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릭 부테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내용 다듬기)
(내용 다듬기)
3번째 줄: 3번째 줄:
 
== 생애 ==
 
== 생애 ==
  
 +
=== 어린 시절 ===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1994년 1월 31일 러시아 [[모스크바]] 주 콜롬나에서 태어났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D%83%88%EB%A6%AD_%EB%B6%80%ED%85%8C%EB%A6%B0 비탈릭 부테린]〉,《위키백과》</ref> 비탈릭은 컴퓨터 과학자인 아버지 드미트리 부테린(Dmitry Buterin)과 어머니 나탈리아 아멜린(Natalia Ameline) 사이에서 태어났다.<ref name="크립토 인물백과">qksud14, 〈[https://steemit.com/coinkorea/@qksud14/3hhomt (크립토 인물백과) 크립토 커뮤니티의 외계인, 비탈릭 뷰테린]〉, 《스팀잇 블로그》, 2018년 4월</ref>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1994년 1월 31일 러시아 [[모스크바]] 주 콜롬나에서 태어났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D%83%88%EB%A6%AD_%EB%B6%80%ED%85%8C%EB%A6%B0 비탈릭 부테린]〉,《위키백과》</ref> 비탈릭은 컴퓨터 과학자인 아버지 드미트리 부테린(Dmitry Buterin)과 어머니 나탈리아 아멜린(Natalia Ameline) 사이에서 태어났다.<ref name="크립토 인물백과">qksud14, 〈[https://steemit.com/coinkorea/@qksud14/3hhomt (크립토 인물백과) 크립토 커뮤니티의 외계인, 비탈릭 뷰테린]〉, 《스팀잇 블로그》, 2018년 4월</ref>
  
 
비탈릭 부테린은 6살 때 부모님의 직장 문제로 [[러시아]]를 떠나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 그는 10살 때부터 [[수학]], [[프로그래밍]], [[경제학]] 등에 재능을 보였으며, 3학년에는 영재반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코딩]]을 독학하고, 러시아어·중국어·영어 등 5개 국어 구사하는 등 천재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ref>고란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21966578 이더리움 창시자, "이더리움 채굴업자 1년 뒤 도태될 것"]〉, 《중앙일보》, 2017-09-25</ref> 또한 또래 아이들보다 두 배 정도 빠른 속도로 세 자리 숫자를 머릿속에서 연산할 수 있었다. 2011년 그는 [[시뮬레이션]] [[로봇]]을 가지고 싸우는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대회에 참가하여 3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비탈릭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중앙 명령 통제 중심의 전략을 쓰지 않았고, 그 대신 로봇 부품에 [[유틸리티]] 기능을 주고 스스로 목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행동하게 만들었다.<ref name="크립토 인물백과"></ref> 2012년에는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 대회에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ref>출처 :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 2012 결과 - http://stats.ioinformatics.org/results/2012/</ref>
 
비탈릭 부테린은 6살 때 부모님의 직장 문제로 [[러시아]]를 떠나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 그는 10살 때부터 [[수학]], [[프로그래밍]], [[경제학]] 등에 재능을 보였으며, 3학년에는 영재반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코딩]]을 독학하고, 러시아어·중국어·영어 등 5개 국어 구사하는 등 천재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ref>고란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21966578 이더리움 창시자, "이더리움 채굴업자 1년 뒤 도태될 것"]〉, 《중앙일보》, 2017-09-25</ref> 또한 또래 아이들보다 두 배 정도 빠른 속도로 세 자리 숫자를 머릿속에서 연산할 수 있었다. 2011년 그는 [[시뮬레이션]] [[로봇]]을 가지고 싸우는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대회에 참가하여 3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비탈릭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중앙 명령 통제 중심의 전략을 쓰지 않았고, 그 대신 로봇 부품에 [[유틸리티]] 기능을 주고 스스로 목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행동하게 만들었다.<ref name="크립토 인물백과"></ref> 2012년에는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 대회에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ref>출처 :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 2012 결과 - http://stats.ioinformatics.org/results/2012/</ref>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은 [[워털루 대학교]]에 입학하여 컴퓨터 과학에 대해 공부했으나 2014년 학교를 중퇴하면서 [[티엘 펠로우십]](The Thiel Fellowship) 장학금을 수여받았다. 비탈릭 부테린은 2014년 11월에 신기술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월드 테크놀로지 어워드]]에서 [[IT]] [[소프트웨어]] 부문 수상자로 뽑혔다. 이 상은 《[[포브스]]》와 《[[타임]]》이 공동 주관했다. 당시 경쟁 후보였던 [[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를 제치고 비탈릭 부테린이 최종 수상자로 선정되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
=== 비트코인 작가 ===
 +
어릴 때부터 수학과 프로그래밍에 특별한 재능을 보인 비탈릭 부테린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 게임에 빠져 있었다. 어느 날 게임 제작사인 [[블리자드]]는 비탈릭이 아끼던 캐릭터의 기능을 없애버렸고, 중앙집권적 서비스의 문제점을 깨달은 그는 게임을 중단했다. 게임을 그만둔 그는 새로운 삶의 목적을 찾다가 2011년 2월 아버지로부터 [[암호화폐]] [[비트코인]]에 대해 처음 듣게 되었다.<ref>허란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101988551 가상화폐에 빠진 17세 천재 개발자..."더 재밌는 일 해보자" 대학도 중퇴]〉, 《한국경제》, 2017-10-19</ref> 그는 [[비트코인]]에 매력을 느껴 비트코인에 대해 공부를 하였고 암호화폐 [[커뮤니티]]에 처음 소개되었다.
  
2013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차세대 [[스마트 계약]]과 분산 응용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는 제목의 [[이더리움 백서]]를 발간하고, 2015년 정식으로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는 이더리움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였다. 그는 잠시 [[싱가포르]]에 머물르다가 이후 스위스 [[추크]](Zug) 시에 머물고 있다. 2017년 한때 비탈릭 부테린의 사망설이 돌아 이더리움 가격이 급락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비탈릭이 그 당시 가장 마지막 거래의 이더리움 블록 번호를 적은 [[트윗]](tweet) 사진을 올려 사망설을 종식시켰다.
+
마침 《[[비트코인 위클리]]》(Bitcoin Weekly)라는 블로그 개설자가 5 비트코인을 주며 글을 써달라고 비탈릭에게 제안했다.<ref>〈[https://about.me/vitalik_buterin 비탈릭 부테린]〉, 《어바웃미 개인 블로그》</ref> 시간당 $1.5의 임금을 받으며 글을 쓰던 비탈릭 부테린은 2011년 9월 비트코인 사업자인 [[미하이 알리지에]](Mihai Alisie)의 제안을 받아 함께 《[[비트코인 매거진]]》(Bitcoin Magazine)을 공동 설립했다.<ref>〈[https://ethereum.org/foundation Foundation]〉,《이더리움 홈페이지》</ref>  이후 그는 이 잡지에 암호화폐에 대한 기고 글을 쓰기 시작하였고 그의 월급은 오로지 비트코인으로만 지급되었다.<ref>그린델발트, 〈[http://yoido.tistory.com/5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2017-10-25</ref> 비트코인 매거진 사이트에는 비탈릭 부테린이 2012년 2월부터 쓴 글들이 게시되어 있다.
  
== 업적 ==
+
=== 여러 암호화폐 연구 ===
 +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은 컴퓨터 과학을 공부하기 위해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워털루대학교-->(University of Waterloo)에 입학했다. 하지만, 그는 학업에 열중하기보다는 학교를 다니면서 암호화폐, [[벤처]] 등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면서 서적을 찾아보거나 글을 썼다. 2013년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며 관련된 주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자, 비탈릭 부테린은 암호화폐 관련 개발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어릴 때부터 수학과 프로그래밍에 특별한 재능을 보인 비탈릭 부테린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월드 오브 크래프트’(WOW)게임에 빠져 있었다. 어느 날 게임 제작사인 블리자드는 비탈릭이 아끼던 캐릭터의 기능을 없애버렸고, 중앙집권적 서비스의 문제점을 깨달은 그는 게임을 중단했다. 게임을 그만둔 그는 새로운 삶의 목적을 찾다가 2011년 2월, 아버지로부터 [[암호화폐]] [[비트코인]]에 대해 처음 듣게 되었다고 고백했다.<ref>허란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101988551 가상화폐에 빠진 17세 천재 개발자..."더 재밌는 일 해보자" 대학도 중퇴]〉, 《한국경제》, 2017-10-19</ref> 그는 비트코인에 매력을 느껴 비트코인에 대해 공부를 하였고 암호화폐 [[커뮤니티]]에 처음 소개되었다. 마침 ‘[[Bitcoin Weekly]]'라는 블로그 개설자가 5 비트코인을 주며 글을 써달라고 제안했다.<ref>〈[https://about.me/vitalik_buterin 비탈릭 부테린]〉, 《어바웃미 개인 블로그》</ref> 시간당 $1.5의 임금을 받으며 글을 쓰던 비탈릭 부테린은 2011년 9월, 비트코인 사업자인 [[미하이 알리지에]](Mihai Alisie)의 제안을 받아 함께 [[비트코인 매거진]](Bitcoin Magazine)을 공동 설립하였다.<ref>〈[https://ethereum.org/foundation Foundation]〉,《이더리움 홈페이지》</ref>  이후 이곳에 암호화폐에 대한 기고 글을 쓰기 시작하였고 그의 월급은 오로지 비트코인으로만 지급됐다.<ref>그린델발트, 〈[http://yoido.tistory.com/5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2017-10-25</ref> 현재 매거진에는 비탈릭 부테린이 2012년 2월부터 쓴 글들이 게시되어 있다.
+
* '''컬러드코인'''
  
다음 해인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은 컴퓨터 과학을 공부하기 위해 워털루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학교를 다니면서도 암호화폐 [[벤처]] 등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면서 서적을 찾아보거나 글을 썼다. 또, [[알렉스 미즈라히]](Alex Mizrahi)의 [[컬러드코인]](coloredcoin)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자산 및 계약에 대한 정보를 비트코인 [[블록체인]] 속에 넣기 위한 초기 블록체인 2.0 구성 개발 작업을 수행하였다. 컬러드코인이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통해 현물자산을 [[디지털]] 형태로 표현하는 자산 발행 레이어로 [[오픈 에셋 프로토콜]](open asset protocol)이라고도 불린다.<ref>백종찬, 〈[https://brunch.co.kr/@jeffpaik/13 컬러드코인이란?]〉, 《브런치 블로그》, 2016-04-02</ref> 비탈릭 부테린은 캘리포니아 주에서 열린 비트코인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크립토]](crypto) 커뮤니티의 활발함을 느끼고,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며 관련된 주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자 학교를 중퇴하고 암호화폐 관련 사업에 뛰어들게 된다.
+
비탈릭 부테린은 [[알렉스 미즈라히]](Alex Mizrahi)의 [[컬러드코인]](Coloredcoin)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자산 및 계약에 대한 정보를 비트코인 블록체인 속에 넣기 위한 초기 블록체인 2.0 구성 개발 작업을 수행하였다. 컬러드코인이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통해 현물 자산을 디지털 형태로 표현하는 자산 발행 레이어로서, [[오픈 에셋 프로토콜]](open asset protocol)이라고도 불린다.<ref>백종찬, 〈[https://brunch.co.kr/@jeffpaik/13 컬러드코인이란?]〉, 《브런치 블로그》, 2016-04-02</ref> 비탈릭 부테린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열린 비트코인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크립토]](crypto) 커뮤니티의 활발함을 느꼈다.
  
그는 나중에 비트코인 [[코드베이스]]를 바탕으로 [[마스터코인]]<ref>최초로 ICO를 실시한 JR 윌렛이 만든 코인이다.</ref>과 몇몇 대체 코인들을 연구했다.<ref> "[https://bitcoinmagazine.com/guides/who-created-ethereum/ Who Created Ethereum?]", ''BITCOIN MAGAZINE''</ref>비탈릭 부테린은 이스라엘로 가서 [[다니엘 팔라드]](Daniel Palad)에 의해 마스터코인 사람들을 소개받았다. 그는 이 때 ‘마스터코인과 같은 비트코인 플랫폼 상의 세컨드 레이어(Second layer)를 만들 수 있는지’, ‘어떤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작업으로 그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고 믿게 되었다.<ref>김가현 기자, 〈[http://sport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date=20180626&gid=90764709 (블록체IN 이스라엘①) 비탈릭이 찾은 남자, 옵스의 다니엘을 만나다]〉, 《블록미디어》, 2018-06-26</ref>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이 통화의 기능을 뛰어넘어 다른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자신이 직접 개발하기로 생각하였다. 비트코인 내부에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개발팀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데 그 중 상당수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금융부문 외에 사용하는 것을 굉장히 꺼려 아예 독립적인 플랫폼을 만들기로 결심한 것이다.
+
* '''마스터코인'''
  
그는 이런 생각들을 정리하여 2013년에 이더리움(Ethereum) 백서를 발표하였고,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오픈 소스 [[프로토콜]]을 정립하였다. 2014년엔 미하이 알리지에, [[앤써니 디 아오리오]](Anthony Di Iorio) [[찰스 호스킨스]](Charles Hoskinson)와 함께 이더리움 재단을 공동 창립하고, 개발자 [[개빈 우드]](Gavin Wood)와 [[조셉 루빈]](Joseph Lubin)을 영입하였다. 2014년 8월 그는 "개발자들에게 암호학적으로 안전하고, 탈중앙화된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월드 컴퓨터가 되겠다."는 원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은 효율성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검열에 저항하기 위해서"라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사기를 방지하며 투명성과 견고성을 유지하고 상호 운영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라고 했다.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 플랫폼의 개발 자금을 모으기 위해 [[크라우드펀딩]] 방식인 [[초기코인공개]]([[ICO]])를 이용하여 3만 비트코인을 모았다. 그 후 2015년 7월 30일 이더리움 플랫폼 서비스를 정식 시작하였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이 통화만의 기능을 넘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성장했다.<ref>Vitalik Buterin, "[https://blog.ethereum.org/2015/09/28/the-evolution-of-ethereum/ The Evolution of Ethereum]", ''Ethereum Blog'', 2015-09-28</ref> 이더리움은 Turing-complete 프로그래밍 언어가 내장 된 블록체인으로, 사용자가 모든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을 최상위에 작성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 안에서 [[이더]](Ether)가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연료로서 사용되어 전기와 같은 실질적 가치를 내포하였다. 즉,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의 한계에 대한 비탈릭 부테린의 생각을 집대성한 결과물로, ‘혁신적인 결제 네트워크이자 신종 화폐’로서 탈중앙화 결제 네트워크를 표방하는 비트코인과 달리, 결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있는 ‘블록체인 앱 플랫폼’이다.<ref>신지민 기자, 〈[http://www.joongven.com/news/print.php?no=4136 (비트코인 파헤치기②) 쪼개지는 ‘비트코인’, 또다른 ‘이더리움’]〉, 《중소벤처신문》, 2018-06-11</ref> 비탈릭 부테린이 고안한 개인 간 위조가 불가능한 계약 시스템인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는 이더리움은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인프라]]로 성장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비탈릭 부테린은 이제 암호화폐의 1,000배 성장 시대는 끝났다며, 암호화폐 업계는 홍보보다 분산형 시스템의 유용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ref>박병화 기자, 〈[http://www.coinreaders.com/2127 '암호화폐 스타' 비탈릭 부테린 "ICO 홍보 보다 실생활 적용에 힘써야"]〉, 《코인리더스》, 2018-09-10</ref>
+
비탈릭 부테린은 세계 최초로 [[ICO]]를 실시한 [[마스터코인]]에 대해 연구했다. 마스터코인(Mastercoin)은 2012년 [[제이 알 윌렛]](J. R. Willett)이 제안한 암호화폐로서, 다른 여러 [[디앱]](DApp)들이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 코인이었다.<ref>"[https://bitcoinmagazine.com/guides/who-created-ethereum/ Who Created Ethereum?]", ''BITCOIN MAGAZINE''</ref> 비탈릭 부테린은 [[이스라엘]]로 가서 [[다니엘 팔라드]](Daniel Palad)에 의해 마스터코인 관계자들을 소개받았다. 그는 이 때 마스터코인과 같은 비트코인 플랫폼 상의 세컨드 레이어(second layer)를 만들 수 있는지, 어떤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직접 확인할 있었다. 이 작업으로 그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ref>김가현 기자, 〈[http://sport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date=20180626&gid=90764709 (블록체IN 이스라엘①) 비탈릭이 찾은 남자, 옵스의 다니엘을 만나다]〉, 《블록미디어》, 2018-06-26</ref>
  
{{ 각주 }}
+
=== 이더리움 창시 ===
 +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이 화폐의 기능을 뛰어넘어 더 넓은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믿고 자신이 직접 개발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처음에 비트코인 커뮤니티 내부에서 기존 비트코인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제안을 했으나 번번이 거절당했다. 비트코인 소스를 개선하려면 기존 개발팀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비트코인 커뮤니티 구성원 중 상당수가 비트코인을 금융 부문 외에 사용하는 것을 굉장히 꺼려했다. 결국 비탈릭 부테린은 비트코인이 아닌 새로운 독립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
 
 +
* '''이더리움 백서 작성'''
 +
 
 +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차세대 [[스마트 계약]]과 탈중앙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는 제목의 [[이더리움 백서]]를 발간했다.<ref>Vitalik Buterin, "[https://github.com/ethereum/wiki/wiki/White-Paper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2013</ref> 그는 이 백서에서 탈중앙 분산 응용 프로그램인 [[디앱]](DApp)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오픈 소스]]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더리움은 튜링완전(Turing-complete) 프로그래밍 언어가 내장된 블록체인으로서, 개발자가 어떠한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안에서 [[이더]](Ether)가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연료(gas)로 사용되어, 전기와 같은 실질적 가치를 내포하였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의 한계에 대한 비탈릭 부테린의 생각을 집대성한 결과물로서, 혁신적인 결제 네트워크이자 신종 암호화폐이다.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결제 네트워크를 표방하는 비트코인과 달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앱 플랫폼이다.<ref>신지민 기자, 〈[http://www.joongven.com/news/print.php?no=4136 (비트코인 파헤치기②) 쪼개지는 ‘비트코인’, 또다른 ‘이더리움’]〉, 《중소벤처신문》, 2018-06-11</ref>
 +
 
 +
* '''이더리움재단 설립 및 ICO'''
 +
 
 +
2014년 비탈릭 부테린은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를 중퇴하고,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 [[미하이 알리지에]], [[앤써니 디 아오리오]](Anthony Di Iorio) 등과 함께 [[이더리움재단]]<!--이더리움 재단-->(Ethereum Foundation)을 공동 설립했다. 또한 개발자 [[개빈 우드]](Gavin Wood)와 [[조셉 루빈]](Joseph Lubin)을 영입하였다. 2014년 8월 그는 "개발자들에게 암호학적으로 안전하고, 탈중앙화된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월드 컴퓨터가 되겠다."는 원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이더리움 재단은 이더리움 플랫폼 개발 자금을 모으기 위해 [[크라우드펀딩]] 방식인 [[ICO]]를 진행하여, 약 3만 비트코인을 모았다. 3만 비트코인은 당시로는 파격적으로 큰 투자금액이었으며, 2014년 이전에 진행된 모든 ICO 가운데 가장 큰 금액이었다. ICO로 막대한 투자 자금을 모으는데 성공하여, 이더리움 개발 프로젝트는 재무적으로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
 
 +
* '''이더리움 서비스 시작'''
 +
 
 +
비탈릭 부테린이 이끄는 [[이더리움]] 개발팀은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인 [[이더리움]] 개발에 성공하고, 2015년 7월 30일 이더리움 서비스를 정식으로 시작하였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이 단순한 결제 수단의 기능을 넘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ref>Vitalik Buterin, "[https://blog.ethereum.org/2015/09/28/the-evolution-of-ethereum/ The Evolution of Ethereum]", ''Ethereum Blog'', 2015-09-28</ref>
 +
 
 +
비탈릭 부테린이 고안한 개인 간 위조가 불가능한 [[스타트 계약]] 시스템인 [[이더리움]]은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인프라]]로 성장하고 있다. 2017년 1월부터 이더리움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하여,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이어 시가총액 2위의 암호화폐로 성장했다.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으로 약 1,600종 이상의 다양한 [[디앱]]이 개발되었다. 사람들은 이더리움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비트코인이 블록체인 1.0이고,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2.0이라고 말하고 있다.
 +
 
 +
== 수상 ==
 +
 
 +
* '''티엘 펠로우십'''(Thiel Fellowship) : 비탈릭 부테린은 2014년 [[워털루대학교]]를 중퇴하면서 [[티엘 펠로우십]] 장학금을 수여받았다.
 +
* '''월드 테크놀로지 어워드'''(World Technology Awards) : 2014년 11월 비탈릭 부테린은 신기술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월드 테크놀로지 어워드]]에서 IT 소프트웨어 부문 수상자로 뽑혔다. 그는 [[이더리움]] 창시자 겸 《[[비트코인 매거진]]》 공동 설립자로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ref>"[https://www.wtn.net/summit-2014/2014-world-technology-awards-winners THE 2014 WORLD TECHNOLOGY AWARD WINNERS]", ''The World Technology Network''</ref> 이 상은 《[[포브스]]》와 《[[타임]]》이 공동 주관했다. 당시 경쟁 후보였던 [[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를 제치고 비탈릭 부테린이 최종 수상자로 선정되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
 
 +
== 논란 ==
 +
 
 +
2017년 한때 비탈릭 부테린의 사망설이 돌아 이더리움 가격이 급락하는 일이 있었다. 비탈릭은 당시 가장 마지막 거래의 이더리움 블록 번호를 적은 [[트윗]](tweet) 사진을 올려 사망설을 종식시켰다. 비탈릭 부테린은 잠시 [[싱가포르]]에 머물다가, 이후 스위스 [[추크]](Zug) 시에 머물고 있다.
 +
 
 +
블록체인 기술이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중앙집중식 시스템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자,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은 효율성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검열에 저항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은 사기를 방지하며 투명성과 견고성을 유지하고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말했다.
 +
 
 +
비탈릭 부테린은 이제 암호화폐 가격의 1,000배 성장 시대는 끝났다며, 암호화폐 업계는 홍보보다 분산형 시스템의 유용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f>박병화 기자, 〈[http://www.coinreaders.com/2127 '암호화폐 스타' 비탈릭 부테린 "ICO 홍보 보다 실생활 적용에 힘써야"]〉, 《코인리더스》, 2018-09-10</ref>
 +
 
 +
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가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어 수많은 해킹 사고가 발생하자, 비탈릭 부테린은 "중앙화된 거래소는 모두 없어져야 한다"고 말했다.<ref>권승원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3335 비탈릭 부테린 "중앙화된 거래소, 모두 없어져야"]〉, 《토큰포스트》, 2018-07-09</ref> 특히 일부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신규 코인 상장 시에 거래 수수료 명목으로 1,500만 달러(약 160억원)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 분노하면서, "중앙화된 거래소들이 지옥에서 불타길 바란다."<ref name="한수연 기자">한수연 기자, 〈[http://www.bloter.net/archives/314710 “지옥에서 불타길”…비탈릭 발언이 쏘아올린 ‘중앙화 거래소’ 논쟁]〉, 《블로터》, 2018-07-15</ref>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그러면서 [[P2P]] 방식의 [[탈중앙 암호화폐 거래소]](일명 'DEX')를 지지했다.
 +
 
 +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 Vitalik Buterin, "[https://github.com/ethereum/wiki/wiki/White-Paper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2013.
 
* 강필성 기자,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901000217 (가상화폐)② 20세 천재, 달러 위협하는 ‘이더리움’ 만들다]〉, 《뉴스핌》, 2017-09-05
 
* 강필성 기자,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901000217 (가상화폐)② 20세 천재, 달러 위협하는 ‘이더리움’ 만들다]〉, 《뉴스핌》, 2017-09-05
 
* 그린델발트, 〈[http://yoido.tistory.com/5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2017-10-25
 
* 그린델발트, 〈[http://yoido.tistory.com/5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2017-10-25

2018년 9월 27일 (목) 03:59 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더리움(ethereum)의 창시자이다.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했고, 다양한 토큰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했다. ICO 방식으로 개발 자금을 확보했다.

생애

어린 시절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1994년 1월 31일 러시아 모스크바 주 콜롬나에서 태어났다.[1] 비탈릭은 컴퓨터 과학자인 아버지 드미트리 부테린(Dmitry Buterin)과 어머니 나탈리아 아멜린(Natalia Ameline) 사이에서 태어났다.[2]

비탈릭 부테린은 6살 때 부모님의 직장 문제로 러시아를 떠나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 그는 10살 때부터 수학, 프로그래밍, 경제학 등에 재능을 보였으며, 3학년에는 영재반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코딩을 독학하고, 러시아어·중국어·영어 등 5개 국어 구사하는 등 천재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3] 또한 또래 아이들보다 두 배 정도 빠른 속도로 세 자리 숫자를 머릿속에서 연산할 수 있었다. 2011년 그는 시뮬레이션 로봇을 가지고 싸우는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대회에 참가하여 3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비탈릭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중앙 명령 통제 중심의 전략을 쓰지 않았고, 그 대신 로봇 부품에 유틸리티 기능을 주고 스스로 목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행동하게 만들었다.[2] 2012년에는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 대회에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4]

비트코인 작가

어릴 때부터 수학과 프로그래밍에 특별한 재능을 보인 비탈릭 부테린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 게임에 빠져 있었다. 어느 날 게임 제작사인 블리자드는 비탈릭이 아끼던 캐릭터의 기능을 없애버렸고, 중앙집권적 서비스의 문제점을 깨달은 그는 게임을 중단했다. 게임을 그만둔 그는 새로운 삶의 목적을 찾다가 2011년 2월 아버지로부터 암호화폐 비트코인에 대해 처음 듣게 되었다.[5] 그는 비트코인에 매력을 느껴 비트코인에 대해 공부를 하였고 암호화폐 커뮤니티에 처음 소개되었다.

마침 《비트코인 위클리》(Bitcoin Weekly)라는 블로그 개설자가 5 비트코인을 주며 글을 써달라고 비탈릭에게 제안했다.[6] 시간당 $1.5의 임금을 받으며 글을 쓰던 비탈릭 부테린은 2011년 9월 비트코인 사업자인 미하이 알리지에(Mihai Alisie)의 제안을 받아 함께 《비트코인 매거진》(Bitcoin Magazine)을 공동 설립했다.[7] 이후 그는 이 잡지에 암호화폐에 대한 기고 글을 쓰기 시작하였고 그의 월급은 오로지 비트코인으로만 지급되었다.[8] 비트코인 매거진 사이트에는 비탈릭 부테린이 2012년 2월부터 쓴 글들이 게시되어 있다.

여러 암호화폐 연구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은 컴퓨터 과학을 공부하기 위해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University of Waterloo)에 입학했다. 하지만, 그는 학업에 열중하기보다는 학교를 다니면서 암호화폐, 벤처 등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면서 서적을 찾아보거나 글을 썼다. 2013년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며 관련된 주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자, 비탈릭 부테린은 암호화폐 관련 개발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 컬러드코인

비탈릭 부테린은 알렉스 미즈라히(Alex Mizrahi)의 컬러드코인(Coloredcoin)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자산 및 계약에 대한 정보를 비트코인 블록체인 속에 넣기 위한 초기 블록체인 2.0 구성 개발 작업을 수행하였다. 컬러드코인이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통해 현물 자산을 디지털 형태로 표현하는 자산 발행 레이어로서, 오픈 에셋 프로토콜(open asset protocol)이라고도 불린다.[9] 비탈릭 부테린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열린 비트코인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크립토(crypto) 커뮤니티의 활발함을 느꼈다.

  • 마스터코인

비탈릭 부테린은 세계 최초로 ICO를 실시한 마스터코인에 대해 연구했다. 마스터코인(Mastercoin)은 2012년 제이 알 윌렛(J. R. Willett)이 제안한 암호화폐로서, 다른 여러 디앱(DApp)들이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 코인이었다.[10] 비탈릭 부테린은 이스라엘로 가서 다니엘 팔라드(Daniel Palad)에 의해 마스터코인 관계자들을 소개받았다. 그는 이 때 마스터코인과 같은 비트코인 플랫폼 상의 세컨드 레이어(second layer)를 만들 수 있는지, 어떤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작업으로 그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1]

이더리움 창시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이 화폐의 기능을 뛰어넘어 더 넓은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믿고 자신이 직접 개발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처음에 비트코인 커뮤니티 내부에서 기존 비트코인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제안을 했으나 번번이 거절당했다. 비트코인 소스를 개선하려면 기존 개발팀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비트코인 커뮤니티 구성원 중 상당수가 비트코인을 금융 부문 외에 사용하는 것을 굉장히 꺼려했다. 결국 비탈릭 부테린은 비트코인이 아닌 새로운 독립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 이더리움 백서 작성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차세대 스마트 계약과 탈중앙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는 제목의 이더리움 백서를 발간했다.[12] 그는 이 백서에서 탈중앙 분산 응용 프로그램인 디앱(DApp)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오픈 소스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더리움은 튜링완전(Turing-complete) 프로그래밍 언어가 내장된 블록체인으로서, 개발자가 어떠한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안에서 이더(Ether)가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연료(gas)로 사용되어, 전기와 같은 실질적 가치를 내포하였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의 한계에 대한 비탈릭 부테린의 생각을 집대성한 결과물로서, 혁신적인 결제 네트워크이자 신종 암호화폐이다.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결제 네트워크를 표방하는 비트코인과 달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앱 플랫폼이다.[13]

  • 이더리움재단 설립 및 ICO

2014년 비탈릭 부테린은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를 중퇴하고,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 미하이 알리지에, 앤써니 디 아오리오(Anthony Di Iorio) 등과 함께 이더리움재단(Ethereum Foundation)을 공동 설립했다. 또한 개발자 개빈 우드(Gavin Wood)와 조셉 루빈(Joseph Lubin)을 영입하였다. 2014년 8월 그는 "개발자들에게 암호학적으로 안전하고, 탈중앙화된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월드 컴퓨터가 되겠다."는 원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이더리움 재단은 이더리움 플랫폼 개발 자금을 모으기 위해 크라우드펀딩 방식인 ICO를 진행하여, 약 3만 비트코인을 모았다. 3만 비트코인은 당시로는 파격적으로 큰 투자금액이었으며, 2014년 이전에 진행된 모든 ICO 가운데 가장 큰 금액이었다. ICO로 막대한 투자 자금을 모으는데 성공하여, 이더리움 개발 프로젝트는 재무적으로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 이더리움 서비스 시작

비탈릭 부테린이 이끄는 이더리움 개발팀은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인 이더리움 개발에 성공하고, 2015년 7월 30일 이더리움 서비스를 정식으로 시작하였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이 단순한 결제 수단의 기능을 넘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14]

비탈릭 부테린이 고안한 개인 간 위조가 불가능한 스타트 계약 시스템인 이더리움은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인프라로 성장하고 있다. 2017년 1월부터 이더리움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하여,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이어 시가총액 2위의 암호화폐로 성장했다.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으로 약 1,600종 이상의 다양한 디앱이 개발되었다. 사람들은 이더리움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비트코인이 블록체인 1.0이고,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2.0이라고 말하고 있다.

수상

  • 티엘 펠로우십(Thiel Fellowship) : 비탈릭 부테린은 2014년 워털루대학교를 중퇴하면서 티엘 펠로우십 장학금을 수여받았다.
  • 월드 테크놀로지 어워드(World Technology Awards) : 2014년 11월 비탈릭 부테린은 신기술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월드 테크놀로지 어워드에서 IT 소프트웨어 부문 수상자로 뽑혔다. 그는 이더리움 창시자 겸 《비트코인 매거진》 공동 설립자로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15] 이 상은 《포브스》와 《타임》이 공동 주관했다. 당시 경쟁 후보였던 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를 제치고 비탈릭 부테린이 최종 수상자로 선정되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논란

2017년 한때 비탈릭 부테린의 사망설이 돌아 이더리움 가격이 급락하는 일이 있었다. 비탈릭은 당시 가장 마지막 거래의 이더리움 블록 번호를 적은 트윗(tweet) 사진을 올려 사망설을 종식시켰다. 비탈릭 부테린은 잠시 싱가포르에 머물다가, 이후 스위스 추크(Zug) 시에 머물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중앙집중식 시스템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자,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은 효율성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검열에 저항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은 사기를 방지하며 투명성과 견고성을 유지하고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말했다.

비탈릭 부테린은 이제 암호화폐 가격의 1,000배 성장 시대는 끝났다며, 암호화폐 업계는 홍보보다 분산형 시스템의 유용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가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어 수많은 해킹 사고가 발생하자, 비탈릭 부테린은 "중앙화된 거래소는 모두 없어져야 한다"고 말했다.[17] 특히 일부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신규 코인 상장 시에 거래 수수료 명목으로 1,500만 달러(약 160억원)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 분노하면서, "중앙화된 거래소들이 지옥에서 불타길 바란다."[18]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그러면서 P2P 방식의 탈중앙 암호화폐 거래소(일명 'DEX')를 지지했다.

각주

  1. 비탈릭 부테린〉,《위키백과》
  2. 2.0 2.1 qksud14, 〈(크립토 인물백과) 크립토 커뮤니티의 외계인, 비탈릭 뷰테린〉, 《스팀잇 블로그》, 2018년 4월
  3. 고란 기자, 〈이더리움 창시자, "이더리움 채굴업자 1년 뒤 도태될 것"〉, 《중앙일보》, 2017-09-25
  4. 출처 :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 2012 결과 - http://stats.ioinformatics.org/results/2012/
  5. 허란 기자, 〈가상화폐에 빠진 17세 천재 개발자..."더 재밌는 일 해보자" 대학도 중퇴〉, 《한국경제》, 2017-10-19
  6. 비탈릭 부테린〉, 《어바웃미 개인 블로그》
  7. Foundation〉,《이더리움 홈페이지》
  8. 그린델발트,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2017-10-25
  9. 백종찬, 〈컬러드코인이란?〉, 《브런치 블로그》, 2016-04-02
  10. "Who Created Ethereum?", BITCOIN MAGAZINE
  11. 김가현 기자, 〈(블록체IN 이스라엘①) 비탈릭이 찾은 남자, 옵스의 다니엘을 만나다〉, 《블록미디어》, 2018-06-26
  12. Vitalik Buterin,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2013
  13. 신지민 기자, 〈(비트코인 파헤치기②) 쪼개지는 ‘비트코인’, 또다른 ‘이더리움’〉, 《중소벤처신문》, 2018-06-11
  14. Vitalik Buterin, "The Evolution of Ethereum", Ethereum Blog, 2015-09-28
  15. "THE 2014 WORLD TECHNOLOGY AWARD WINNERS", The World Technology Network
  16. 박병화 기자, 〈'암호화폐 스타' 비탈릭 부테린 "ICO 홍보 보다 실생활 적용에 힘써야"〉, 《코인리더스》, 2018-09-10
  17. 권승원 기자, 〈비탈릭 부테린 "중앙화된 거래소, 모두 없어져야"〉, 《토큰포스트》, 2018-07-09
  18. 한수연 기자, 〈“지옥에서 불타길”…비탈릭 발언이 쏘아올린 ‘중앙화 거래소’ 논쟁〉, 《블로터》, 2018-07-15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