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넥센타이어㈜

해시넷
solar0313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2월 15일 (월) 09:0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넥센타이어(NEXEN TIRE)는 한국의 타이어 제조회사이다. 1942년 흥아고무공업㈜로 설립되어 1956년 전후 국내 최초로 자동차용 타이어를 생산하였다.2000년 기업 이미지 혁신을 위해 우성타이어에서 넥센타이어로 사명을 변경한 이후, 세계 타이어업계 최고 수준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며 더욱 괄목할 도약을 이뤄내고 있다. 국내와 중국, 유럽에 4개의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국내 마곡 중앙연구소를 중심으로 미국, 중국, 독일에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구축, 다변화하는 시장에 발 빠르게 대응하여 우수한 성능과 품질을 인정받는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1]

개요

넥센타이어는 대한민국의 타이어 전문 회사이다. 본사는 경상남도 양산시 유산동이며, 중앙연구소(더넥센유니버시티)는 서울시 마곡지구에 위치해 있다. 1942년에 흥아타이어사를 전신으로 설립된 이후, 1956년에 대한민국 전후 최초로 자동차용 타이어를 생산하였으며,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기 전에는 ‘우성타이어’라는 상호를 사용했다. 1987년 우성타이어는 프랑스 타이어 업체인 미쉐린과 제휴하면서 합작회사인 미쉐린코리아타이어㈜로 설립되었다. 1991년 프랑스 미쉐린이 관계를 정리하였다. 1992년 일본 OITSU사 기술제휴협약을 맺었다. 1994년 우성산업에서 우성타이어으로 변경하였다. 1999년에 사명을 바꾸면서 타이어판매 기업 타이어뱅크와 연계해 소비자 직판망을 갖추면서 급속 성장하기 시작했다. 넥센타이어는 넥스트 센츄리 타이어(Next Century Tire)의 약어로,다음세대를 위한 타이어의 의미를 지닌 이름이며, 2021년 현재 브랜드슬로건은 We got you다. 2015년 업계 최초로 타이어렌탈 비즈니스를 도입하였으며, 현재는 직접 고객에게 방문하여 타이어를 교체하는 비대면 타이어 방문장착서비스인 넥스트 레벨 고(NEXT LEVEL GO)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2009년 12월에는 경상남도 창녕군에 자동화 생산 공장을 착공했으며, 2010년 2월, 한국 프로 야구 넥센 히어로즈의 메인스폰서가 되어 넥센타이어의 인지도를 올리는데 톡톡한 역할을 했다.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지역민방인 KNN 부산경남방송의 부산경남권 네트워크 방송사의 지분을 소유하고있다. 또한 키자니아 서울 내 운전면허시험장 체험관을 오픈하기도 했다. 2019년 서울 마곡지구에 중앙연구소인 더넥센유니버시티(The Nexen UniverCity)를 세웠다.

회사의 미션은 "움직임에 가치를 담아 내일을 함께하는 우리(Creating value for tomorrow, every step of the way)"이며, 비전은 "Next Level Mobility for All"이다.[2]

연혁

  • 1942년 06월 : 흥아고무공업㈜ 설립
  • 1952년 03월 : 흥아타이어㈜ 사명변경
  • 1956년 06월 : 전후 국내 최초의 자동차타이어 생산
  • 1973년 05월 : 원풍산업, 흥아타이어㈜ 경영권 인수
  • 1976년 05월 : 원풍산업, 한국증권거래소 주식상장
  • 1979년 08월 : 국제그룹, 원풍산업 경영권 인수
  • 1984년 : 양산 래디얼 공장 착공
  • 1986년 02월 : 우성그룹, 원풍산업 경영권 인수
  • 1987년 06월 : 미쉐린코리아타이어㈜ 합작법인 설립(1991년 6월 합작종료)
  • 1991년 10월 : 일본 오츠타이어와 기술도입 계약 체결
  • 1994년 03월 : 우성타이어(주)로 사명 변경
  • 1999년 03월 : ㈜넥센(구 흥아타이어공업㈜), 우성타이어 경영권 인수
  • 2000년 02월 : 넥센타이어(주)로 사명변경, CI선포식 개최
  • 2000년 07월 : 신노사문화우수기업 선정
  • 2004년 07월 : 양산 제2공장 가동시작
  • 2006년 01월 : 중국 창다오법인, 청도 넥센 윤태유한공사 설립
  • 2006년 05월 : 중국 칭다오공장 기공
  • 2006년 09월 : 넥센타이어 RV 챔피언십 개최
  • 2007년 10월 : 세계 최초 20시리즈 UHP타이어 상용화
  • 2008년 01월 : 중국 칭다오공장 가동
  • 2008년 03월 : 유럽판매법인(NEXENTIRE EUROPE GMBH) 설립
  • 2008년 10월 : 세계 최초 15시리즈 UHP타이어 개발
  • 2010년 06월 : 경남 창녕공장 기공
  • 2011년 08월 : 친환경타이어 엔블루에코 출시
  • 2011년 12월 : 노사상생협력 우수기업 대통령 표창
  • 2012년 03월 : 경남 창녕공장 가동
  • 2012년 10월 : 경남 창녕공장 준공
  • 2013년 02월 : 14년 연속 국내 상장법인 최초 주총 실시
  • 2013년 03월 : 3,300여 억원 규모 창녕 공장 2차 증설 투자 착수
  • 2014년 06월 : 체코 공장 투자 조인식 체결
  • 2015년 10월 : 체코 자테츠공장 기공
  • 2017년 05월 : 마곡 R&D 센터 착공
  • 2018년 09월 : 유럽연구소(NETC) 신축 및 확대개편
  • 2019년 04월 : 마곡 R&D센터 THE 넥센 univerCITY 준공
  • 2019년 08월 : 체코 자테츠 공장 준공[1]

주요 인물

주요 제품

승용차용

사계절용
  • 엔페라 프리미어스 AS T1 : 최적화된 피치 배열을 통한 소음 제어 및 다양한 드라이빙 환경에서 느껴지는 우수한 승차감 구현했다. 쿨링핀 기술 적용으로 효과적인 열 배출을 통한 뛰어난 고속주행 안정성 강화 및 사계절 오랜 주행이 가능한 뛰어난 마모 성능을 향상했다.
  • 엔페라 AU7 : 프리미엄에 혁신을 더한 가장 완벽한 엔페라 타이어이다. 숫자 7을 모티브로 하여 최적을 패턴 디자인 밸런스를 완성했다. 세련된 패턴 디자인은 더욱 안정된 승차감과 저소음으로 쾌적한 드라이빙 성능을 제공한다. 향상된 배수공간 확보와 블록강성 밸런스 설계를 통하여 빗길 주행시 핸들링 및 주행성능을 향상시켰다. 외측 블록 접지면적 증대로 마른 노면 제동성능 및 코너링 기능이 강화되었다. 눈길 주행성능을 위한 어드밴스드 3D 사이프를 적용하여 제동성능 향상 및 불규칙 마모를 방지했다. 바이트 엣지 디자인을 적용하여 눈길 견인력을 향상했다. 패턴 소음을 분산시키기 위해 5개의 최적 가변 피치 블록을 적용하여 낮은 음압과 편안한 승차감을 실현했다.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인 미국 2017 IDEA 디자인 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최적의 구조 설계와 트레드 접지 면적 최적화로 주행성능이 강화되었다. 고강도 스틸벨트, 고강도 플라이, 고강도 비드 와이어 및 비트 필러를 적용하여 구조 및 접지를 최적화를 통한 주행성능 향상을 실현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설계된 최적화된 트레드 프로파일 기술을 적용했다. 동일하게 분포된 도로 접촉면의 그립력을 극대화하여 주행 성능을 향상했다. 카카스 프로파일(OCCS)를 적용하여 타이어 공기압의 균형을 유지하며 고속 주행 시 최적의 구조 형상으로 고속 조종의 안정성을 강화했다. 트레드 블록 사이에 돌기 장치를 함으로써 주행 시 발생하는 트레드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트레드 강성 및 배수 간격을 유지시키는 최첨단 테크놀로지를 적용하였다. 3D 나노 실리카 기술로 빗길 브레이킹과 주행 성능이 월등히 향상되었으며 필러 결합 기술을 적용하여 고주파 제동 영역에서 탄성을 유지시켜 빗길 주행성능을 향상시켰다. 듀얼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컴파운드를 적용하여 브레이킹과 눈 길 주행성능을 강화하였다. 특수 폴리머 및 필러를 조합하여 타이어의 사계절 성능을 위해 넓은 온도 범위에서 강성과 유연성의 조화를 제공한다. 엔페라 AU7은 내부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다. 타이어 내부면에 우수한 흡음 성능을 가진 패드를 부착하여 주행 시 발생하는 타이어 내부 공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18% 소음을 저감한다. 타이어 내부에 특수 물질을 도포하여, 날카로운 이물질이 타이어 표면을 관통하여도 실란트 물질이 관통 부위로 이동하여 공기 누출 없이 정상 주행 가능한 신개념 타이어이다.
  • 엔페라 AU5 : 인사이드와 아웃사이드의 최적 블록 강성 및 접지로 핸들링 및 제동 성능을 향상했다. 빗길 주행 시 발생하는 수막현상을 저감시켜 안정성을 향상했다. 곡선형 횡 그루브와 횡 사이프의 복합 배열로 제동 성능을 최대로 확보했다. 그루브의 폭 설계 및 블록 균등 분할로 접지면에서 발생하는 타이어 소음을 최소화하여 정숙성을 극대화했다. 균일 접지 최적화를 통해서 이상 마모를 방지하고 신개념 신소재 기술 적용으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연비 성능과 마모 성능을 향상했다. 비대칭 패턴 디자인과 강성을 최적 배분했으며 블록 균등 분할로 향상된 진동 감소를 통해 장시간 운전에도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 엔프리즈 AH8 : 컴파운드 강성 제어를 통한 차량 핸들링 및 제동 성능을 최적화 하여 모든 도로 조건에서 최적의 주행 성능을 구현했다. 안정적 내후성 확보 설계로 사용 환경을 고려한 우수한 재료 조합을 통해 어떠한 기후조건에서도 뛰어난 주행 안정성을 발휘한다. 소음 저감 시뮬레이션 적용으로 음압을 효과적으로 줄여주어 더욱 정숙한 주행 성능을 실현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최적화 설계된 트레드 프로파일은 접지압 균등 배분 실현으로 이상 마모를 방지하고 더욱 길어진 트레드 수명을 제공한다.
  • 엔프리즈 AH5 : 4개의 직선형 그루브를 최적 설계하여 배수성능을 극대화하며 빗길 주행안정성을 향상했다. 숄더 블록 강성을 확보하면서 블록 엣지 형상을 보강한 설계로 코너링 성능 및 조종안정성을 강화했다. 숄더 블럭을 리브형으로 설계하여 부드러운 승차감과 정숙성을 실현했다. 커브와 횡그루브의 최적의 조합 설계로 변형 에너지를 분산하여 제동성능 강화 및 마모성능을 향상했다.
  • i.Q. 시리즈 1 : 4개의 직선 그루브의 최적 조합을 우수한 배수성능을 제공하여 젖은 노면에서 수막현상 예방으로 더욱 안정적인 빗길 주행이 가능하다. 5개의 최적 가변 피치가 주행 시 밸행되는 소음을 분산 시켜 낮은 음압과 부드러운 음색으로 정숙성 및 편안한 승차감을 실현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최적화된 블록 분할은 트레드 접지면에 균일하게 무게를 분산시켜 이상마모 방지 및 주행성능을 향상했다. 급격한 핸들 조작 시 차량의 중심 유지를 위한 숄더 블록 보강 설계로 탁월한 핸들링 및 마른 노면 제동성능을 강화했다. 기존의 믹싱 과정으로 혼합 불가능한 새로운 컴파운드를 신규 믹싱 공법 적용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기본제품 대비 보강제를 20% 증량시켜 마모성능을 더욱 향상시켰다. 보강제 강화와 친화력 높은 신규 폴리머 적용으로 컴파운드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 시 발생되는 변형을 최소화한다. 롱 체인 카본 블랙을 적용하여 폴리머-필러의 결합력 상승으로 마모 성능이 향상된다.
  • 마일캡 2 : 기존 제품 대비 마일리지가 약 130% 길어졌다. 넓은 트레드로 마모 성능이 대폭 업그레이드 되었으며 넓은 그루브 디자인으로 마모 후 젖은 노면에서도 성능을 유지한다. 내마모 성능을 극대화한 와이드 바디를 채용하였으며 타이어 숄더부위 강성 업그레이드로 조종 응답성을 강화했다. 블록 강성 강화 및 깊은 사이프 적용으로 마모 후에도 제동 성능 유지가 가능하다.
  • 마일캡 : 균일한 접지 압력 및 넓은 접지면을 확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빗길에서의 제동력을 극대화했다. 블럭 강성 최적화 설계로 노면 접지 시 접지 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편마모를 방지했다. 노면과 타이어가 일체감을 형성하여 접지 시 압력을 균일화한다.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기술을 적용하여 가장 쾌적하고 부드러운 드라이빙이 가능하다.
  • CP672

SUV용

밴, 소형트럭용

겨울용

신차용

PB용

주요 시설

기술

수상 실적

  • 2000년 07월 : 노동부 신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 2001년 03월 : 재정경제부 모범 납세자 산업포장 수상
  • 2001년 12월 : 증권거래소 2001년 상장사 중 24대 투명경영 우수기업 선정
  • 2002년 06월 : 한국회계학회 제 2회 투명회계대상 수상
  • 2002년 09월 : 행정자치부 장애인 고용촉진대회 대통령 표창 수상
  • 2002년 11월 : 한국국제상학회 국제통상 진흥인 대상 수상
  • 2004년 10월 : 한국디자인진흥원/지식경제부 대한민국 우수 산업디자인 상품전 산업지원부 장관상
  • 2005년 11월 : 한국무역협회 무역의 날 2억불 수출탑 수상
  • 2006년 03월 : 재정경제부 모범납세자 재정경제부 장관상
  • 2006년 11월 : 한국무역협회 무역의날 3억불 수출탑 수상, 한국디자인진흥원/지식경제부 대한민국 우수 산업디자인 상품전 디자인진흥 원장상 수상
  • 2007년 11월 : 한국무역협회 무역의 날 4억불 수출탑 수상
  • 2008년 11월 : 한국디자인진흥원/지식경제부 대한민국 디자인 대상 지식경제부 장관상 수상, 대한민국 우수산업 디자인 상품전 조달청장상 수상, 지식경제부 에너지 절약 촉진대회 지식경제부 장관상 수상
  • 2009년 11월 : 한국무역협회 무역의날 금탑산업훈장 수상
  • 2010년 12월 : 한국무역협회 무역의 날 5억불 수출탑 수상,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 제조업부분 웹어워드 코리아 최우수상 수상, 한국표준협회 타이어-제조업부분 대한민국 지속 가능 지수 (KSI) 1위 수상
  • 2011년 02월 : 한국 HRD 대상 '교육프로그램 부문 대상' 수상
  • 2011년 05월 : 관세청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 공인업체(AEO) 인증 획득
  • 2011년 06월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무재해 4배수 달성 인증
  • 2011년 07월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보건 우수사례발표대회 '직업건강 활동부문 우수상' 수상
  • 2011년 09월 : 한국경영인협회 2011 가장 존경받는 기업인상 수상
  • 2011년 12월 : 고용노동부 노사상생협력 유공 대통령표창 수상
  • 2012년 06월 : 한국경영인협회 '2012 대한민국 최고기업 대상' 수상
  • 2012년 07월 : 한국경제신문 제21회 다산경영상 창업기업인 부문, 일본능률협회컨설팅 2012 글로벌 고객만족도 타이어부문 1위 선정(3년 연속)
  • 2012년 11월 : 한국능률협회컨설팅 2012 한국의경영대상 마케팅대상 최우수상
  • 2012년 12월 : 한국무역협회 무역의 날 7억불 수출탑 수상
  • 2013년 01월 : 고용노동부 2012년 고용창출 우수기업 선정
  • 2013년 06월 : 일본능률협회컨설팅 2013 글로벌 고객만족도 타이어부문 1위 선정
  • 2014년 04월 : 고용노동부 2년연속 고용창출 우수기업 선정
  • 2014년 06월 : 일본능률협회컨설팅 2014 글로벌 고객만족도 타이어부문 5년 연속 1위
  • 2014년 11월 : 한국표준협회/산업통상자원부 제 40회 국가품질경영대회 국가품질경영상수상
  • 2015년 03월 : 고용노동부 3년연속 고용창출 우수기업 선정
  • 2015년 06월 : 일본능률협회컨설팅 2015 글로벌 고객만족도 타이어부문 6년 연속 1위
  • 2015년 11월 : 한국인터넷소통협회 2015 대한민국 소셜미디어 대상 자동차/항공/부품 부문 대상 수상
  • 2016년 03월 : 고용노동부 4년연속 고용창출 우수기업 선정
  • 2016년 06월 : 글로벌경영협회 2016 글로벌고객만족도 타이어 부문 7년 연속 1위
  • 2016년 12월 : 한국인터넷소통협회 2016 대한민국 인터넷 소통 대상 자동차/항공/부품 부문 대상 수상, 산업통상자원부 제53회 무역의 날, 8억불 수출탑 수상
  • 2017년 06월 : 글로벌경영협회 2017 글로벌고객만족도 타이어 부문 8년 연속 1위
  • 2018년 06월 : 글로벌경영협회 2018 글로벌고객만족도 타이어 부문 9년 연속 1위
  • 2019년 06월 : 글로벌경영협회 2019 글로벌고객만족도 타이어 부문 10년 연속 1위
  • 2020년 02월 : 더 넥센유니버시티 內 미디어 월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2020’본상 수상
  • 2020년 08월 : 글로벌경영협회 2020 글로벌고객만족도 타이어 부문 11년 연속 1위[1]


각주

  1. 1.0 1.1 1.2 넥센타이어 공식 홈페이지 - http://www.nexentire.com/kr/
  2. 넥센타이어〉, 《위키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가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넥센타이어㈜ 문서는 자동차 부품 회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