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실린더(key cylinder)는 키(key, 열쇠)를 꽂고 돌림으로써 열리는 자물쇠이다. 키실린더는 도어, 점화스위치, 트렁크리드, 백도어, 글러브박스 등에 설치되어 있다. 키는 모든 키 실린더에 유효한 마스터키와 점화 스위치에만 유효한 서브키의 조합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1][2]
키실린더는 예전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차 문을 열고 닫고 시동을 걸 때 사용했다. 요즘은 대부분 스마트키가 보편화되어 아날로그 타입 자동차 키는 보기 어려워지고 있다. 키실린더는 1949년 크라이슬러에 의해 키를 꼽고 돌리는 시동방식이 개발되어 과거에는 키박스에 키를 넣고 브레이크를 밟고 돌려서 시동을 거는 게 일반적이었으나 2010년 이후에는 대부분 시동버튼으로 대체되었다. 스마트키가 대중화함에 따라 시동 버튼 모양이나 위치도 다양해졌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 오른편에 시동버튼을 마련한다. 브랜드마다 개성을 강조하기 위해 시동버튼의 디자인이나 위치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 스타트키는 배터리로 작동하며 아날로그 키가 필요하다면 뒤쪽에 레버를 한쪽으로 밀어서 은색 부분을 열면 키가 나온다. 최근에는 별도의 키를 소지하지 않아도 시동을 걸 수 있는 차량도 등장했다.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현대 8세대 쏘나타는 스마트폰이 스마트키를 대체한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NFC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증을 거친 스마트폰만 소지만 하면 문을 열거나 시동을 걸 수 있다. 시동버튼이 아예 없어진 차량도 있다. 전기차를 선도하는 테슬라가 그렇다. 테슬라는 문을 열고 기어의 위치를 D로 바꾸면 출발 준비가 끝난다.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전기모터로 차량을 구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시동 버튼이 필요하지 않다.[3]
자동차 산업이 막 태동하던 1800년대 후반에는 별도의 시동 키가 없었다. 때문에 과거 경운기 시동을 걸 듯 쇠막대기를 플라이 휠에 꼽고 강한 힘으로 돌려야 했다. 시동을 걸다가 턱이나 팔을 다치는 경우도 왕왕 발생했다. 시동을 거는데 강한 힘이 필요해 건장한 성인 남성이 아니면 아예 엄두를 내지 못했다. 이후 과거 군용차에서 볼 수 있는 셀프 스타터 방식 버튼 시동이 개발됐다. 1912년 미국인 C.F. 케터링이 처음 개발한 것으로 전기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시동이 걸리는 방식이며 캐딜락이 가장 먼저 도입했다. 과거보다 편리해진 방식으로 자동차 대중화를 이끈 시동방식으로 볼 수 있다. 키를 꼽고 돌리는 시동 방식은 1949년 크라이슬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턴키 스타터로 불린다. 1980년대에는 원격으로 차량의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리모트키가 등장했으며 본격적인 대중화는 1990년대부터다. 리모트 키의 등장과 함께 도난을 방지하는 기술도 발전했다. 1990년대 등장한 이모빌라이저다. 현재까지도 대중적으로 쓰이는 도난방지 기술로 스마트키나 아날로그 방식의 키 모두에 적용돼 있다. 이모빌라이저는 열쇠에 내장된 트랜스폰더라는 암호화된 칩과 키박스에 연결된 ECU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시동이 걸린다. 각 키마다 고유의 암호를 부여하기 때문에 키를 똑같이 복사하더라도 시동은 걸리지 않는다. 리모트키는 진화에 진화를 거듭해 키를 몸에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손잡이를 당겨 문을 열 수 있으며 운전석에 앉아 버튼만 누르면 시동까지 걸리다. 이 기능은 메르세데스-벤츠가 1999년 S클래스를 출시하면서 양산차에 처음 달았다. 일명 키리스 고 시스템으로 도어 핸들, 실내 및 트렁크 등에 위치한 센서가 차량 내 리모트키의 유무를 확인한다. 국산차에는 2000년대 중반이 되어서 고급차를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키박스 대신 시동버튼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4][5]
조작 방법[편집]
LOCK은 키를 꽂은 후 왼쪽방향으로 돌리면 맞춰진다. 키를 꽂고 그냥 돌리는 것이 아니라 키를 꽂은 상태에서 ACC까지만 키를 돌린 후 차키를 안쪽으로 더 밀어 넣은 상태에서 왼쪽으로 돌려야 한다. LOCK으로 맞추고 키를 뽑은 다음 자동차 핸들을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면 핸들 자체에 잠금이 설정되어 차량의 도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LOCK으로 잠긴 상태에서 무작정 시동을 걸려고 하면 키가 오른쪽으로 돌아가지 않으며 자동차의 핸들을 조금씩 좌우로 흔들어 주면서 키를 돌리면 LOCK이 풀려서 시동을 걸 수 있다.
차키를 키박스에 꽂은 후 한 번만 오른쪽으로 돌리면 ACC 위치에 가게 된다. 배터리 전원만으로 차량 내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이며 라디오, 내비게이션, 시계, 송풍 기능 등 차량 내 간단한 전기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다. ACC 단계에서는 배터리 전원으로만 일부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장시간 이용하면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ACC 단계에서 한 번 더 오른쪽으로 돌리면 차키가 ON에 위치하게 된다. ACC 모드에서 일부 전기장치를 이용할 수 있었다면 ON 단계에서는 모든 전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ON 모드가 되면 비로소 계기판도 점등되고 자동차의 컴퓨터가 작동하며 차량 곳곳을 점검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시동을 걸기 전 차량을 점검하는 단계이며 특히 겨울에는 시동을 걸기 전 ON 상태에서 2~3초 정도 머무른 후 시동을 거는 것이 좋다.
ON 단계에서 한 번 더 오른쪽으로 돌리면 START에 위치하며 시동이 걸린다. START 단계에서 시동을 걸고 나면 ACC나 ON에서 사용한 배터리가 충전되기도 하며 기어를 변동하여 주행할 수 있다. START 단계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시동이 걸리는 소리를 들으면 키에서 손을 떼야 한다. START 단계로 이동한 차키는 시동이 걸린 후 자연스럽게 ON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계속해서 START 단계에 있도록 붙잡고 있으면 스타트 모터가 손상을 입게 되고 틱틱틱 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6]
- ↑ 〈키 실린더〉, 《네이버 지식백과》
- ↑ 〈키박스〉, 《나무위키》
- ↑ 남현수, 〈사라지는 리모트키와 시동 버튼..전동화,스마트폰이 대체〉, 《이테일리》, 2019-06-19
- ↑ in_cross, 〈현대자동차 키 조작 법 - 스마트키 사용법 (시동이 안걸린다??)〉, 《티스토리》, 2020-12-05
- ↑ 〈당신이 몰랐던 스마트키의 모든 것〉, 《오토트리뷴》, 2018-10-15
- ↑ 〈자동차 키박스의 LOCK, ACC, ON, START의 의미는?〉, 《금호타이어》, 2016-12-15
참고자료[편집]
- 〈키 실린더〉, 《네이버 지식백과》
- 〈키박스〉, 《나무위키》
- 남현수, 〈사라지는 리모트키와 시동 버튼..전동화,스마트폰이 대체〉, 《이테일리》, 2019-06-19
- in_cross, 〈현대자동차 키 조작 법 - 스마트키 사용법 (시동이 안걸린다??)〉, 《티스토리》, 2020-12-05
- 〈당신이 몰랐던 스마트키의 모든 것〉, 《오토트리뷴》, 2018-10-15
- 〈자동차 키박스의 LOCK, ACC, ON, START의 의미는?〉, 《금호타이어》, 2016-12-15
같이 보기[편집]
 이 키실린더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자동차 종류,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에너지, 소재,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운전, 운송,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자동차 외장
|
19인치휠 • 20인치휠 • A필러 • B필러 • C필러 • D필러 • GT 타입 스포일러 • LED 가니쉬 • T바 루프 • VLS 도어 • 가니쉬 • 강화유리 • 거니 플랩 • 걸 윙 도어 • 경첩 • 고스트도어 • 공기흡입구 • 광택 • 그린하우스 • 그릴 • 그릴가드 • 단차 • 덮개 • 데크 • 도금 • 도료 • 도색 • 도어 • 도어가니쉬 • 도어바이저 • 도어패널 • 도어핸들 • 도장 • 도장면 • 두짝문 • 뒷문 • 뒷문손잡이 • 뒷문유리 • 뒷바퀴 • 뒷범퍼 • 뒷유리 • 뒷패널 • 뒷펜더 • 듀얼머플러 • 듀얼트윈머플러 • 디스어피어링 도어 • 디퓨저 • 라디에이터 그릴 • 라미네이트 글라스 • 레귤러 도어 • 로고 • 로어가니쉬 • 로커패널라인 • 롤바 • 루프 • 루프도어 • 루프라인 • 루프랙 • 루프레일 • 루프박스 • 루프백 • 루프스킨 • 루프 스포일러 • 루프캐리어 • 루프텐트 • 루프패널 • 리브 • 리어디퓨저 • 리어스텝 • 리어 스포일러 • 리어오버행 • 리어윙 • 리어필러 • 리프트 • 립 스포일러 • 마크 • 매트컬러 • 머드가드 • 머플러(배기구, 소음기) • 몰딩 • 무광 • 무광크롬 • 무늬 • 무한궤도 • 문 • 문손잡이 • 문콕 • 바디 • 바디라인 • 바퀴 • 반광 • 반사필름 • 발판(스텝) • 버터플라이 도어 • 번호판 • 번호판가니쉬 • 범퍼 • 범퍼가니쉬 • 벨트라인 • 변색 • 보닛(본네트) • 보행자 에어백 • 부분강화유리 • 브랜드 • 비전루프 • 사다리 • 사이드가니쉬 • 사이드도어빔 • 사이드리피터 • 사이드몰딩 • 사이드미러 • 사이드스커트 • 사이드스텝 • 사이드실(로커패널) • 사이렌 • 상표 • 색유리 • 선셰이드 • 소프트클로징 • 소프트톱 • 솔라루프 • 수동식 테일게이트 • 수어사이드 도어(코치 도어) • 스마트 테일게이트 • 스마트 파워 슬라이딩 도어 • 스완 윙 도어 • 스월마크 • 스크래치(흠집, 기스) • 스키드 플레이트 • 스티커 • 스틸휠 • 스페어타이어 • 스포일러 • 스플리터 • 슬라이드 썬루프 • 슬라이딩 • 슬라이딩 도어 • 슬랜트 노우즈 • 슬릭타이어 • 시저 도어 • 심볼 • 썬루프 • 안전판 • 안테나 • 알로이휠 • 앞문 • 앞문손잡이 • 앞문유리 • 앞바퀴 • 앞범퍼 • 앞유리 • 앞패널 • 앞펜더 • 액티브 리어 스포일러 • 언더바디 • 언더패널 • 에어댐 • 에어덕트 • 에어로파츠 • 에어로휠 • 엠블럼 • 옆판(사이드패널) • 오너먼트 • 오버라이더 • 오버행 • 와이드미러 • 와이퍼 • 웨이스트라인 • 웨일테일 스포일러 • 윈드디플렉터 • 윈드쉴드 • 윙 • 유광 • 유리 • 유리막 코팅 • 유리창 • 유선형 • 윤거 • 윤거전 • 윤거후 • 이중접합유리 • 일반유리 • 자동차 반사경 • 자동차 액세서리 • 자동차 커버 • 자외선 차단 유리 • 자전거 캐리어 • 장식 • 재생타이어 • 적재함 • 전고 • 전동식 테일게이트 • 전면 도어(프런트 힌지 도어) • 전장 • 전폭 • 접합유리 • 주유구 • 지붕 • 차량보호필름 • 차륜 • 차문 • 차창 • 차체 • 차체바닥 • 창문 • 천막 • 카나드 • 캐노피 도어 • 캐릭터라인 • 캡루프페어링 • 커버 • 코팅 • 쿼터글래스 • 크롬도금 • 클램쉘 후드 • 클리어코트 • 키 • 타이어 • 타이어 무늬 • 타이어 홈 • 테일게이트 • 테일게이트 가니쉬 • 토너커버 • 통유리 • 통풍구 • 투명유리 • 트렁크 • 트렁크 네트 • 트렁크라인 • 트렁크 리드 • 트렁크 쓰루 • 트렁크 언더트레이 • 트렁크 인 트렁크 • 트윈머플러 • 틴팅(썬팅) • 틸트업 썬루프 • 파노라마루프 • 파워 슬라이딩 도어 • 파워윈도우 • 패널 • 팝업식 도어핸들 • 페이스리프트 • 페인트 • 펜더(흙받이) • 펜더가니쉬 • 펜더미러 • 폴리싱 • 표면 • 표면처리 • 프런트가니쉬 • 프런트 스포일러 • 프런트 스플리터 • 프런트오버행 • 프런트윙 • 프렁크 • 프레임리스 도어 • 피크포인트 • 필러 • 필러가니쉬 • 하드톱 • 하이그로시 • 하이루프 • 헬릭스 도어 • 호로(호루) • 홈 • 화물칸 • 환기 • 환기구 • 후드 • 휠 • 휠디스크 • 휠림 • 휠베이스(축거) • 휠스포크 • 휠에어커튼 • 휠커버 • 휠하우징 • 휠허브
|
|
자동차 내장
|
3점식 안전벨트 • 5D매트 • 6D매트 • ECM 미러 • RPM • SRS에어백 • STLA 스마트콕핏 • 가림막 • 가속페달(액셀) • 가죽시트 • 거울 • 게이트식 기어 • 경적(크락션, 혼) • 경추보호시스템 • 계기판가니쉬 • 계기패널 • 고무매트 • 공조장치 • 글러브박스 • 기어레버 • 기어봉 • 기어손잡이(기어노브) • 기어셀렉터 • 기어스틱 • 나파가죽시트 • 내장재 • 노르디코 • 니룸 • 다이얼 • 다이얼식 기어 • 대시보드 • 대시트림 • 도어락 • 도어커튼 • 도어트림 • 도어팔걸이(도어 암레스트) • 도어포켓 • 도어핸들 • 동승석 • 뒷좌석 • 뒷좌석 폴딩 • 등받이 • 디지털콕핏 • 랙 • 레그룸 • 레버 • 로드리미터 • 롤블라인드 • 룸미러(리어뷰미러, 백미러) • 리어콘솔 • 리트랙터 • 매트 • 머리받침대(헤드레스트) • 메모리시트 • 목쿠션 • 미러 • 미러리스 • 바닥 • 바닥매트 • 박스 • 방향제 • 방향지시등 레버 • 방현미러 • 배니티램프 • 배니티미러(화장거울) • 백미러 • 버클 • 버클포켓 • 버킷시트 • 버튼식 기어 • 벌집매트 • 변속기어 • 보온 • 보조손잡이(어시스트 그립) • 부스트모드 • 분할폴딩시트 • 브레이크 • 브레이크페달 • 비말차단막 • 사이드볼스터 • 삼각대 • 삼각대 마운트 • 상자 • 서스펜션시트 • 선글라스 보관함 • 섬유시트 • 세차용품 • 센터랙 • 센터바이저 • 센터콘솔 • 센터터널 • 센터페시아 시프트 • 손잡이 • 송풍구(에어벤트) • 숄더룸 • 수납공간 • 수동변속기 • 스마트키 • 스위블링시트 • 스티어링록 • 스티어링림 • 스티어링스포크 • 스티어링컬럼 • 스티어링포스트 • 스티어링허브 • 스티어링휠(핸들) • 슬라이드 트레이 • 시거잭 • 시동장치 • 시크리트박스 • 시트 리클라이닝 • 시트 리프터 • 시트백포켓 • 시트벨트 앵커 • 시트 슬라이드 • 시트 어저스트 • 시트 언더트레이 • 시트커버 • 시프트레버 • 실내 • 실내공간 • 실내바닥 • 실외 • 안개등 • 안마시트 • 안전벨트(시트벨트) • 안전장치 • 알루미늄매트 • 암레스트 • 앞좌석 • 액티브 헤드레스트 시트 • 어린이 보호장치 • 에르고 모션 시트 • 에어백 • 에어스카프 • 열선 • 열선시트 • 오버헤드콘솔 • 오토기어 • 와이퍼 레버 • 요크 스티어링휠 • 우드 패널 • 운전대 • 운전석 • 운전석 이지 액세스 • 운전실 • 워셔액 • 웨빙 • 유니버셜 아일랜드 • 의자 • 인스트루먼트 패널(IP) • 인조가죽시트 • 자동차 시트 • 재떨이 • 전동시트 • 전복방지시스템 • 제어판 • 조수석 • 좌석 • 주니어시트 • 주머니 • 주행모드버튼 • 직물매트 • 직물시트 • 짐칸 • 차단막 • 차일드락 • 천연가죽시트 • 천장 • 청소용품 • 측면보호시스템 • 카시트(차일드시트) • 칸 • 칼럼식 기어 • 커튼식 에어백 • 컨버세이션미러 • 컵홀더 • 코일매트 • 콕핏 • 콘솔 • 콘솔박스 • 콘솔커버 • 쿠션 • 쿠션감 • 퀄리티에어 • 크리스탈 스피어 • 클러스터 • 클러치페달 • 키실린더 • 탑승공간 • 텐션 리듀서 • 통풍 • 통풍시트 • 트림 • 파워시트 • 파워아웃렛 • 파워핸들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 파일럿트림 • 팔걸이 • 패들 • 패들레버 • 패들시프트 • 페달 • 평면거울 • 풋레스트 • 풋룸 • 풍구 • 프레임리스 • 프레임리스 미러 • 프리미엄트림 • 프리액티브 시트벨트 • 프리텐셔너 • 플러스트림 • 플로어 • 플로어시프트 • 플로어트림 • 하이백시트 • 핸드 브레이크 • 핸들 • 햇빛가리개(선바이저) • 허그에어백 • 헤드라이너(천장내장재) • 헤드룸 • 혼커버 • 회전형 기어셀렉터 • 후크 • 히티드시트
|
|
전장
|
3D 클러스터 • ADAS • AVM • AVN • CAN • CD • DDREM • DMB • DMP • DRL • DTRL • DVD • ECU • EVA • GPS • HDA • HDA2 • HDP • HMI 계층 • LCD • LDWS • LKA • LVDS • MCU • NSCC • OTA • SOS 버튼 • SVM • USB • V2G • V2L • VCU • 가상센서 •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 경고등 • 경광등 • 경보등 • 계기판 • 고속도로 주행보조 • 고스트 도어 클로징 • 공기청정기 • 과속단속 카메라 감지 • 나이트비전 시스템 • 난방 • 난방기(히터) • 내비게이션 •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 냉각수 온도계 • 냉방기 • 다이얼 • 뒷좌석 듀얼 모니터 • 드라이브 와이즈 •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 등 • 등화관제등 • 디스플레이 • 디지털 계기판 • 디지털 신호처리장치(DSP) • 디지털 차량 계기판 • 디지털키 • 라디오 • 라이다 • 라이트 • 램프 • 레이다 • 룸램프 • 리모컨 • 리어램프 • 마이크로컨트롤러 • 메리디안 사운드 • 무선충전기 • 미들웨어계층 • 미등 • 발레모드 • 방향지시등(깜빡이) • 배니티램프 • 뱅앤올룹슨 사운드 • 버튼 • 번호등 • 보스 사운드 • 보조제동등 • 블랙박스 • 블루링크 • 블루투스 • 비상등 • 빌트인캠 • 사각지대 감지 시스템 • 사각지대 경보장치 • 상향등 • 서라운드 뷰 모니터 • 센서 • 센터페시아 • 속도계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 스크린 • 스피커 • 시티 세이프티 • 실내등 • 썬루프 스위치 • 안드로이드오토 • 액추에이터 • 액티브사운드(전자배기음) • 앰비언트 라이트 • 어드밴스드 케어 •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 어웨이 • 에어컨 • 엔진제어장치 • 연결모듈 • 연료계 • 오디오 • 오버라이드 • 오토 헤드램프 레벨링 시스템 • 온도계 • 운영체제계층 • 운전자 주의 경고(DAW) • 원격 스마트 주차 • 유량계 • 응용계층 • 이온발생기 • 인클로저 • 인포테인먼트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컨트롤러 • 임팩트센서 • 자율주행 시스템 • 전기스위치 • 전방 주시 경고 • 전방 충돌방지 • 전방카메라 • 전자제어장치 • 전장 • 전조등(헤드램프, 헤드라이트) • 전조등 스위치 • 제동등(브레이크등, 정지등) • 조명 • 조명등 • 주간주행등 • 주차보조센서 •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 지능형 헤드램프 • 집적회로 • 차량용 반도체 • 차량용 센서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차로 이탈방지 보조 • 차선변경지원 시스템 •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LDWS) • 차체 자세 제어장치(ESC, ESP) • 차폭등(마커램프) •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 충전기 • 카PC • 카메라 • 카오디오 • 카폰 • 카플레이 • 컨비니언스 패키지 • 컨트롤패널 • 컴포트 패키지 • 크루즈 컨트롤 • 클러스터 • 택시미터 • 터치스크린 • 턴키 • 텔레매틱스 • 파킹램프(주차등) • 파퓰러 패키지 • 페이스커넥트 • 풀오토 에어컨 • 하드웨어계층 • 하만카돈 사운드 • 하이웨이 드라이빙 파일럿 • 하이테크 패키지 • 하이패스 단말기 • 하차벨 • 하향등 •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 헤드유닛 • 화면 • 회전속도계(타코미터) • 후미등(테일램프) • 후미안개등 • 후방 교차 충돌방지 시스템 • 후방모니터 • 후방주차 충돌방지 보조(PCA) • 후방카메라 • 후진등 • 후진 연동 자동 하향 아웃사이드 미러 • 후측방 모니터 • 후측방 모니터링 시스템 •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 • 후측방 충돌방지 시스템
|
|
차대(섀시)
|
2기통 • 4기통 • 5기통 • 6기통 • 7기통 • 8기통 • 10기통 • 12기통 • 16기통 • 18기통 • 20기통 • ABS • AUTOSAR • AWD 디스커넥터 • B-ISG • HTRAC • IGBT • PE모듈 • TCU • VIN • 가속기(액셀러레이터) • 가솔린엔진 • 가스터빈 • 감속기 • 강판 • 계기 • 고정자(스테이터) • 공랭식 엔진 • 공차 (오차) • 공차 (자동차) • 공차중량 • 공회전 제한 장치(ISG) • 교류모터 • 구동 • 구동모터 • 구동장치 • 구동축 • 기계 • 기어(톱니바퀴) • 기어박스 • 기어오일 • 기화기 • 내연기관 • 냉각수 • 냉각장치 • 냉각제 • 냉각팬 • 냉매 • 노즐 • 다기통 • 다운시프트 • 단차 • 더블위시본 서스펜션 • 동기모터 • 동력전달장치 • 뒷차축 • 듀얼모터 • 듀얼클러치 • 드레인홀 • 디스크 브레이크 • 디젤엔진 • 라디에이터 • 마운트 • 매연저감장치 • 모노코크 • 모터 • 무단변속기 • 미션 • 미션오일 • 바디 • 바디온프레임 • 발전기 • 배기 • 배기밸브 • 배기장치 • 배분중량 • 배출 • 밸브 • 베어링 • 벨트 • 변속기 • 보일러 • 보조장치 • 부동액 • 부품 • 분사 • 브레이크라이닝 • 브레이크오일 • 브레이크패드 • 사륜구동 • 섀시 • 서스펜션(현가장치) • 석유엔진 • 선박 엔진 • 소모품 • 소자 • 쇼크업소버 • 수랭식 엔진 • 수소탱크 • 수소터빈 • 순정부품 • 스로틀 밸브 • 스트럿 서스펜션 • 스티어링(조향장치) • 스티어링박스 • 스티어링 샤프트 • 스프링 • 시동모터 • 실린더 • 싱글모터 • 아세이(어셈블리) • 앞차축 • 업시프트 • 에어덕트 • 에어백 모듈 • 에어서스펜션 • 에어스프링 • 엔진 • 엔진룸 • 엔진오일 • 연료분사기 • 연료시스템 • 연료전지 • 연료주입구 • 연료탱크 • 연료파이프 • 연료펌프 • 연료필터 • 오일 • 온보드차저 • 옵션 • 운전장치 • 워터펌프(냉각수 펌프) • 원동기 • 유도모터 • 이륜구동 • 인버터 • 인휠모터 • 인휠헥사모터 • 자동차 엔진 • 자연흡기엔진 • 전륜구동 • 전자변속기 • 점화케이블 • 점화플러그 • 정품 • 제동장치(브레이크) • 제진강판 • 제트엔진 • 조향축 • 종감속기어 • 주차 브레이크 • 중량 • 증기터빈 • 직류모터 • 차대(섀시) • 차대번호 • 차동기어 • 차동장치 • 차축(액슬) • 철판 • 촉매장치 • 총중량 • 추진축 • 축 • 축전지 • 충전기 • 캐빈룸 • 캘리퍼 • 커넥팅로드(연결봉) • 컨버터 • 케이블 • 코일 • 크랭크 • 크랭크축 • 크러시존(크럼플존) • 클러치 • 탱크 • 터보엔진 • 터보차저 • 터빈 • 토크컨버터 • 튜닝 • 트리플모터 • 파워트레인 • 파워팩 • 파이프 • 품목 • 품질 • 프레임 • 프로펠러 • 플라이휠 • 플러그 • 피스톤 • 항공기 엔진 • 회전자 • 회전축 • 후륜구동 • 휠 얼라인먼트 • 흡기 • 흡기장치 • 흡배기 • 흡배기장치 • 흡입 • 흡입밸브 • 히트펌프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자동차, 교통, 지역, 개발, 거래, 인물, 기업, 단체,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