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청단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황해남도 위치
청단군 위치

청단군(靑丹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동남부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청단군의 면적은 488.94km²이며 인구는 142,607명(2008)이다. 남쪽은 황해에 접한다. 서쪽으로 해주시·신원군, 동쪽으로 봉천군·연안군과 인접한다. 남쪽의 황해에는 룡매도가 떠 있다. 동서(흥산리~갈산리) 간의 길이는 17km이고, 남북(신풍리~운곡리) 간의 길이는 46km이며, 도 전체면적의 5.7%를 차지한다. 앞바다에는 용매도(龍媒島)를 비롯하여 57개의 섬이 있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22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청단읍이다.

청단(靑丹)이라는 이름은 북한 통치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행정구역의 이름으로 쓰인 적은 없으나, 조선시대 교통의 요지인 이곳에 지은 역참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북한 행정구역상 청단읍 지역인 벽성군(1938년 이전에는 해주군) 추화면(秋花面) 일대를 청단이라고 불렀다. 정약용은 1798년 8월 청단 역참을 떠나며 새벽에 청단역을 떠나며(曉發靑丹驛)이라는 시를 남기기도 했다.

청단평야에 있어서 농업을 주로 하며, 땅에는 이탄(泥炭)이 매장되어 있다.[3]

자연환경[편집]

청단군은 북한 서남저지대의 북부저지에 속해 있으며 청단군 영역의 대부분이 구릉과 평탄한 평야로 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북부지역에서부터 해안 지역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지형을 이루고 있는데, 청단군의 북부경계지역에는 운달산(雲達山, 496m), 구지봉(433m), 창바위산(389m) 등이 연달아 솟아 있어 청단군내에서 가장 높은 지역을 이룬다. 청단군의 북부경계지역은 북쪽의 재령강(載寧江)유역과 남쪽의 읍천(邑川), 어사천(御史川), 화양천(華陽川) 유역의 분수령이다.

이곳에서 남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져 경사가 낮은 구릉성 평야와 충적평야, 바닷가의 해성평야와 간석지 등이 전개되어 있다. 이 평야들은 예로부터 북한의 주요 곡창지로 알려진 연백벌(延白-)에 속한다. 청단군은 해발 100m 미만의 지역이 전체면적의 88.3%를 차지하므로 대부분이 낮은 지대로 되어 있다. 청단읍의 해발은 20m이다. 연백벌의 서부지역인 이 지대는 구월벌, 무지벌, 평야벌, 청단벌, 대성벌, 만성벌, 삼정벌 등으로 나뉘어 불리우기도 한다. 남부 및 남서부는 서해를 향하여 있다. 바닷가에는 간석지가 넓게 전개되어 있으며 앞바다에는 용매도, 저미도, 여념도, 육읍도, 거북섬, 우도(牛島), 돌섬 등 여러 개의 섬이 있다.

해안선의 굴곡도 심하다. 지질은 주로 시생대층과 상부원생대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시생대층에는 주로 편마암류, 결정편암, 혼성암, 대리암과 상원계 탄산염암석, 규암, 편암류 및 황주계규암, 대리암들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고생대 평강암군에 속하는 청단알칼리관입암체와 중생대 단천암군의 관입암체들이 발달하였다. 상부원생대층을 이르고 있는 석회암, 고회암, 편암 등도 많이 분포되어 있다. 여기에는 흑색 및 유색 금속광물과 비금속광물 등 지하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는데 주로 금, 은, 철, 흑연, 연, 아연, 몰리브덴, 인회석, 카리장석, 백토 등이 있다. 토양은 적갈색토양, 충적지토양, 논토양, 간석지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바다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10.3℃, 1월 평균기온은 -5.1℃, 8월 평균기온은 24.6℃이다. 10℃이상 적산온도는 3,669℃이며 첫서리는 10월 22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17일경에 내린다. 연평균강수량은 1,150mm이다. 그 가운데서 여름철에 62%가 내린다.

바람은 북서풍과 북동풍이 우세하다. 수계는 화양천, 어사천을 비롯하여 10여 개의 중소하천이 유입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서 5km 이상 되는 하천이 5개이다. 청단군 영역으로 흐르는 화양천의 길이는 32.63km이며 9.18저수지(九一八貯水池)로 유입된다. 하천들은 대체로 수양산맥에서 발원하여 화양천과 어사천에 유입된다. 저수지는 구암호(鳩岩湖), 광명저수지(光明貯水池)와 9.18저수지를 비롯하여 6개의 저수지가 있다. 특히 청단군에는 청단관개체계와 예성강관개체계(禮成江灌漑體系)가 마련됨으로써 완성된 수리화체계가 이루어졌다.

산림은 청단군 전체면적의 26.5%를 차지하고 있는데, 산림 면적의 84.5%가 해발 200m 이하에 있다. 기본 수종으로는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창성잎갈나무, 메타세쿼이아, 노간주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있다. 용매도를 중심으로 한 간석지들에는 나문재, 해홍나물 등이 자란다. 바닷가 지역에는 해당화, 메꽃, 명아주, 떡갈나무, 자오락 등이 분포되어 있다. 동물로는 노루, 여우, 살쾡이, 산토끼 등이 서식하고 있다.[4]

역사[편집]

청단은 고구려시기에 내미홀군(內米忽郡)이라 불렸고, 고려 때부터는 해주(海州)에 속하여 있었으며, 1938년 후에 벽성군(碧城郡)에 속한 지역이었다. 광복 후 38°선 이남지역은 남연백군(南延白郡)에 속하여 있었다. 6 · 25전쟁시기 남연백군이 북반부에 속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벽성군의 영천면(泳泉面) · 동운면(東雲面)과 금산면(錦山面)의 6개 리 그리고 남연백군의 내성면(來城面) · 청룡면(靑龍面) · 일신면(日新面) · 추화면(秋花面)을 병합하여 청단군(靑丹郡)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남연백군 추화면의 약현리 · 향산리 · 만송리 · 학남리 · 월학리를 병합하여 청단읍(靑丹邑)으로, 벽성군 영천면의 갈산리 · 좌랑리를 병합하여 갈산리(葛山里)로, 벽성군 영천면의 영양리 · 수산리 · 한우리를 병합하여 영양리(迎陽里)로, 벽성군 영천면의 장방리 · 공해리 · 매산리를 병합하여 장방리(長芳里)로, 남연백군 추화면의 오천리 · 서덕리 · 신왕리를 병합하여 화양리(花陽里)로, 벽성군 금산면의 감수리 · 송전리와 추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칠봉리(七峯里)로, 벽성군 금산면의 작천리 · 냉정리 · 학현리와 추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작천리(鵲川里)로, 벽성군 동운면의 주산리와 덕달리 일부를 병합하여 덕달리(德達里)로, 벽성군 동운면의 영정리와 사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동대리(東大里)로, 벽성군 동운면의 공수리 · 운양리와 사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운곡리(雲谷里)로, 벽성군 동운면의 삼정리 · 두동리와 덕달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정리(三井里)로, 남연백군 내성면의 화전리 · 대산리와 벽성군 영천면의 척두리를 병합하여 화산리(花山里)로, 남연백군 내성면의 금성리 · 팔학리 · 오봉리를 병합하여 금학리(錦鶴里)로, 남연백군 추화면의 마룡리 · 순명리를 병합하여 용포리(龍浦里)로, 남연백군 청룡면의 덕녕리 · 학월리 · 구정리를 병합하여 구월리(龜月里)로, 남연백군 청룡면의 영양리 · 맹해리 · 학산리 · 용매리를 병합하여 영산리(迎山里)로, 남연백군 일신면의 법교리 · 생왕리 · 심해리를 병합하여 신생리(新生里)로, 남연백군 일신면의 광전리 · 천석리 · 제산리를 병합하여 남촌리(南村里)로, 남연백군 일신면의 무정리 · 내동리와 내성면의 소호리를 병합하여 소정리(蘇井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8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 10월에 황해도황해남도황해북도로 분리되면서 황해남도에 소속되었다. 1961년 3월에 영양리를 해주시에 이관하였고, 1965년 1월에 작천리와 장방리를 해주시에 편입하였으며, 1974년 5월에 연안군의 흥산리(興山里) · 청정리(淸井里) · 심평리(深坪里)를 흡수하였다. 1990년 6월에 영산리 일부, 구월리 일부 지역과 새로 개간한 간석지를 통합하여 신풍리(新豊里)를 신설하였으며, 1991년 9월에 청단읍 일부를 분리하여 대풍리(大豊里)를, 용포리 일부를 분리하여 마룡리(馬龍里)를, 화산리 일부를 분리하여 양화리(陽和里)를 각각 신설하였다.

1996년에 금학리 일부, 갈산리 일부, 양화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신흥노동자구(新興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청단읍), 1구(신흥노동자구), 22리(갈산리, 구월리, 금학리, 남촌리, 대풍리, 덕달리, 동대리, 용포리, 마룡리, 삼정리, 소정리, 신생리, 신풍리, 심평리, 양화리, 영산리, 운곡리, 청정리, 칠봉리, 화산리, 화양리, 흥산리)로 구성되어 있다. 청단군 소재지는 청단읍이다.[5]

산업[편집]

청단군은 광복 후 발전된 농촌 경리와 중앙공업, 지방공업을 가진 군으로 전변되었다. 청단군의 농업은 곡물, 채소, 공예작물, 축산물, 과일, 누에고치 등의 생산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농경지에서 논이 65%, 밭이 26%, 과수밭이 6%, 호두나무밭이 1%, 뽕밭이 1%이다. 농업생산에서 기본은 벼생산을 위주로 하는 곡물생산이다. 군에서는 완성된 관개체계에 기초하여 새로운 벼 품종을 받아들이고 과학적인 시비체계를 확립하여 곡물생산을 늘렸다. 벼는 군 곡물생산량의 86%를 차지하며 그밖에 옥수수, 콩, 밀, 보리, 수수, 팥, 메밀, 녹두 등도 재배한다.

주요 벼 산지로는 남부지역의 청단리, 화산리, 남촌리, 청정리, 심평리, 구월리, 용포리, 영산리 등 지역이다. 옥수수는 주로 중부 이북지역에서 많이 산출된다.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자두, 감 등이 산출되는데, 그 중에서 배가 68%, 복숭아가 20%, 사과가 10%를 차지하고 있다. 청단배는 알이 크고 맛이 좋아 특산물로 되어 있다. 축산업에서는 돼지, 소, 거위, 오리, 닭, 염소, 토끼 등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서해를 끼고 있는 유리한 조건을 이용하여 수산업이 발달되어 있는데 숭어, 전어, 삼치, 농어, 조개 등이 많이 잡히고 있다. 용매도, 대수압도, 소수압도의 주변 바다는 주요 어장으로 알려져 있다. 앞바다에는 섭조개를 기르는 천해양식장이 있다. 중앙공업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은 채굴공업이다. 여기에서는 주로 카리장석, 흑연과 황철석을 채굴하고 있다.

지방공업은 식료, 일용, 방직 및 피복, 종이, 도자기, 제약 공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식료품공업부문에서는 간장, 된장, 고추장, 기름과 과일가공품, 고기가공품, 채소가공품 그리고 사탕, 과자, 청량음료 등을 생산한다. 일용품공업은 식료품공업 다음 자리를 차지한다. 초물구럭과 돗자리를 비롯한 초물제품, 합성수지제품, 안약과 보약은 질이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배천선과 청단~덕달 간 철도가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갈산, 화산, 청단, 월계, 덕달 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로는 해주~배천 간 2급 도로가 통과하고 있다. 청단~봉천, 청단~연안, 청단~사동, 청단~영산, 청단~흥산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황해남도 소재지인 해주까지는 약 24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청단군〉, 《위키백과》
  2. 청단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청단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청단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청단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청단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청단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청단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