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BEV3 플랫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얼티엄 배터리)
(쥐엠씨 EV 험머)
18번째 줄: 18번째 줄:
 
==적용 모델==
 
==적용 모델==
 
===캐딜락 리릭===
 
===캐딜락 리릭===
===쥐엠씨 EV 험머===
+
===GMC 허머 EV===
 +
====SUT 버전====
 +
[[파일:허머 EV SUT.jpg|썸네일|300픽셀|'''허머 EV SUT'''(Hummer EV SUT)]]
 +
 
 +
허머 EV SUT는 제너럴모터스의 모든 기술을 집약하여 야심차게 공개한 [[오프로드]] [[픽업트럭]]으로, 다양한 첨단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ref>최태인 기자,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151 '대기만 1년' GMC, 1,000마력 몬스터 픽업 '허머EV'. 사전계약 10분 만에 완판]〉, 《오토데일리》, 2020-10-22</ref> 먼저 제너럴모터스의 최신 얼티엄(Ultium) [[배터리]]가 제공하는 [[전기에너지]]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전기자동차]] 드라이브 유닛인 얼티엄 드라이브로부터 추진 동력을 공급받는다. 얼티엄 드라이브는 2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유닛 내에 있는 3개의 개별 [[모터]]로 동급 최고의 1,000마력과 11,500lb.ft 의 토크를 발휘하며, e4WD라 불리는 허머 EV의 첨단 [[사륜구동]] 시스템에 탁월한 [[온로드]] 및 [[오프로드]] 퍼포먼스를 제공한다.<ref>구기성 기자,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nkey=202010211021541 GMC, 1,000마력 내는 전기트럭 '허머 EV' 공개]〉, 《오토타임즈》, 2020-10-21</ref> 또한, 최대 350kW의 [[고속충전]] 시스템이 적용된 800 볼트급 대용량 배터리를 바탕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충전 능력을 비롯, 한 번 완충으로 563 키로미터 이상의 내부 테스트 주행거리 결과를 기록하는 등 픽업트럭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전비 효율을 자랑한다.<ref>김훈기 기자,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169 (오토포토) GMC 허머 EV 완전 공개 '1000마력·완충시 563km 달리는 야수']〉, 《오토헤럴드》, 2020-10-21</ref> 허머 EV는 모든 장애물과 지형지물을 정복할 수 있게 하는 첨단 테크놀로지를 탑재한 오프로드 EV 슈퍼트럭을 지향할 뿐만 아니라 주행거리와 퍼포먼스를 극대화하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설계되었다.
 +
 
 +
====SUV 버전====
 +
[[파일:허머 EV SUV.jpg|썸네일|300픽셀|'''허머 EV SUV'''(Hummer EV SUV)]]
 +
 
 +
허머 EV SUV는 허머 EV의 [[SUV]] 버전으로, 허머 EV SUT에서 선보인 바 있는 다양한 첨단기술이 장착되어 있다. 허머 EV SUV는 먼저 공개되었었던 픽업트럭 버전에 비해 차체 길이가 약 22.9mm 가량 짧아졌다. 대신, 그만큼 더 높은 램프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오프로드 주파 성능은 픽업트럭 버전을 더욱 앞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거 단종된 H2와 H3를 연상케 하면서도 현대적인 세련미를 갖춘 스타일링으로 완성되어, 더욱 매력적인 외관을 보여준다.<ref>김한솔 기자, 〈[https://www.top-rider.com/news/articleView.html?idxno=60876 GMC 허머 EV SUV가 온다, 830마력·483km 주행]〉, 《탑라이더》, 2021-04-07</ref> 허머 EV SUV는 전기자동차로서 막강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제너럴모터스의 차세대 [[전기자동차 플랫폼]]인 얼티엄(Ultium) [[플랫폼]]과 얼티엄 드라이브 시스템에 기반해 설계된 허머 EV SUV는 830마력의 최고출력과 약 1590kg.m의 최대토크를 뿜어낸다. 그리고 이 막대한 동력을 통해 풀사이즈 SUV임에도 불구하고 약 96km/h 가속을 단 3.5초 만에 해치울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허머 EV SUV는 자차에 탑재된 막대한 양의 [[배터리]]를 활용해 다른 전기차를 충전시켜줄 수도 있는 [[충전기]] 역할도 해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ref>권지용 기자, 〈[https://www.motorgraph.com/news/articleView.html?idxno=27462 '오리지널의 귀환' GM, 830마력 허머 EV SUV 공개]〉, 《모토그래프》, 2021-04-06</ref> 허머 EV SUV는 오프로드 성능 면에 있어서 먼저 공개된 픽업트럭 버전에 비해 월등한 능력을 발휘한다. 9인치 짧아진 [[차체]] 및 [[휠베이스]] 덕분에 램프각이 더욱 커져 장애물 통과 시 더욱 유리하다.<ref>기노현 기자, 〈[https://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53 830마력의 GMC 허머 EV SUV, 픽업트럭보다 느린 이유는?]〉, 《오토트리뷴》, 2021-04-08</ref>
 +
 
  
 
{{각주}}
 
{{각주}}

2021년 10월 7일 (목) 11:03 판

BEV3 플랫폼(Battery Electric Vehicle 3 Platform)

BEV3 플랫폼(Battery Electric Vehicle 3 Platform)은 2020년 3월에 열린 EV 위크에서 제너럴모터스(GM; General Motors Corporation)가 공개한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이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한국 ㈜엘지화학의 합작사인 얼티엄셀즈에서 새롭게 개발한 얼티엄 배터리(Ultium Battery)라는 차세대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한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

제너럴모터스(GM)는 미국에 기반을 둔 자동차 제조 기업이다. 간략히 GM(지엠)이라고 한다. 제너럴모터스는 뷰익(Buick), 캐딜락(Cadillac), 쉐보레(Chevrolet), 지엠씨(GMC), 홀덴(Holden)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자회사와 상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계열사로는 온스타(Onstar), 아담오펠(Adam Opel), 지엠홀덴(GM Holden), 지엠캐피탈(GM Capital) 등이 있으며 북미 이외의 24개국에서 28개의 자회사를 가지고 169개국에서 자동차를 판매하는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이다. 제너럴모터스는 주요 사업부문인 자동차 제조 외에도 금속제품, 디젤엔진, 가전기기, 군사방어체계, 우주항공 부문까지 사업 분야를 넓히고 있다.[1] 제너럴모터스는 전기자동차 분야에도 많은 관심이 있었는데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 요소와 소비자 선호도가 정확하지 않아 전기자동차 개발에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2019년 미국의 테슬라(Tesla)가 전기자동차를 통해 얻은 큰 성공은 시장 전망이 불확실했던 전기자동차 시장을 환하게 밝혀주었고 이는 제너럴모터스가 전기자동차 시장에 뛰어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2020년 03월, EV 위크에서 새로 개발한 얼티엄 배터리와 함께 이를 동력원으로 하는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BEV3 플랫폼을 공개하며 소비자들의 찬사와 이목을 끌게 된다. 제너럴 모터스의 회장 겸 CEO인 메리 바라는 “우리가 한 일은 훨씬 덜 복잡하고 훨씬 더 유연하게 우리의 풀사이즈 트럭 사업에 필적하는 규모의 경제를 가진 다중 브랜드, 다중 세그먼트 EV 전략을 구축한 것”이라고 말했다.[2] 이는 제너럴모터스가 생산하는 전기차는 모두 BEV3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될 것을 암시하며 2020년 3월에 공개된 캐딜락 리릭(Lyriq)을 처음으로 다양한 전기자동차 라인업을 구축할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제너럴모터스는 차세대 전기차와 슈퍼 크루즈 기술을 연동한 자율주행차 양산은 물론, 메이븐(Maven) 등 자체 카쉐어링 브랜드를 통한 공유 경제로 영역을 넓혀 미래 자동차 산업을 선점할 게획이라고 밝혔으며 늘 자동차 산업에서 앞선 기술력을 자랑해온 제너럴모터스가 차세대 전기차 시장에서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지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3]

제품

BEV3 플랫폼

제너럴모터스는 2020년 03월에 열린 EV 위크에서 새로 개발한 얼티엄 배터리와 함께 이를 동력원으로 하는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BEV3 플랫폼을 공개했다. 전기자동차 플랫폼인 BEV3의 가장 큰 특징은 차종을 가리지 않는 범 적용성이다. 제너럴모터스는 BEV3 플랫폼이 SUV, 크로스오버, 승용 모델, 상용차 등 다양한 자동차 제작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4] 또한 토지와 건물은 물론 차체 및 도장 공장과 같은 생산 설비등 기존 자산을 활용해 전기차 사업에 들어가는 투자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함으로써 자본의 효율성에 집중할 수 있다. 제너럴모터스는 전기자동차를 제작할 때 BEV3 플랫폼을 적용하게 되면서 단순한 부품 조립 방식으로 차량을 설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복잡성을 줄임과 동시에 차량과 차량 구동 시스템 부분에서 부품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었는 데, 기존 내연기관 모델에는 550가지의 파워트레인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BEV3 플랫폼을 통해 단 19가지의 배터리 및 드라이브 유닛 조합만으로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3] 비용절감과 범용성뿐만 아니라 제너럴모터스는 전기자동차에 BEV3 플랫폼을 적용하면서 각 차량마다 제한되었던 구동방식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되었다. 쉐보레 볼트(Chevrolet Bolt)가 기반하고 있는 BEV2 플랫폼, 1990년대 EV1이 기반하고 있는 BEV1 플랫폼에 이은 3세대 전기차 플랫폼 BEV3는 폭스바겐(Volkswagen)의 MEB 플랫폼과 유사한 형태의 플랙시블 전기차 아키텍처로 서로 다른 3개 스타일의 얼티엄 배터리 팩에 더해 다양한 인하우스 전기 모터전륜구동, 후륜구동, 사륜구동, 퍼포먼스 사륜 구동(performance all-wheel drive) 등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이다.[5] BEV3 플랫폼은 증가하는 전기자동차 고객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전망이다. 미국 내 전문가들은 미국의 전기차 판매량이 2025년부터 2030년 사이 약 300만대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제너럴모터스는 대표 자동차 세그먼트에서의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 충전소 인프라 구축 그리고 전기자동차 유지비용의 지속적인 감소에 따라 전기차 판매량이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배터리 셀 제조가 수직적으로 통합됨에 따라 제너럴모터스는 타사에 라이선스 기술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BEV3 플랫폼은 제너럴모터스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될 것으로 보인다. 제너럴모터스 역시 전기차 프로그램을 충분히 수익성 있는 사업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동시에 또 다른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너럴모터스는 BEV3 플랫폼을 적용한 캐딜락 리릭과 쥐엠씨 허머 EV(Hummer EV)를 출발로 다양한 라인업 구축에 몰두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 최대 22종의 전기차를 출시함에 따라 향후 5년 내로 전기차 판매 100만대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3]

얼티엄 배터리

얼티엄 배터리는 제너럴모터스와 LG화학의 합작사인 얼티엄셀즈에서 새롭게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이다. 제너럴모터스의 신형 얼티엄 배터리는 대형 파우치 형태의 장축셀배터리 팩 내부에 가로 혹은 세로로 배치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구조로 설계돼 업계에서 매우 특별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각 차량의 디자인에 따라 배터리 공간과 레이아웃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6] 기존 '1+1+1'의 3단 배열에서 '1+1' 2단 배열을 채택하게 되면서 에너지 밀도를 효율적으로 끌어올렸으며 일부 차종의 경우 전통적인 'T'자 배열의 ICE 플랫폼을 사용하지만, 대부분은 2단 배열 모듈을 적용할 계획이다. 얼티엄 배터리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통해 배터리 팩 내부에서 모듈을 수직 혹은 수평으로 쌓아서 에너지 스토리지와 레이아웃의 유연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며 제너럴모터스는 한 개 배터리 팩 내에 6~12개의 모듈을 쌓을 수 있고 더블 레이어 배터리 팩의 경우 최대 24개까지 쌓을 수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 원통형 셀 20개로 낼 수 있는 전력을 얼티엄 배터리 100Ah 셀 하나로 낼 수 있는 경쟁력을 가진셈이다. 최소 규모인 6 모듈 팩의 경우 50kWh, 24 모듈 더블 레이어 팩의 경우 최대 200kWh의 동력을 낼 수 있다. 이 중 200kWh, 800V 얼티엄 배터리 팩을 탑재한 EV의 경우 단일 충전으로 최대 650km을 주행할 수 있으며 3초 내로 시속 100km/h까지 가속이 가능하다.[5] 얼티엄 배터리가 차세대 배터리로 떠오른 이유로 차별화된 구조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구성하는 성분이 자동차 주행성능을 향상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도 주목해야한다. 니켈이 많을수록 에너지밀도가 높아져 고용량 제품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배터리 제조사는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하이니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 얼티엄 배터리의 경우 니켈, 코발트, 망가니즈, 알루미늄을 양극재로 사용하여 개발한 리튬이온 배터리로, 기존의 NCM 배터리보다 코발트 함량을 70% 줄이는 대신 알루미늄을 추가하고 니켈양을 늘린 새로운 유형의 NCMA 배터리다. [8] 니켈 함량을 높인 NCMA는 기존 배터리 셀보다 60% 더 많은 에너지 용량을 생성하고 셀 간 공간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니켈 비중이 높은 배터리를 전기차에 탑재할 경우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고, 동일한 용량의 배터리를 더 적은 무게와 작은 부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격 변동성이 크고 고가의 광물인 코발트 함량을 줄일 수 있어 업체 입장에서는 원가 경쟁력 확보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니켈의 함량을 높여 에너지밀도를 증가시킨 만큼 많은 양의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면 구조적으로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터리 구성 성분에 알루미늄을 추가해 출력을 더욱 높여주고 화학적 불안정성을 낮추는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된다.[9] 코발트 함량을 줄이고 니켈 함량을 높이는 특허 기술이 적용되면서 배터리 셀 비용을 1kWh당 100달러 미만으로 낮출 예정이며 계속되는 기술 및 제조 혁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비용을 낮춰 나갈 계획이다. 또한 제너럴모터스의 새로운 글로벌 전기차 플랫폼은 돋보이는 디자인, 퍼포먼스, 배터리 패키징, 주행 거리, 합리적인 가격을 바탕으로 SUV, 크로스오버, 승용모델, 상용차 제작에 모두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이다.[7]

적용 모델

캐딜락 리릭

GMC 허머 EV

SUT 버전

허머 EV SUT(Hummer EV SUT)

허머 EV SUT는 제너럴모터스의 모든 기술을 집약하여 야심차게 공개한 오프로드 픽업트럭으로, 다양한 첨단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10] 먼저 제너럴모터스의 최신 얼티엄(Ultium) 배터리가 제공하는 전기에너지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전기자동차 드라이브 유닛인 얼티엄 드라이브로부터 추진 동력을 공급받는다. 얼티엄 드라이브는 2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유닛 내에 있는 3개의 개별 모터로 동급 최고의 1,000마력과 11,500lb.ft 의 토크를 발휘하며, e4WD라 불리는 허머 EV의 첨단 사륜구동 시스템에 탁월한 온로드오프로드 퍼포먼스를 제공한다.[11] 또한, 최대 350kW의 고속충전 시스템이 적용된 800 볼트급 대용량 배터리를 바탕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충전 능력을 비롯, 한 번 완충으로 563 키로미터 이상의 내부 테스트 주행거리 결과를 기록하는 등 픽업트럭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전비 효율을 자랑한다.[12] 허머 EV는 모든 장애물과 지형지물을 정복할 수 있게 하는 첨단 테크놀로지를 탑재한 오프로드 EV 슈퍼트럭을 지향할 뿐만 아니라 주행거리와 퍼포먼스를 극대화하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설계되었다.

SUV 버전

허머 EV SUV(Hummer EV SUV)

허머 EV SUV는 허머 EV의 SUV 버전으로, 허머 EV SUT에서 선보인 바 있는 다양한 첨단기술이 장착되어 있다. 허머 EV SUV는 먼저 공개되었었던 픽업트럭 버전에 비해 차체 길이가 약 22.9mm 가량 짧아졌다. 대신, 그만큼 더 높은 램프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오프로드 주파 성능은 픽업트럭 버전을 더욱 앞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거 단종된 H2와 H3를 연상케 하면서도 현대적인 세련미를 갖춘 스타일링으로 완성되어, 더욱 매력적인 외관을 보여준다.[13] 허머 EV SUV는 전기자동차로서 막강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제너럴모터스의 차세대 전기자동차 플랫폼인 얼티엄(Ultium) 플랫폼과 얼티엄 드라이브 시스템에 기반해 설계된 허머 EV SUV는 830마력의 최고출력과 약 1590kg.m의 최대토크를 뿜어낸다. 그리고 이 막대한 동력을 통해 풀사이즈 SUV임에도 불구하고 약 96km/h 가속을 단 3.5초 만에 해치울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허머 EV SUV는 자차에 탑재된 막대한 양의 배터리를 활용해 다른 전기차를 충전시켜줄 수도 있는 충전기 역할도 해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4] 허머 EV SUV는 오프로드 성능 면에 있어서 먼저 공개된 픽업트럭 버전에 비해 월등한 능력을 발휘한다. 9인치 짧아진 차체휠베이스 덕분에 램프각이 더욱 커져 장애물 통과 시 더욱 유리하다.[15]


각주

  1. 제너럴모터스〉, 《네이버 지식백과》
  2. GM Reveals New Ultium Batteries and a Flexible Global Platform to Rapidly Grow its EV Portfolio〉, 《GM 뉴스룸》, 2020-03-04
  3. 3.0 3.1 3.2 오토다이어리, 〈GM 미래전략 키워드 두개 얼티업 배터리와 BEV3 플랫폼〉, 《네이버 포스트》, 2020-10-30
  4. 치로, 〈EV전용 전기차 플랫폼 /폭스바겐 : MEB/ GM : 얼티엄 베터리 + BEV3 / 현대자동차 : E-GMP/ 도요타 : E-TNGA / 테슬라 FSD, 자율주행 구독경제 준비중〉, 《네이버 블로그》, 2020-09-15
  5. 5.0 5.1 로아, 〈GM, 모듈형 배터리 아키텍쳐 Ultium & 3세대 EV 플랫폼 BEV3 공개〉, 《로아리포트》, 2020-03-05
  6. GM, 신규 ‘얼티엄(Ultium)’ 배터리 및 차세대 글로벌 플랫폼 공개〉, 《모토야》, 2020-03-09
  7. 7.0 7.1 김도현 기자, 〈(CES2021) "한 번 충전으로 700km"…GM-LG '얼티엄 배터리' 공개〉, 《디지털데일리》, 2021-01-13
  8. 방정환 기자, 〈GM, 얼티움(Ultium) 배터리로 테슬라 추격〉, 《철강금속신문》, 2020-03-26
  9. 구윤모 기자, 〈(Tech 스토리) 전기차 배터리, '니켈 함유량' 경쟁…'하이니켈' 왜 뜨나〉, 《뉴스핌》, 2020-09-06
  10. 최태인 기자, 〈'대기만 1년' GMC, 1,000마력 몬스터 픽업 '허머EV'. 사전계약 10분 만에 완판〉, 《오토데일리》, 2020-10-22
  11. 구기성 기자, 〈GMC, 1,000마력 내는 전기트럭 '허머 EV' 공개〉, 《오토타임즈》, 2020-10-21
  12. 김훈기 기자, 〈(오토포토) GMC 허머 EV 완전 공개 '1000마력·완충시 563km 달리는 야수'〉, 《오토헤럴드》, 2020-10-21
  13. 김한솔 기자, 〈GMC 허머 EV SUV가 온다, 830마력·483km 주행〉, 《탑라이더》, 2021-04-07
  14. 권지용 기자, 〈'오리지널의 귀환' GM, 830마력 허머 EV SUV 공개〉, 《모토그래프》, 2021-04-06
  15. 기노현 기자, 〈830마력의 GMC 허머 EV SUV, 픽업트럭보다 느린 이유는?〉, 《오토트리뷴》, 2021-04-08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BEV3 플랫폼 문서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