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BS110C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 역사 ==
 
== 역사 ==
초기모델은 앞문도 저상버스에 흔히 사용되던 중문과 같은 글라이딩 도어였다가(BC211은 2015년형부터 변경됨) 2010년에 "경제형"으로 출시된 크롬저상부터 폴딩 도어로 바뀌었고,[103] 좌석 수도 28석에서 25석[104]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초기에는 앞문 출입문 손잡이 봉이 2개였지만 2010년 3월부터 1개로 줄어들었다 그외에는 앞 범퍼의 헤드라이트 부분이 검은색이 아닌 기존 차체와 동일한 색깔이 적용되었고(2011년형까지),[105] 후방 5, 6번째 창문 밑에 달려있는 검은 테두리 부분이 크롬저상 이후론 삭제된 것이 특징. 그리고 BS090, BS106 2세대 모델처럼 2013년 이후의 모델은 뒷문 닫힘음이 띠띠띠 소리가 나는 차량도 있다. 자동변속기는 앨리슨제(T 계열)가 기본이고 2009년과 2010년 사이에 5단에서 6단으로 변경됐다.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6AP 계열)는 옵션인데, 업계의 전반적인 평가는 ZF의 에코라이프가 연비도 더 좋고 출력도 잘 전달된다는 평. 그래서 KD에서 구매하는 BS110은 전량 에코라이프 자동변속기를 채용해서 출고된다. 남부지방(주로 울산을 제외한 부산, 경남) 쪽으로 가면 앨리슨제 변속기를 단 차량이 많은 편인데, 앨리슨의 정비공장이 남부지방에 많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있다. 한 예로 대구의 세운버스는 저상버스에 100% 앨리슨만 달고 나왔다.  
+
2002년부터 생산된 전장 12m (120CN), 11m (110CN)급의 저상버스이다. 무계단 저상 구조로 되어 있으며 후문에는 장애인용 리프트 장치가 되어 있다. BS 모델 중에서는 유일하게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하며 닐링을 사용할 수 있다. 기어 핸들 설치가 곤란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ZF제 혹은 GM-앨리슨제 버튼식 자동변속기가 적용된다. BS106과 동일한 300마력 DL08K 커먼레일 디젤 엔진과 290마력 GL11K CNG 엔진을 사용한다. BS110CN / BS120CN 로얄 논스텝은 현대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보다 길이가 조금 길다. BS110CN 역시 CNG 모델은 2007년 6월, 디젤 모델은 2007년 11월 BC211M 로얄하이시티와 유사한 신설계 차체를 적용해 풀모델체인지에 준하는 수준의 마이너 체인지를 하여 2008년식이 선보이면서 이를 일명 논스텝팬더라고 부른다. 그러나 2009년 6월 15일에 결함을 이유로 리콜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20] BS120CN 로얄논스텝 F/L은 국내에서 경찰버스로만 뽑은적이 있었으나, 시내버스로는 한군데도 출고한적이 없었다.[21] 2010년에 앞 가니시와 라이트 아이라인 색상을 변경하고, 전문을 글라이딩 도어에서 타는문만 폴딩 도어로, 시트 구조를 28인승에서 25인승으로, 변속기를 자동 5단에서 6단으로 변경한 2011년형이 출시되었다. 그리고 통유리와 수평와이퍼 옵션이 사라지거나 판매가 급감한 BS120CN 로얄논스텝 F/L 모델이 단종되었다. 그래서 BS110CN 로얄논스텝만 정식 모델이 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BS110CN 저상버스 표준모델이다. 디젤 모델은 별도의 주문생산으로, CNG 모델은 정식 시판했다. BS110CN 로얄논스텝 디젤 모델의 외곽 운행 시 연비는 평균 2.8km/l이다. 2011년 12월 14일, New BS110 뉴로얄논스텝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전후륜휠 10홀 10핀이다. 유로6 규제가 시작되면서 천연가스 모델은 2014년부터 두산인프라코어의 GL11P (310ps / 120kg.m) 이 탑재되기 시작했고 EURO6이라는 마크가 부착되었다. 디젤 모델은 2015 후반기부터 커민스 ISL 8.9 (300ps / 120kg.m)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유로6 마크도 커민스 마크로 변했다.<ref>자일대우 BS 위키 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8C%80%EC%9A%B0_BS</ref>
 
 
반면 대전에서는 1965년에 국내 최초로 윤번 공동배차제를 도입하면서 경쟁보다는 담합이 일상화된 대전시내버스 특유의 악습기업문화 탓에 전 차량 ZF의 변속기를 쓴다. 세종교통이나 덕성여객 외에는 대전 근처에서 앨리슨제 변속기를 단 차량을 보기가 대단히 어렵다. 공인 정비소가 인접 지역에 있는 영향 때문인지 청주 시내버스도 BS110의 경우 모두 ZF 자동변속기를 사용한다. BS110CN은 BS110으로 모델명이 변경되었다. BS110은 NEW BS모델부터 자동변속기 제조사에 따라 기어레버의 위치가 달라졌다. 위 사진처럼 카스테레오 아랫쪽에 있는 길쭉하게 움푹 들어간 공간에 ZF제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달리며, 앨리슨제 변속기를 선택하면 주차브레이크 아랫쪽(위의 사진에서는 노란색 라이트가 보이는 쪽)에 달리므로 승차문, 카스테레오, 요금통 쪽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2014년 이후로는 앨리슨 자동변속기가 약간 바뀌면서 초기 모델과는 달리 화이버드처럼 앨리슨 자동변속기 버튼이 내장식이 아닌 돌출되어 나오는 형태로 바뀌었다. 그 전에는 ZF제나 앨리슨제나 모두 기어 버튼이 카스테레오 아래쪽에 있었다. ZF제는 가로로 기어버튼을 놓았고 앨리슨제는 초기형의 경우 돌려서 놨다가[110] 2006년 이후로는 세로로 돌려 기어버튼을 놓았다. 앨리슨은 기어버튼 위에 6X식으로 기어 셀렉터를 표시했다. 2014년형 모델부터는 중문 이후 바닥이 로우플로어에서 로우엔트리로 변경되었다. 수출용 모델의 경우 3문형으로 생산하기도 한다. 2016년에 앨리슨 6단 자동변속기의 기어셀렉터 표시부 글자체가 바뀌었다. 2017년부터는 커민스 ISL 디젤엔진은 기존에 300마력에서 무려 330마력으로 끌어올렸고 가스엔진은 2015년식과 똑같이 310마력이다. 그리고 두산인프라코어 디젤엔진에서 유로6 기준을 드디어 충족함에 따라 2017년부터 마이너 옵션으로 300마력 DL08P 엔진을 선택할 수 있다.<ref name="자일대우"></ref>
 
  
 
== 제원 ==
 
== 제원 ==
92번째 줄: 90번째 줄:
 
* 구기성 기자,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709111740451 국내 전기저상버스도 춘추전국시대 맞아]〉, 《오토타임스》, 2017-09-12
 
* 구기성 기자,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709111740451 국내 전기저상버스도 춘추전국시대 맞아]〉, 《오토타임스》, 2017-09-12
 
* 정치연 기자, 〈[https://www.etnews.com/20171214000073 (이슈분석) 불붙는 전기버스 경쟁...기술력 앞세운 '한국' vs 가성비 높은 '중국'
 
* 정치연 기자, 〈[https://www.etnews.com/20171214000073 (이슈분석) 불붙는 전기버스 경쟁...기술력 앞세운 '한국' vs 가성비 높은 '중국'
 +
* 자일대우 BS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8C%80%EC%9A%B0_BS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0년 12월 14일 (월) 14:01 판

자일대우상용차㈜(Zyle Daewoo Commercial Vehicle Co., Ltd.)
자일대우상용차㈜(Zyle Daewoo Commercial Vehicle Co., Ltd.)

디투피(D2P)는

개요

BS110CN은 1986년에 대우자동차 시절에 출시한 자일대우상용차의 중형버스, 준대형버스 시리즈이다. 2004년 후반에 인천 시영운수의 주문제작이 시초가 되어 전장을 11m로 줄인 주문형 모델인 BS110CN이 출시되었다. 자일대우상용차의 모든 시내버스 모델은 이 라인업을 따른다. BS110CN은 인천에서 운용한 이후 상대적으로 기동성이 좋은 BS110CN을 다른 곳에서도 많이 주문하게 되어 정식 모델로 승격되었다. BS110CN은 BS110으로 모델명이 변경되었다.[1]

특징

뉴 BS110 초저상 전기버스는 순수 전기로만 구동되는 차량이다. 뉴 BS110CN은 240KW급(120KW X 2) 듀얼 전기모터를 장착해 최고속도 100km/h, 경사각 30% 등판능력을 갖춰 도시형 시내버스로 손색이 없다. 20분내 급속 충전이 가능하고 한번 충전으로 200km를 주행할 수 있다.[2] BS110CN-EV는 150㎾ 모터 2개와 160Ah 용량의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탑재했다.[3][4]

역사

2002년부터 생산된 전장 12m (120CN), 11m (110CN)급의 저상버스이다. 무계단 저상 구조로 되어 있으며 후문에는 장애인용 리프트 장치가 되어 있다. BS 모델 중에서는 유일하게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하며 닐링을 사용할 수 있다. 기어 핸들 설치가 곤란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ZF제 혹은 GM-앨리슨제 버튼식 자동변속기가 적용된다. BS106과 동일한 300마력 DL08K 커먼레일 디젤 엔진과 290마력 GL11K CNG 엔진을 사용한다. BS110CN / BS120CN 로얄 논스텝은 현대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보다 길이가 조금 길다. BS110CN 역시 CNG 모델은 2007년 6월, 디젤 모델은 2007년 11월 BC211M 로얄하이시티와 유사한 신설계 차체를 적용해 풀모델체인지에 준하는 수준의 마이너 체인지를 하여 2008년식이 선보이면서 이를 일명 논스텝팬더라고 부른다. 그러나 2009년 6월 15일에 결함을 이유로 리콜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20] BS120CN 로얄논스텝 F/L은 국내에서 경찰버스로만 뽑은적이 있었으나, 시내버스로는 한군데도 출고한적이 없었다.[21] 2010년에 앞 가니시와 라이트 아이라인 색상을 변경하고, 전문을 글라이딩 도어에서 타는문만 폴딩 도어로, 시트 구조를 28인승에서 25인승으로, 변속기를 자동 5단에서 6단으로 변경한 2011년형이 출시되었다. 그리고 통유리와 수평와이퍼 옵션이 사라지거나 판매가 급감한 BS120CN 로얄논스텝 F/L 모델이 단종되었다. 그래서 BS110CN 로얄논스텝만 정식 모델이 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BS110CN 저상버스 표준모델이다. 디젤 모델은 별도의 주문생산으로, CNG 모델은 정식 시판했다. BS110CN 로얄논스텝 디젤 모델의 외곽 운행 시 연비는 평균 2.8km/l이다. 2011년 12월 14일, New BS110 뉴로얄논스텝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전후륜휠 10홀 10핀이다. 유로6 규제가 시작되면서 천연가스 모델은 2014년부터 두산인프라코어의 GL11P (310ps / 120kg.m) 이 탑재되기 시작했고 EURO6이라는 마크가 부착되었다. 디젤 모델은 2015 후반기부터 커민스 ISL 8.9 (300ps / 120kg.m)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유로6 마크도 커민스 마크로 변했다.[5]

제원

분류 2020 SMART EV D2P
가격 1,980만 원
연료 전기
연비 자동 5.2 km/kWh (하이브리드)
승차인원 1인승
구동방식 -
변속기 자동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101km
에너지용량 17.4kWh
모터 최대출력 -
모터 최대토크 -
전장 3,085mm
전폭 1,495mm
전고 1,560mm
축거 1,760mm
윤거전 1,315mm
윤거후 1,305mm
공차중량 -
전륜제동장치 디스크
후륜제동장치 디스크

논란

국토해양부는 대우버스㈜에서 제작·판매한 `대우버스 BS110CN`에 대한 자기인증적합조사를 실시한 결과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사항이 발견돼 리콜을 실시한다고 2009년 6월 14일 밝혔다. 리콜 사유는 운전석 의자 내장재의 난연성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 전파속도가 빨라 인명 또는 차량 피해를 확산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리콜대상은 2008년 4월24일에서 12월9일 사이 생산해 판매한 BS110CN 차종 149대로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대우버스㈜ A/S사업소 또는 지정 정비공장에서 무상수리를 받을 수 있다.[6]

각주

  1. 자일대우버스 BS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9E%90%EC%9D%BC%EB%8C%80%EC%9A%B0%EB%B2%84%EC%8A%A4%20BS
  2. 이진철 기자, 〈대우버스, 부산모터쇼서 신차 `레스타` 첫 공개〉, 《이데일리》, 2012-05-22
  3. 구기성 기자, 〈국내 전기저상버스도 춘추전국시대 맞아〉, 《오토타임스》, 2017-09-12
  4. 정치연 기자, 〈[https://www.etnews.com/20171214000073 (이슈분석) 불붙는 전기버스 경쟁...기술력 앞세운 '한국' vs 가성비 높은 '중국'
  5. 자일대우 BS 위키 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C%EB%8C%80%EC%9A%B0_BS
  6. 박성호 기자, 〈국토부, 대우버스 `BS110CN` 차종 리콜〉, 《이데일리》, 2009-06-14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BS110CN 문서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