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케이맨제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스쿠버 다이빙으로도 유명한 카리브 해의 아름다운 휴양지 케이맨 제도는 웨스트 인디즈(West Indies)에 있는 영국령으로 그랜드케이맨(Grand Kamen), 케이맨브랙(Cayman Braque), 리틀케이맨(Little Kamen)으로 이루어져 있다. 1503년 5월 10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가 신세계로 가는 네 번째 항해 중 최초로 닿았다. 자메이카(Jamaica)의 일부였으나 1670년 마드리드(Madrid) 협정에 의해 영국에 귀속되었다. 케이맨 제도의 생활 수준은 서인도 지역에서 가장 높고다. 케이맨 제도에는 영국 신교도, 아프리카 후손들, 그리고 기타 여러 인종들이 살고 있다. 군도 자치 정부가 통치를 하고 있으며, 18세부터 선거권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제도의 주지사는 영국 여왕이 임명한다. 영화 "카리브해의 해적들"에서 보듯이 해적 검은수염(Blackbeard)의 전설이 이 부근에서 나왔다. 케이맨 제도에는 외국 은행이나 기업들이 많고, 조세 피난처로도 알려져 있기도 하다.
+
1503년 5월 10일, 케이맨제도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가 신세계로 가는 네 번째 항해 중 최초로 발견했다. 당시엔 자메이카(Jamaica)의 일부였으나 1670년 마드리드(Madrid) 협정에 의해 영국에 귀속되었다. 케이맨 제도의 인구 비율은 영국 신교도 20%, 아프리카 후손들 20%, 그리고 기타 여러 인종이 40%정도이며, 총 인구의 절반가량이 수도인 조지타운에 밀집해있다. 공용어는 영어이며, 스페인어가 제2공용어이다. 케이맨제도는 군도 자치 정부가 통치하고 있으며, 18세부터 선거권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제도의 주지사는 영국 여왕이 임명한다. 영화 "카리브해의 해적들"에서 보듯이 해적 검은수염(Blackbeard)의 전설이 이 부근에서 나왔다.
 +
 
 +
케이맨제도의 인구는 5만여 명으로 매우 적지만, 현지인들보다 국제적인 [[금융]] 비즈니스맨들이  더 많이 상주하고 있는 제5대 금융 중심지이다. 전 세계 8만 여 개의 상장사가 케이맨제도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2011년 기준 뉴욕시 전체 은행 자산의 약 4배 규모인 1조 4,000억 달러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서인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생활 수준을 갖고 있다. 특히 거대 보험회사, 국제적인 금융회사들이 케이맨제도에 진출해있는데, 실제로 [[HSBC]], [[UBS]], [[도이치뱅크]], [[골드만삭스]], [[체이스뱅크]] 등 약 270여 개에 달하는 외국 [[은행]]과 기업들이 케이맨제도에 있다.
  
 
==현황==
 
==현황==
텔레그램(Telegram)이 출시할 그램 토큰(Gram token)이 카리브 해 케이맨 제도에 등록된 암호화폐 거래소 블랙문(Blackmoon)에 상장된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 Telegraph)에 따르면, 텔레그램의 자체 발행 토큰 톤(TON)이 케이맨 제도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블랙문에 상장될 예정이다. 블랙문은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출시 전 은행 카드를 사용한 토큰 구매 채널을 확보해 유동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이다.
+
케이맨제도는 [[조세피난처]](tax haven)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탈세감시기구에 따르면 다국적 대형 은행과 상장기업, 헤지펀드 등 다양한 형태의 개인과 기업들이 케이맨제도를 조세피난처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중엔 정치인도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 업계도 케이맨제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케이맨 제도는 영국과는 별개로 [[ICO]] 친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18년 상반기까지 집계된 ICO 현황을 살펴보면 케이맨 제도에서 약 4,254건의 ICO가 진행됐다. 케이맨제도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는 [[블랙문 크립토]](Blackmoon Crypto)이다. 다른 크립토밸리의 대형 거래소와 비교하면 가입자가 4,000명 미만인 소형 거래소지만, 2018년 초 [[텔레그램]](Telegram) [[토큰 세일]]참여한 투자자의 1/3 이상을 이용자로 유치했다. 게다가 텔레그램의 자체 발행 토큰인 [[]](TON)은 블랙문 크립토에 상장될 예정이다.<ref>코인니스, 〈[https://www.tokenpost.kr/article-17894 텔레그램 TON,케이맨 제도 거래소'블랙문'상장 예정]〉, 《토큰포스트》, 2019-09-10</ref>
  
 
==동영상==
 
==동영상==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mKalDn3Va64</youtube>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mKalDn3Va64</youtube>
 +
 
== 지도 ==
 
== 지도 ==
 
{{지도|케이맨제도}}
 
{{지도|케이맨제도}}
  
 
==참고자료==
 
==참고자료==
*은예솔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22456 텔레그램 토큰, 케이맨제도 암호화폐 거래소 블랙문 ‘상장’]〉, 《blockinpress》, 2019-09-11
 
*코인니스, 〈[https://www.tokenpost.kr/article-17894 텔레그램 TON,케이맨 제도 거래소'블랙문'상장 예정]〉, 《tokenpost》, 2019-09-10
 
*김세진 기자,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9/722814/ ICE, 백트 현물 기반 BTC 선물 보증금 예치 조건 발표 外]〉, 《mknews》, 2019-09-11
 
 
*〈[https://ko.wikipedia.org/wiki/%EC%BC%80%EC%9D%B4%EB%A7%A8_%EC%A0%9C%EB%8F%84 케이맨제도]〉,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C%80%EC%9D%B4%EB%A7%A8_%EC%A0%9C%EB%8F%84 케이맨제도]〉, 《위키백과》
 +
* 은예솔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22456 텔레그램 토큰, 케이맨제도 암호화폐 거래소 블랙문 ‘상장’]〉, 《블록인프레스》, 2019-09-11
 +
* 김세진 기자,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9/722814/ ICE, 백트 현물 기반 BTC 선물 보증금 예치 조건 발표 外]〉, 《매일경제》, 2019-09-11
 +
* 코인니스, 〈[https://www.tokenpost.kr/article-17894 텔레그램 TON,케이맨 제도 거래소'블랙문'상장 예정]〉, 《토큰포스트》, 2019-09-10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카리브해]]
 
* [[카리브해]]
  
 
{{정부|토막글}}
 
{{정부|토막글}}

2019년 9월 19일 (목) 11:01 판

케이맨제도(Cayman Islands)는 미국 남쪽 카리브해에서 쿠바 남쪽에 있는 섬들을 말한다. 케이맨제도는 영국 영토에 속하며, 수도는 조지타운이고, 공용어는 영어이지만 에스파냐어도 많이 사용된다. 케이맨제도는 스쿠버 다이빙으로 유명한 카리브해의 아름다운 휴양지이다. 케이맨제도는 그랜드케이맨, 케이맨브랙, 리틀케이맨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요

1503년 5월 10일, 케이맨제도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가 신세계로 가는 네 번째 항해 중 최초로 발견했다. 당시엔 자메이카(Jamaica)의 일부였으나 1670년 마드리드(Madrid) 협정에 의해 영국에 귀속되었다. 케이맨 제도의 인구 비율은 영국 신교도 20%, 아프리카 후손들 20%, 그리고 기타 여러 인종이 40%정도이며, 총 인구의 절반가량이 수도인 조지타운에 밀집해있다. 공용어는 영어이며, 스페인어가 제2공용어이다. 케이맨제도는 군도 자치 정부가 통치하고 있으며, 18세부터 선거권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제도의 주지사는 영국 여왕이 임명한다. 영화 "카리브해의 해적들"에서 보듯이 해적 검은수염(Blackbeard)의 전설이 이 부근에서 나왔다.

케이맨제도의 인구는 5만여 명으로 매우 적지만, 현지인들보다 국제적인 금융 비즈니스맨들이 더 많이 상주하고 있는 제5대 금융 중심지이다. 전 세계 8만 여 개의 상장사가 케이맨제도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2011년 기준 뉴욕시 전체 은행 자산의 약 4배 규모인 1조 4,000억 달러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서인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생활 수준을 갖고 있다. 특히 거대 보험회사, 국제적인 금융회사들이 케이맨제도에 진출해있는데, 실제로 HSBC, UBS, 도이치뱅크, 골드만삭스, 체이스뱅크 등 약 270여 개에 달하는 외국 은행과 기업들이 케이맨제도에 있다.

현황

케이맨제도는 조세피난처(tax haven)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탈세감시기구에 따르면 다국적 대형 은행과 상장기업, 헤지펀드 등 다양한 형태의 개인과 기업들이 케이맨제도를 조세피난처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중엔 정치인도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 업계도 케이맨제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케이맨 제도는 영국과는 별개로 ICO 친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18년 상반기까지 집계된 ICO 현황을 살펴보면 케이맨 제도에서 약 4,254건의 ICO가 진행됐다. 케이맨제도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블랙문 크립토(Blackmoon Crypto)이다. 다른 크립토밸리의 대형 거래소와 비교하면 가입자가 4,000명 미만인 소형 거래소지만, 2018년 초 텔레그램(Telegram) 토큰 세일에 참여한 투자자의 1/3 이상을 이용자로 유치했다. 게다가 텔레그램의 자체 발행 토큰인 (TON)은 블랙문 크립토에 상장될 예정이다.[1]

동영상

지도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케이맨제도 문서는 지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1. 코인니스, 〈텔레그램 TON,케이맨 제도 거래소'블랙문'상장 예정〉, 《토큰포스트》, 201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