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드림에이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드림에이스'''는 == 개요 == {{각주}} == 참고자료 == * == 같이 보기 == * {{로고 수정 필요}} {{자동차 부품 회사|검토 필요})
 
1번째 줄: 1번째 줄:
'''㈜드림에이스'''는
+
[[파일:㈜드림에이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드림에이스'''(DrimAES)]]
 +
[[파일:㈜드림에이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드림에이스'''(DrimAES)]]
 +
 
 +
'''㈜드림에이스'''(DrimAES)2015년 설립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 In-Vehicle Infotainment)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리눅스]] 재단에서 차량용 임베디드 리눅스 표준 플랫폼으로 공개한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Automotive Grade Linux)을 기반으로 국내외 유수의 자동차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 개요 ==
 
== 개요 ==
 +
㈜드림에이스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과 전장 요소 기술을 바탕으로 커넥티드카 앱생태계 허브를 구축하는 스타트업 기업이다. 스타트업으로서는 유일하게 리눅스 재단에서 차량용 임베디드 리눅스 표준 플랫폼으로 공개한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의 실버 등급 회원사로 등록되었으며,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 반도체 기업 및 아이티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드림에이스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기반 사업 모델을 개발하여 글로벌 차량 반도체 기업인 [[독일]]의 [[인피니온]](Infineon)에서 주관한 스타트업 벤처 포럼에 한국 기업 중 유일하게 참가하였고, 2등으로 수상한 후 2015년 11월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연구소 기업으로 설립되었다. 2017년 2월, 스타트업 최초로 차량용 리눅스 커뮤니티에서 실버 회원으로 등록되어 국내외 언론에 보도되었고, 2017년 8월에는 글로벌 반도체 지적재산권(IP) 파트너십 미팅에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초정되어 전시하면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선보였다. 2018년 9월,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과 가상화 기술을 인정받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및 양산 소프트웨어 개발 계약을 잇달아 수주하였다. 2019년 7월, 오토모티브 리눅스 서밋(Automotive Linux Summit) 2019에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기반 양산 프로젝트 기술을 기반으로 참가하고 전시하였으며 기술 발표에서 어워즈를 받았다. <ref name="공식홈페이지"> ㈜드림에이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drimaes.com/ </ref> 또한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소프트웨어 고성장클럽 200 사업의 '고성장 기업 부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NIPA원장상)'을 수상하였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은 2019년 성장이 두드러진 소프트웨어 고성장클럽 중에서도 특별히 고성장 분야 기업에게 수상되는 영예로운 상이다. 이번 수상으로 ㈜드림에이스가 보유한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와 안드로이드 컨테이너(Android Container) 기술이 시장 내 영향력을 발휘함을 보여 주는 동시에 실제 상용 자동차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매출 및 고용 창출 능력을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드림에이스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관련한 다양한 상용 기술을 보유하고, 제공 중에 있다. AVN 시스템(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뒷좌석 승객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RSE)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AGL) 표준화 실버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별도의 변환 없이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플랫폼에서도 구동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컨테이너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적용 중이며, 다빈치(Davinci)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양한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통해 ㈜드림에이스는 자동차 아이티 서비스 생태계 구축에 꼭 필요한 기업으로 자리 매김 할 것으로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ref>이효상 기자, 〈[https://www.outsourci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576 드림에이스(DrimAES), SW 고성장클럽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 수상]〉, 《아웃소싱타임즈》, 2019-12-18 </ref>
  
 +
== 근황 ==
 +
[[네이버㈜]](Naver) [[웨일]](Whale)이 ㈜드림에이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코리아㈜]](Continental Automotive Korea)와 웹 기반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서비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손잡았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능의 고도화와 함께 차량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지면서 자동차가 모바일 다음의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기존 완성차 기업에 더해 다양한 정보기술(IT)기업, 스타트업들이 해당 시장에 참여하며 시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인차이나는 2018년 196억 달러 규모였던 글로벌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시장이 2026년까지 292억 달러 규모로 매년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서비스는 개별 차량에 맞춰 최적화가 필요했던 어려움 때문에 [[하드웨어]]의 고도화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의 앱을 활용하는 형태에 그치고 있었다. 반면, [[웹 브라우저]]는 운영체제에 제약을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와 네트워크가 있는 장소라면 어디에서라도 원하는 서비스를 추가적인 노력과 비용없이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범용적이고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완성차 제조사와 아이티 기업을 중심으로 웹 브라우저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시도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3사의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향후 카쉐어링, 음식 픽업, 차량 내 결제뿐 아니라 식당 예약, 세차 등 많은 서비스 사업자들이 차량 내에서 손쉽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네이버 웨일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서비스에 최적화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웹 오토모티브(Web Automotiv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및 자동차 환경에 최적화된 웹 기술 표준을 개발 적용해, 기존 서비스들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코리아㈜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웹 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양산 하드웨어 개발 및 실제 적용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지원하고, 기존의 완성차 제조사 및 서비스 사업자들간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리눅스 재단의 커넥티드 카 개발 프로젝트의 실버 회원사이기도 한 ㈜드림에이스는 그동안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기반으로 고도화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하드웨어에 적합한 다양한 웹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는 기반 플랫폼을 개발 공급할 예정이다.<ref>현화영 기자, 〈[http://www.segye.com/newsView/20201013510392?OutUrl=naver 네이버 웨일, 콘티넨탈·드림에이스와 ‘웹 기반 IVI 서비스’ 활성화 협력]〉, 《세계일보》, 2020-10-15 </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
* ㈜드림에이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drimaes.com/
 +
* 현화영 기자, 〈[http://www.segye.com/newsView/20201013510392?OutUrl=naver 네이버 웨일, 콘티넨탈·드림에이스와 ‘웹 기반 IVI 서비스’ 활성화 협력]〉, 《세계일보》, 2020-10-1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로고 수정 필요}}
 
{{로고 수정 필요}}
{{자동차 부품 회사|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 회사|검토 필요}}

2020년 10월 15일 (목) 14:34 판

㈜드림에이스(DrimAES)
㈜드림에이스(DrimAES)

㈜드림에이스(DrimAES)는 2015년 설립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 In-Vehicle Infotainment)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리눅스 재단에서 차량용 임베디드 리눅스 표준 플랫폼으로 공개한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Automotive Grade Linux)을 기반으로 국내외 유수의 자동차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개요

㈜드림에이스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과 전장 요소 기술을 바탕으로 커넥티드카 앱생태계 허브를 구축하는 스타트업 기업이다. 스타트업으로서는 유일하게 리눅스 재단에서 차량용 임베디드 리눅스 표준 플랫폼으로 공개한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의 실버 등급 회원사로 등록되었으며,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 반도체 기업 및 아이티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드림에이스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기반 사업 모델을 개발하여 글로벌 차량 반도체 기업인 독일인피니온(Infineon)에서 주관한 스타트업 벤처 포럼에 한국 기업 중 유일하게 참가하였고, 2등으로 수상한 후 2015년 11월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연구소 기업으로 설립되었다. 2017년 2월, 스타트업 최초로 차량용 리눅스 커뮤니티에서 실버 회원으로 등록되어 국내외 언론에 보도되었고, 2017년 8월에는 글로벌 반도체 지적재산권(IP) 파트너십 미팅에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초정되어 전시하면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선보였다. 2018년 9월,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과 가상화 기술을 인정받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및 양산 소프트웨어 개발 계약을 잇달아 수주하였다. 2019년 7월, 오토모티브 리눅스 서밋(Automotive Linux Summit) 2019에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기반 양산 프로젝트 기술을 기반으로 참가하고 전시하였으며 기술 발표에서 어워즈를 받았다. [1] 또한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소프트웨어 고성장클럽 200 사업의 '고성장 기업 부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NIPA원장상)'을 수상하였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은 2019년 성장이 두드러진 소프트웨어 고성장클럽 중에서도 특별히 고성장 분야 기업에게 수상되는 영예로운 상이다. 이번 수상으로 ㈜드림에이스가 보유한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와 안드로이드 컨테이너(Android Container) 기술이 시장 내 영향력을 발휘함을 보여 주는 동시에 실제 상용 자동차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매출 및 고용 창출 능력을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드림에이스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관련한 다양한 상용 기술을 보유하고, 제공 중에 있다. AVN 시스템(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뒷좌석 승객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RSE)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AGL) 표준화 실버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별도의 변환 없이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플랫폼에서도 구동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컨테이너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적용 중이며, 다빈치(Davinci)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양한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통해 ㈜드림에이스는 자동차 아이티 서비스 생태계 구축에 꼭 필요한 기업으로 자리 매김 할 것으로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2]

근황

네이버㈜(Naver) 웨일(Whale)이 ㈜드림에이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코리아㈜(Continental Automotive Korea)와 웹 기반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서비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손잡았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능의 고도화와 함께 차량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지면서 자동차가 모바일 다음의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기존 완성차 기업에 더해 다양한 정보기술(IT)기업, 스타트업들이 해당 시장에 참여하며 시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인차이나는 2018년 196억 달러 규모였던 글로벌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시장이 2026년까지 292억 달러 규모로 매년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서비스는 개별 차량에 맞춰 최적화가 필요했던 어려움 때문에 하드웨어의 고도화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의 앱을 활용하는 형태에 그치고 있었다. 반면, 웹 브라우저는 운영체제에 제약을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와 네트워크가 있는 장소라면 어디에서라도 원하는 서비스를 추가적인 노력과 비용없이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범용적이고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완성차 제조사와 아이티 기업을 중심으로 웹 브라우저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시도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3사의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향후 카쉐어링, 음식 픽업, 차량 내 결제뿐 아니라 식당 예약, 세차 등 많은 서비스 사업자들이 차량 내에서 손쉽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네이버 웨일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서비스에 최적화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웹 오토모티브(Web Automotiv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및 자동차 환경에 최적화된 웹 기술 표준을 개발 적용해, 기존 서비스들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코리아㈜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웹 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양산 하드웨어 개발 및 실제 적용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지원하고, 기존의 완성차 제조사 및 서비스 사업자들간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리눅스 재단의 커넥티드 카 개발 프로젝트의 실버 회원사이기도 한 ㈜드림에이스는 그동안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기반으로 고도화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하드웨어에 적합한 다양한 웹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는 기반 플랫폼을 개발 공급할 예정이다.[3]

각주

  1. ㈜드림에이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drimaes.com/
  2. 이효상 기자, 〈드림에이스(DrimAES), SW 고성장클럽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 수상〉, 《아웃소싱타임즈》, 2019-12-18
  3. 현화영 기자, 〈네이버 웨일, 콘티넨탈·드림에이스와 ‘웹 기반 IVI 서비스’ 활성화 협력〉, 《세계일보》, 2020-10-15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드림에이스 문서는 자동차 부품 회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