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Jensen Huang, 黄仁勋, 황런쉰)
젠슨 황(Jensen Huang, 黄仁勋, 황런쉰)은 컴퓨터용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멀티미디어 장치를 개발 및 제조하는 회사 엔비디아(NVIDIA)의 창업자 겸 대표이다. 대만계 미국인으로서, 스탠퍼드 대학교 석사를 졸업한 후 1993년 엔비디아를 공동 창업했다.
유년 시절[편집]
젠슨 황은 1963년 2월 17일 대만 타이난에서 엔지니어인 아버지와 영어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황이 다섯 살이 되던 해, 그의 가족은 태국으로 이주했으며, 그는 유년기를 태국에서 보냈다. 그러나 1973년 태국 민주화 운동으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자, 그의 부모는 아홉 살이 된 황과 형을 미국으로 보내기로 결정했다. 이후 황은 미국 켄터키주 오네이다에 있는 기숙학교에 입학했으나, 그곳에서 인종 차별과 폭력을 겪으며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황은 인터뷰에서 당시 칼에 찔릴 뻔한 일까지 겪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그는 좌절하지 않고 학업과 일을 병행하며 자신만의 길을 개척했다. 황은 화장실 청소와 식당 아르바이트를 통해 생계를 이어갔으며, 학업에서는 수학과 과학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는 포틀랜드에 있는 알로하 고등학교를 두 학년 일찍 졸업하고, 오리건주립대학교에 입학해 전기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받으며 학문적으로도 두각을 나타냈다.[1]
엔비디아 설립[편집]
젠슨 황은 대학 졸업 후 반도체 기업 AMD와 LSI 로직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업무를 담당하며 기술 경험을 쌓았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이후 창업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1993년, 황은 동료 엔지니어 크리스 말라코프스키(Chris Malachowsky)와 커티스 프리엠(Curtis Priem)과 함께 엔비디아를 설립했다. 당시 그는 자신이 가장 열정적으로 즐기던 PC 게임의 낮은 그래픽 품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표를 세웠다.
설립 초기, 황과 두 공동 창업자는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의 레스토랑 데니스(Denny's)에서 창업 아이디어를 논의하며 엔비디아의 비전을 구체화했다. 이들은 세쿼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로부터 초기 투자금을 확보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크리스와 커티스는 젠슨 황의 명석한 판단력과 리더십을 인정하며 그를 CEO로 추대했다.[2]
GPU 시장의 개척과 성공[편집]
엔비디아의 첫 히트작은 게임용 모션 그래픽을 구현하는 GPU 칩이었다. 이 제품은 당시 PC 게임 시장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회사의 성장을 견인했다. 1999년, 엔비디아는 세계 최초의 GPU인 지포스 256(GeForce 256)을 출시하며 GPU 기술의 표준을 새롭게 정의했다. 이 성공으로 엔비디아는 GPU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다. 2013년에는 전 세계 PC의 약 70%가 엔비디아의 GPU를 사용하는 등, 회사는 급속도로 성장했다. 황의 비전과 끊임없는 혁신은 엔비디아를 단순한 반도체 기업에서 그래픽 기술과 컴퓨터 비전의 핵심 플레이어로 변모시켰다.
AI 시대를 준비한 비전[편집]
젠슨 황은 2010년대부터 GPU의 잠재력을 인공지능(AI) 분야로 확장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했다. 그는 컴퓨팅 성능의 발전이 AI 기술의 도래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했다. 이 과정에서 엔비디아는 AI 학습과 실행을 지원하는 GPU 아키텍처를 개발하며 업계를 선도했다. 특히, 2020년에 출시된 A100 GPU는 AI와 데이터센터 기술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제품들은 오픈AI의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엔비디아는 이를 통해 2023년 반도체 기업 최초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하며 'AI 황제'라는 별칭을 얻었다.
리더십과 철학[편집]
젠슨 황은 엔비디아의 CEO로서 단순히 기술 혁신에 그치지 않고, 기업 문화와 비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엔지니어 중심의 기업 문화를 형성하며 창의성과 협업을 강조했다. 또한, 기술 발전이 인간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철학을 기반으로 엔비디아를 이끌어왔다. 황은 그의 리더십 아래 엔비디아를 GPU 시장의 선두주자에서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 기술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의 중심에 놓인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그는 여전히 미래 기술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CEO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 1963년 2월 17일 : 대만 타이난에서 출생
- 1972년 :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
- 1979년 : 오리건주 에일스워스 고등학교 졸업
- 1984년 : 오리건 주립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 학위 취득
- 1992년 :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 취득
- 1993년 : 엔비디아 창립, CEO로 취임
- 1999년 : 최초의 GPU, GeForce 256 발표
- 2007년 :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름 올림
- 2023년 : AI 분야의 공로로 산업계에서 주목받는 리더로 인정
- 2024년 : 브레브닷데브(Brev.dev) 인수
- 2024년 : 쇼어라인(shoreline.io) 인수
- 1999년 : Ernst & Young(언스트 앤 영)에서 '최고기술 분야 올해의 기업가(Entrepreneur of the Year in High Technology)'로 선정
- 2002년 :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Daniel J. Epstein 엔지니어링 관리상(Daniel J. Epstein Engineering Management Award)' 수상
- 2004년 : Fabless 반도체 협회에서 'Dr. Morris Chang 모범 리더십상(Dr. Morris Chang Exemplary Leadership Award)' 수상
- 2005년 : 오리건주립대학교에서 'Alumni Fellow(앨럼나이 펠로우)'로 선정
- 2007년 : 실리콘밸리 교육재단(Silicon Valley Education Foundation)에서 '선구적 비즈니스 리더상(Pioneer Business Leader Award)' 수상
- 2009년 6월: 오리건주립대학교에서 명예 박사학위 수여
- 2018년 : 세계 엣지 컴퓨팅 영향력자 상위 50명 명단(Edge 50)에 포함
- 2019년 10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서 '세계 최고의 CEO(Best-performing CEO in the World)'로 선정
- 2020년 11월: Automotive News Europe Eurostars(오토모티브 뉴스 유럽 유로스타)에서 '올해의 공급업체 CEO(Supplier CEO of the Year)' 선정
- 2020년 11월: 국립대만대학교(National Taiwan University)에서 명예 박사학위(Honorary Doctorate) 수여
- 2021년 8월: 반도체산업협회(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SIA)에서 'Robert N. Noyce 상(Robert N. Noyce Award)' 수상
- 2021년, 2024년: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TIME 100)'에 포함
- 2023년 12월: 디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에서 '2023년 최고의 CEO(Best CEO of 2023)'로 선정
- 2023년, 2024년: 타임지 'AI 100인(TIME 100 AI)' 명단에 포함
- 2024년 2월: '인공지능 혁명을 이끈 고성능 GPU 개발'로 미국 국립공학원(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회원으로 선출
- 2024년 5월: 골드 하우스(Gold House)에서 'A1 Honoree(A1 오너리)'로 인정
- 2024년 9월: 대만 산업기술연구원(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TRI)에서 'Fellow(펠로우)'로 선정
- 2024년 11월: 포춘지에서 '비즈니스 분야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100 Most Powerful People in Business)' 중 2위 선정
- 2024년 11월: 홍콩과학기술대학교에서 명예 박사학위 수여[3]
자선 활동[편집]
젠슨 황은 기술 업계에서 성공한 리더로서 다양한 자선 활동에 참여해 왔다. 그의 자선 활동은 주로 교육, 의료, 그리고 과학 기술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교육 기부
젠슨 황과 그의 아내 로리 황은 스탠퍼드대학교에 약 3,000만 달러를 기부하여 젠슨 황 공학센터(Jensen Huang Engineering Center) 건립을 지원했다. 이 센터는 공학 및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와 교육의 중심지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오리건주립대학교에 장학금을 제공하며,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의 인재 양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2008년 중국 원촨 대지진의 영향을 받은 지역의 초등학생과 중학생 101명을 수용하기 위해 베이징하이디안외국어시옌 학교에 교실을 설립하는 데 기금을 기부했다.
- 의료 및 생명 과학 지원
엔비디아의 AI 기술을 통해 의료 연구와 암 치료, 신약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젠슨 황 개인적으로도 생명 과학 분야의 연구를 지원하는 재정적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 사회적 기여 활동
젠슨 황은 엔비디아와 함께 AI For Good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환경 문제, 공중 보건, 재난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기여하고 있다.
- 소외 계층 지원
젠슨 황과 그의 가족은 소외 계층 학생들이 교육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비영리 단체와 협력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STEM 교육 프로그램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4]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젠슨 황 문서는 인공지능 인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인공지능 : 인공지능 서비스, 인공지능 모델, 인공지능 데이터, 인공지능 개발, 인공지능 기술, 인공지능 로봇, 인공지능 기기, 인공지능 기업, 인공지능 인물 □■⊕, 인공지능 역사
|
|
한국
|
강용성 • 곽인범 • 김대훈 • 김동환 • 김영섬 • 김영섭 • 김윤 • 김종윤 • 김지섭 • 김진우 • 김현수 • 노봉균 • 문전일 • 박종천 • 박채근 • 박태웅 • 배영우 • 백준호 • 서대호 • 서창녕 • 송기영 • 신민영 • 신정규 • 신형섭 • 안익진 • 엄윤설 • 오준호 • 유수연 • 유승재 • 유태준 • 이경일 • 이기욱 • 이상기 • 이세영 • 이승준 • 이용재 • 이재성 • 이정호 • 이종흔 • 이주완 • 이참솔 • 이해진 • 이현동 • 임재원 • 임정근 • 전병곤 • 정진우 • 조강원 • 조경현 • 조주완 • 주명규 • 최병진 • 최진 • 최홍섭 • 하정우 (네이버) •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 한재권 • 홍재의 • 황성재
|
|
중국
|
가오화밍 • 구제 • 두안지앙화 • 라이지에 • 량원펑 • 렁샤오쿤 • 뤄푸리 • 류웨이차오 • 류칭펑 • 리보양 • 리젠궈 • 샤오홍 • 양즈린 • 왕샤오촨 • 왕위 • 왕허 • 우위신 • 우장쩡 • 위하오 • 자오통양 • 장웨이 • 장쥔빈 • 장칭숭 • 지이차오 • 장펑 • 창징(리처드 창) • 저우신위 • 저우잰 • 주추궈 • 챈동치 • 천즈치 • 천지앤위 • 천허린 • 청하오 • 치우춘신 • 펑즈후이 • 푸한라이 • 황샤오칭 • 허카이밍 • 후탠랜
|
|
일본
|
마사히코 야마나카 • 미야자키 하야오 • 이나바 세이우에몬 • 쿠니히코 후쿠시마 • 하야시 가나메
|
|
미국
|
게리 굿하트 • 게리 코헨 • 그레그 브로크만 • 다리오 아모데이 • 다미온 셸턴 • 라지쿠마 티루말라이남비 • 래리 서머스 • 리드 호프만 • 마빈 민스키 • 마이클 트루엘 • 마크 레이버트 • 메이 하비브 • 무스타파 술레이만 • 미라 무라티 • 보이치에흐 자렘바 • 브래드 라이트캡 • 브렛 애드콕 • 브렛 테일러 • 빌 달리 • 사친 나로드 • 사티아 나델라 • 샘 올트먼 • 숀 화이트 • 아담 디안젤로 • 아밋 제인 • 아티 하인라 • 앤드류 응 • 야누스 프리스 • 얀 라이케 • 에도 리버티 • 에두아르도 에라조 • 에멧 시어 • 에이단 고메즈 • 와심 알시크 • 요슈아 벤지오 • 월터 피츠 • 이안 굿펠로우 • 이타마 프리드먼 • 일론 머스크 • 일리야 수츠케버 • 저스틴 해리스 • 제프 딘 • 제프리 힌튼 • 제프 카데나스 • 젠슨 황 • 조디 로즈 • 존 매카시 • 존 홉필드 • 짐 라이퍼 • 캐런 사이먼얀 • 캐롤 라일리 • 타샤 매코리 • 토란 브루스 리처즈 • 토머스 왓슨 • 팀닛 게브루 • 페이-페이 리 • 프랭크 로젠블랫 • 해리슨 체이스 • 헬렌 토너
|
|
유럽
|
기욤 램플 • 데미스 하사비스 • 데이비드 레거 • 데이비드 클렘 • 매튜 루이프 • 번트 뵈르니치 • 사이러스 호데스 • 샨샨 웡 • 아르튀르 멘슈 • 아서 멘쉬 • 안젤로 달리 • 알베르토 바르가라 • 앨런 튜링 • 얀 르쿤 • 에마드 모스타크 • 위르겐 슈미트후버 • 크리스티안 라포르테 • 클레멘트 딜랑크 • 테우보 코호넨 • 티모시 라크로아
|
|
기타
|
다니엘 흄 • 도르 스쿨러 • 리오르 울프 • 마크 슈뮬레비치 • 암논 샤슈아 • 프레드 알메이다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아시아, 세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지도,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
인물 : 암호화폐 창시자,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 투자자, 미디어업체 경영자, 마케팅업체 경영자, 컨설턴트, 채굴업체 경영자, 블록체인 관계자, 교수, 변호사, 기업인, 금융인, 인터넷 기업가 □■⊕, 인터넷 인물
|
|
한국
|
권도균 • 김범수 • 김우승 • 김정주 • 김택진 • 박세준 • 서형수 • 손주은 • 신중호 • 신현성 • 심기창 • 이수진 • 이영복 • 이재석 • 이재웅 • 이판정 • 이학준 • 이해진 • 장병규 • 장영환 • 조풍연 • 최정환 • 하현회 • 홍원표 • 황창규
|
|
미국
|
데이비드 파일로 • 래리 엘리슨 • 래리 페이지 • 레지 브라운 • 마크 앤드리슨 • 마크 저커버그 • 벤 호로위츠 • 빌 게이츠 • 세르게이 브린 • 스티브 워즈니악 • 스티브 잡스 • 스티브 첸 • 안토니 폴미티스 • 일론 머스크 • 자베드 카림 • 잭 도시 • 제리 양 • 제프 딘 • 제프 베조스 • 젠슨 황 • 조나단 코크머 • 존 스컬리 • 지미 웨일스 • 짐 클락 • 채드 헐리 • 토마스 왓슨 • 팀 쿡 • 폴 앨런 • 로저 해니
|
|
중국
|
딩레이 • 레이쥔 • 류칭 • 리양 • 리옌홍 • 레이뤄신 • 마윈 • 마화텅 • 앤드류 응 • 장즈동 • 차이원셩 • 청웨이 • 콩더징
|
|
일본
|
손정의 • 이데자와 다케시
|
|
동남아
|
앤서니 탄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아시아, 세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지도,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
유럽 자동차 인물
|
고틀롭 아우뵈르터 • 고틀리프 다임러 • 구스타프 라르손 • 구스타프 에릭손 • 귄터 크반트 • 그랜트 케어니 • 나이젤 홈즈 • 니콜라 로메오 • 니콜라우스 오토 • 니콜라-조셉 퀴뇨 • 닐스 볼린 • 디터 제체 • 디터 지겔 • 랄프 스페스 • 레아 스타크 • 레오나르도 다빈치 • 로마노 아르티올리 • 로버트 앤더슨 • 로버트 윌리엄 톰슨 • 로버트 팔크 • 롤랜드 굼퍼트 • 루돌프 디젤 • 루이 르노 • 루이스 슈바이처 • 루이제 피에히 • 루크 동커볼케 • 리오넬 마틴 • 리키 산두 • 리하르트 벤츠 • 마르셀 르노 • 마르첼로 간디니 • 마이클 맨리 • 마이클 로셸러 • 마커스 빌리그 • 마크 비르키트 • 마테 리막 • 막스 프리츠 • 모리스 윌크스 • 바클라프 라우린 • 바클라프 클레멘트 • 베르타 벤츠 • 베아트리스 푸쉐 • 벤 토드 • 볼프강 에거 • 볼프강 포르쉐 • 브루스 맥라렌 • 빈센초 란치아 • 빌헬름 마이바흐 • 빌헬름 브룬 • 세르게이 코고긴 • 세르지오 마르치오네 • 세실 킴버 • 슈테판 질라프 • 슈테판 크반트 • 스테파노 도메니칼리 • 스테판 빈켈만 • 스테판 시에라프 • 스펜서 윌크스 • 아니오스 예들리크 • 아담 오펠 • 아돌프 히틀러 • 아르망 푸조 • 아사 가브리엘손 • 아우구스트 호르히 • 안드레아스 토스만 • 안톤 피에히 • 알도 만토바니 • 알레한드로 드 토마소 • 알렉산더 윌슨 • 알로이스 루프 • 알로이스 루프 주니어 • 알브레히트 아우뵈르터 • 알피에리 마세라티 • 앙드레 미쉐린 • 앙드레 시트로엥 • 에두아르 미쉐린 • 에르하르트 멜허 • 에밀 르바소 • 에밀 스코다 • 에토레 부가티 • 엔초 페라리 • 오이겐 벤츠 • 오토 슐츠 • 올라 칼레니우스 • 올리버 블루메 • 올리버 집세 • 요한 로젠바우어 • 욥 돈커부트 • 월터 오웬 벤틀리 • 웨인 그리피스 • 윌리엄 라이온즈 • 윌리엄 모리스 • 이브 본느퐁 • 잔니 아넬리 • 장따롱(카이 요한 장) • 장 레델레 • 장-프레데릭 푸조 • 장-피에르 2세 푸조 • 제임스 래트클리프 • 조르제토 주지아로 • 조반니 아넬리 • 조안나 리샤 • 존 바버 • 존 보이드 던롭 • 존 엘칸 • 주자네 클라텐 • 찰스 굿이어 • 찰스 롤스 • 카를로스 타바레스 • 카를로 아바스 • 카를 마이바흐 • 카를 벤츠 • 카를 보르그바르트 • 카를 프리드리히 라프 • 콘라드 로젠바우어 • 콜린 채프먼 • 크리스 뱅글 • 크리스티앙 폰 코닉세그 • 토니 피에히 • 토마스 잉엔라트 • 티에리 볼로레 •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 페르낭 르노 • 페르디난트 알렉산더 포르쉐 • 페르디난트 올리비에 포르쉐 • 페르디난트 포르쉐 • 페르디난트 피에히 • 페리 포르쉐 • 프란츠 요세프 포프 • 하랄트 크반트 • 한스 베르너 아우프레흐트 • 헤르베르트 디스 • 헤르베르트 크반트 • 헨리 로이스 • 헨리 프레데릭 스탠리 모건 • 헨릭 헨릭슨 • 호라치오 파가니 • 호세 오티즈-에차귀 후에르타스
|
|
미국 자동차 인물
|
그레이스 황 • 니콜라 테슬라 • 댄 거니 • 댄 한나 • 데이비드 던바 뷰익 • 데일 힐 • 랄프 티토 • 랜섬 올즈 • 로저 스미스 • 루이스 쉐보레 • 마크 타페닝 • 마크 피곳 • 마크 필즈 • 마틴 에버하드 • 맥스 호프만 • 메리 배라 • 버나드 체 • 벤자민 홀트 • 벤 티그너 • 아서 데이비슨 • 알 제이 스캐린지 • 어니스트 가르시아 3세 • 에드셀 포드 • 에이브러햄 캐럼 • 월터 제이콥스 • 월터 크라이슬러 • 윌리엄 듀런트 • 윌리엄 클레이 포드 • 윌리엄 클레이 포드 주니어 • 윌리엄 피곳 • 윌리엄 할리 • 일론 머스크 • 잭 앨런 • 젠슨 황 • 조벤 비버트 • 존 노스 윌리스 • 존 닷지 • 존 허츠 • 짐 팔리 • 짐 해켓 • 찰리 징 • 카스텐 브라이트펠트 • 칼 디트리히 • 캐롤 셸비 • 토머스 에디슨 • 프레스턴 페이트 • 피터 롤린슨 • 할리 얼 • 헨리 릴런드 • 헨리 포드 • 헨리 포드 2세 • 헨릭 피스커 • 호러스 닷지
|
|
일본 자동차 인물
|
도요다 기이치로 • 도요다 사키치 • 도요다 쇼이치로 • 도요다 아키오 • 마쓰시타 고노스케 • 아이카와 요시스케 • 카를로스 곤 • 타케무라 노부유키 • 하시모토 마스지로 • 혼다 소이치로 • 후지사와 다케오
|
|
한국 자동차 인물
|
강대근 • 강수원 • 강영권 • 강인철 • 고영휘 • 고인숙 • 고종 (대한제국) • 곽한 • 구자근 • 권영옥 • 권오수 • 권인범 • 김경아 • 김경호 • 김광열 • 김국태 • 김남선 • 김만용 • 김문기 • 김방신 • 김범수 • 김상태 • 김상호 • 김석원 • 김선현 • 김성문 • 김성호 • 김영민 • 김영창 • 김용각 • 김용중 • 김우중 • 김원석 • 김의석 • 김정완 • 김정현 • 김제원 • 김종배 • 김종석 • 김지만 • 김창원 • 김철호 • 김태근 • 김홍삼 • 도미닉 시뇨라 • 루크 동커볼케 • 류승동 • 림춘셍 • 문영준 • 민병순 • 박기준 • 박노정 • 박병곤 • 박봉근 • 박상우 • 박세영 • 박용희 • 박재욱 • 박재훈 • 박정국 • 박지훈 • 박한우 • 박현승 • 방명진 • 백병수 • 백성학 • 백승수 • 변경원 • 변대규 • 변성용 • 서재형 • 서창녕 • 서호권 • 성명호 • 손민혁 • 손일호 • 송승철 • 송영기 • 송창현 • 송호성 • 신재곤 • 알버트 비어만 • 예병태 • 오병호 • 오승호 • 오재학 • 오현서 • 왕유화 • 유병용 • 윤경수 • 윤보경 • 윤예찬 • 윤형준 • 이경민 • 이계안 • 이광국 • 이광진 • 이낙규 • 이랑 • 이만행 • 이명숙 • 이배희 • 이병철 • 이병한 • 이삼구 • 이상엽 • 이순종 • 이영권 • 이윤모 • 이재관 • 이재은 • 이재하 • 이종석 • 이종원 • 이종환 • 이중현 • 이지홍 • 이철상 • 이충곤 • 이태규 • 이현우 • 장영철 • 장잉 • 장재훈 • 전동근 • 정락초 • 정몽구 • 정민교 • 정상권 • 정세영 • 정양호 • 정연국 • 정우영 • 정의선 • 정종택 • 정주영 • 조국 • 조민제 • 조성주 • 조성환 • 조성희 • 지혜진 • 최무성 • 최순성 • 최인용 • 최준영 • 최혜성 • 카이 우베 자이덴푸스 • 크리스터 에크베르크 • 토마스 클라인 • 틸 셰어 • 피터 슈라이어 • 하동환 • 하언태 • 하종현 • 한상윤 • 한상진 • 한지형 • 함종성 • 허성만 • 허성중 • 황건 • 황순용 • 황요섭 • 황인수 • 황정상
|
|
중국 자동차 인물
|
구훼이난 • 다니엘 커처트 • 둘리강 • 딩레이 • 란칭송 • 랴오빙 • 루췬 • 루팡 • 리동훼이 • 리삔 • 리샤오주 • 리슈푸 • 리이난 • 리펑 • 리홍장 • 마오쩌둥 • 바오원광 • 샹싱추 • 션훼이 • 쉬류핑 • 쉬핑 • 쉬허이 • 시아이핑 • 쑨민 • 쑨전이 • 씨앤위에 • 안진 • 안총훼이 • 알렉산더 모이노프 • 양난 • 양룽 • 양지앤 • 얜빙저 • 얜펑 • 왕밍왕 • 왕원타오 • 왕웨이 • 왕촨푸 • 우지앤종 • 웨이더량 • 웨이더이 • 웨이지앤쥔 • 인밍샨 • 인통위에 • 자오마오칭 • 장루이핑 • 장바오린 • 장팡요우 • 정칭홍 • 주얜펑 • 주화롱 • 준 리 • 지아위에팅 • 지앙더이 • 천홍 • 천홍량 • 추티앤까오 • 치위민 • 탄쉬광 • 탕위샹 • 톰 주(주샤오통) • 판레이팡 • 황홍셩 • 후마오위앤 • 후샤오밍 • 후웨이웨이
|
|
기타 자동차 인물
|
라우겍포 • 라우초쿤 • 림부 딜립 쿠마르 • 아난드 마힌드라 • 안소니 웡 • 암논 샤슈아 • 에레즈 다간 • 월찬드 히라찬드 • 자그디시 찬드라 마힌드라 • 잠셋지 타타 • 조엘 잭슨 • 지브 아비람 • 케슈브 마힌드라 • 하셈 예크에-자레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아시아, 세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지도,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