야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ref> 이준석 기자,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 ar_id=NISX20160628_0014182787&cID=10433&pID=10400 클레비-블로터앤미디어 교육 콘텐츠 제공 업무협약 체결]〉, 《뉴시스》, 2016-06-28</ref> 또한 유데미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블로터아카데미와 관계를 맺고 강좌를 개설하게 되면, 유데미라는 글로벌 플랫폼뿐 아니라 다양한 국내외 교육 관련 플랫폼에 동시에 콘텐츠르 내보낼 수 있다. 온 오프라인 강좌로 블로터아카데미의 강사들은 혜택과 수익이 늘어나게 되었다.<ref> admin, 〈[http://academy.bloter.net/archives/19873 유데미 강좌,블로터 기사 내 노출을 시작합니다]〉, 《블로터》, 2016-05-31</ref>
+
2016년 6월 28일에 에듀테크 스타트업 [[㈜클레비]]는 IT전문미디어 ㈜블로터앤미디어와 교육 콘텐츠 제공에 관한 업무 협약을 했다.㈜클레비는 협약에 따라 ㈜블로터앤미디어가 운영하는 블로터아카데미의 인기 IT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장소와 시간 제약 없이 배울 수 있게 온라인으로 생중계하고 VOD 서비스도 한다. ㈜클레비는 각 분야 전문가의 강의 플랫폼을 운영 중인 에듀테크 스타트업으로, 디자인, 마케팅 분야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ref> 이준석 기자,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 ar_id=NISX20160628_0014182787&cID=10433&pID=10400 클레비-블로터앤미디어 교육 콘텐츠 제공 업무협약 체결]〉, 《뉴시스》, 2016-06-28</ref> 또한 [[유데미]]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블로터아카데미와 관계를 맺고 강좌를 개설하게 되면, 유데미라는 글로벌 플랫폼뿐 아니라 다양한 국내외 교육 관련 플랫폼에 동시에 콘텐츠르 내보낼 수 있다. 온 오프라인 강좌로 블로터아카데미의 강사들은 혜택과 수익이 늘어나게 되었다.<ref> admin, 〈[http://academy.bloter.net/archives/19873 유데미 강좌,블로터 기사 내 노출을 시작합니다]〉, 《블로터》, 2016-05-31</ref>
  
 
=== 블로터 컨퍼런스 ===
 
=== 블로터 컨퍼런스 ===
  
블로터앤미디어에서는 몇 달에 한번씩 블로터컨퍼런스를 진행한다. 주로 최근 화제가 되는 주제들로 최근에는 블록체인에 대한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블로터컨퍼런스는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실무자들이 모여서 그 분야에 대한 기술 동양이나 적용 사례, 다양한 서비스 등을 소개한다. 2019년 4월에 개최된 '블록체인 테크&비즈니스 서밋 2019'에서는 두나무 등 많은 회사가 참여하였으며,
+
블로터앤미디어에서는 몇 달에 한번씩 블로터컨퍼런스를 진행한다. 주로 최근 화제가 되는 주제들로 최근에는 [[블록체인]]에 대한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블로터컨퍼런스는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실무자들이 모여서 그 분야에 대한 기술 동양이나 적용 사례, 다양한 서비스 등을 소개한다. 2019년 4월에 개최된 '블록체인 테크&비즈니스 서밋 2019'에서는 [[두나무]] 등 많은 회사가 참여하였으며, 금융권 블록체인 비즈니스 현황, 엑셀러레이터가 바라본 블록체인 투자, 블록체인 게임의 현재와 미래, 국가별 블록체인 산업 규제와 전망 등 다양한 세션을 준비했다.<ref> 블로터,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9044447&memberNo=2886464&vType=VERTICAL 블로터 컨퍼런스 블록체인 산업 동향 한자리에...]〉, 《네이버 포스트》, 2019-04-09</ref>
금융권 블록체인 비즈니스 현황, 엑셀러레이터가 바라본 블록체인 투자, 블록체인 게임의 현재와 미래, 국가별 블록체인 산업 규제와 전망 등 다양한 세션을 준비했다.<ref> 블로터,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9044447&memberNo=2886464&vType=VERTICAL 블로터 컨퍼런스 블록체인 산업 동향 한자리에...]〉, 《네이버 포스트》, 2019-04-09</ref>
 
  
  

2019년 7월 31일 (수) 11:34 판

블로터(Bloter)는 블로터들이 만드는 디지털 전문 미디어이다. 주로 블로터는 전문적인 주제에 대한 글을 올리면서 자신의 블로그를 1인 미디어의 지위로 격상시킨 사람을 뜻한다.[1]

개요

블로터(Bloter)는 블로거(Blogger)와 리포터(Reporter)의 합성어로, 블로거의 분석 능력과 리포터의 취재 능력을 결합한 디지털 전문 미디어이다.개개인의 세미프로인 블로터들이 모인 사이트로 다양한 정보 제공 및 수용자의 눈높이에서 어려운 지식들을 제공하며, 정보의 수용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더 효율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면에서 생산자와 정보 수용자 상호간의 이익이 된다. 블로터는 it 전문 기사를 제공하며, 이외에도 블로터 아카데미를 통해 기술, 미디어, 마케팅, 블록체인 및 ico 등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유데미(Udemy)의 공식 한국 파트너로 웹 개발, 데이터 분석, 쇼셜 마케팅 등 온라인 강좌를 제공한다. 블로터는 (주)블로터앤미디어가 운영하고 있으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310 태광빌딩 디자인하우스 4층에 위치해있다.

역사

  • 2006년 : 정재엽 대표가 블로터앤미디어 라는 회사를 설립
  • 2010년 : 시지온과 제휴해 대한민국 미디어 최초로 소셜 댓글 서비스 '라이브리'를 도입[2]
  • 2014년 : 회사 제호가 '블로터닷넷'에서 '블로터'로 변경됨[3]

주요 활동

메이커미디어

메이커미디어는 세계 최대의 메이커 전문 커뮤니티 겸 출판사이다. 2017년 7월 14일 블로터를 운영하고 있는 블로터앤미디어가 미국의 메이커미디어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고, 현재 메이커 전문 잡지인 메이크를 비롯한 주요 단행본을 독점 출간하고 있다.[4] 또한 국내 메이커들의 축제 '메이커 페어 서울'도 해마다 개최하고 있다.

블로터 아카데미

2016년 6월 28일에 에듀테크 스타트업 ㈜클레비는 IT전문미디어 ㈜블로터앤미디어와 교육 콘텐츠 제공에 관한 업무 협약을 했다.㈜클레비는 협약에 따라 ㈜블로터앤미디어가 운영하는 블로터아카데미의 인기 IT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장소와 시간 제약 없이 배울 수 있게 온라인으로 생중계하고 VOD 서비스도 한다. ㈜클레비는 각 분야 전문가의 강의 플랫폼을 운영 중인 에듀테크 스타트업으로, 디자인, 마케팅 분야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5] 또한 유데미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블로터아카데미와 관계를 맺고 강좌를 개설하게 되면, 유데미라는 글로벌 플랫폼뿐 아니라 다양한 국내외 교육 관련 플랫폼에 동시에 콘텐츠르 내보낼 수 있다. 온 오프라인 강좌로 블로터아카데미의 강사들은 혜택과 수익이 늘어나게 되었다.[6]

블로터 컨퍼런스

블로터앤미디어에서는 몇 달에 한번씩 블로터컨퍼런스를 진행한다. 주로 최근 화제가 되는 주제들로 최근에는 블록체인에 대한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블로터컨퍼런스는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실무자들이 모여서 그 분야에 대한 기술 동양이나 적용 사례, 다양한 서비스 등을 소개한다. 2019년 4월에 개최된 '블록체인 테크&비즈니스 서밋 2019'에서는 두나무 등 많은 회사가 참여하였으며, 금융권 블록체인 비즈니스 현황, 엑셀러레이터가 바라본 블록체인 투자, 블록체인 게임의 현재와 미래, 국가별 블록체인 산업 규제와 전망 등 다양한 세션을 준비했다.[7]


각주

  1. 블로터〉, 《네이버 지식백과》
  2. 김상범, 〈블로터닷넷, 소셜댓글 서비스 시작합니다〉, 《블로터》, 2010-07-19
  3. 이희욱, 〈블로터8주년 ‘따뜻한’ 디지털이다〉, 《블로터》, 2014-09-05
  4. 이수호 기자, 〈블로터 메이커미디어와 체결〉, 《뉴스1코리아》, 2017-07-14
  5. 이준석 기자, 〈ar_id=NISX20160628_0014182787&cID=10433&pID=10400 클레비-블로터앤미디어 교육 콘텐츠 제공 업무협약 체결〉, 《뉴시스》, 2016-06-28
  6. admin, 〈유데미 강좌,블로터 기사 내 노출을 시작합니다〉, 《블로터》, 2016-05-31
  7. 블로터, 〈블로터 컨퍼런스 블록체인 산업 동향 한자리에...〉, 《네이버 포스트》, 2019-04-09

참고자료

같이보기


  의견.png 이 블로터 문서는 블록체인 미디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