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미디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제품 소개)
19번째 줄: 19번째 줄:
 
* '''[[박윤성]]'''(Andrew Park) - 한국 과학기술원(KAIST) 삼성전자 석사이며, ㈜미디움의 CTO이다.
 
* '''[[박윤성]]'''(Andrew Park) - 한국 과학기술원(KAIST) 삼성전자 석사이며, ㈜미디움의 CTO이다.
  
==제품 소개==
+
==특징==
===BPU===
+
===기술===
미디움은 모든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고속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하며, 미디움이 개발한 '하드웨어 가속 기술'은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믿을 수 없는 속도를 내고 있으며, 미디움의 BPU를 통해 현재 이용이 가능하다.
+
====BPU====
 +
BPU는 미디움에서 전세계 최초로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하드웨어 정보처리장치이다. BPU는 Crypto Engine, Enhanced DB, SC Engine, NIC Engine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작 형태를 묘듈화하였고 각 모듈 파트별로 데이터 처리 패턴의 특징에 맞게 구조가 설계되어 동작된다. 이와 같은 패턴 모듈화 설계 방식은 기존 범용 목적으로 설계된 CPU에서 동작하는 데이터 연산과 메모리 컨트롤 메커니즘 상에서 발생할 밖에 없는 병목현상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스마트 컨트랙트 데이터 등의 데이터 패턴에 맞게 최적화되었다. 이러한 BPU는 전세계적으로 처음 시도되었고 수 천개가 넘는 블록체인 연구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고도화 하는 연구이다. MEDIUM의 이러한 시도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혁신을 거듭하여 고성능 블록체인 플랫폼의 표준을 제시할 것이다.
  
미디움의 하드웨어기반 블록체인 전용칩인 [[BPU]](Blockchain Processing Unit)는 기업시스템 혁신을 위한 세계 최고수준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존 [[개인]](Private) 블록체인은 서버 컴퓨팅을 처리하던 CPU나 메모리, [[SSD]](Solid State Drive) 등의 자원이 트랜잭션 및 블록까지 처리하면서 성능의 한계에 도달하였고, 이는 곧 전체 시스템의 과부하로 이어졌다. 미디움은 블록체인의 주요 기능별 처리를 위한 독립적 자원과 하드웨어를 구성하고, 트랜잭션과 블록의 병렬처리기술을 적용한 블록체인 컴퓨팅 전용 하드웨어를 개발하였다. 미디움의 BPU는 CPU에 부하를 주지 않고도 서명, DB, 네트워크 및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버퍼 없이 초고속으로 처리한다.
+
====구조====
 +
미디움은 Order-Execute를 비롯한 여러 합의 방식과 아키텍처에서 드러난 성능 제한 요소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방법 중 하이퍼레저 패브릭이 고안한 방식을 벤치마크하였다. 패브릭의 경우 몇몇 노드들이 먼저 트랜잭션을 실행시킨 후 결과값에 대한 검증을 하는 단계와 모든 노드들 에게 적용하는 단계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ExecuteOrder-Validate Architecture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설계는 패프릭이 오더에 대한 최종 합의에 도달하기 전에 트랜잭션을 실행한다는 점에서 Order-Execution 방식과 근본적으로 다른 구조라 할 수 있다. 미디엄은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E-O-V 방식의 아키텍처 메커니즘과 합의방식의 방향성을 벤치마크하여 자체적인 아키텍처를 설계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트랜잭션 정보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좀 더 모듈화하고 구조화하여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아키텍처를 구현하고 있다.
  
[[파일:미디움 블록체인 BPU 전용 칩.PNG|썸네일|700픽셀|가운데|미디움 블록체인 BPU 전용 칩]]
+
====프록시====
 +
E-O-V Architecture를 이용하여 분산화 서비스를 운영할 때에 플랫폼에 접근하여 리소스를 이용하는 역할을 클라이언트가 담당하게 되며 클라이언트는 플랫폼 내부에서 존재하는 피어, 주문자와 직접 통신하여 노드에 대한 인증과 데이터의 기록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피어, 주문자의 IP 주소 등 접속과 통신을 위한 정보를 알고있어야 하며 인증확인, 체결, 요청 등의 여러 단계를 클라이언트가 직접 노드들과 여러 번의 통신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클라이언트의 최종적인 정보처리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피어와 주문자의 정보가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노출되는 측면에서도 개선이 필요한 구조라 할 수 있다.
  
'''중간체 ASIC, 응용 분야별 집적 회로'''
+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미디움은 프록시 개념을 도입하여 클라이언트가 플랫폼에 접속하거나 리소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프록시를 통해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미디엄 프록시 시스템을 통하면 클라이언트는 개별적으로 피어, 주문자 등과 같은 개별 노드와 통신할 필요가 없으며 데이터의 요청, 관리를 위한 통신을 프록시 노드하고만 개별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는 절차적 효율성 측면에서도 개선된 구조라 할 수 있지만, 서비스를 위해 플랫폼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불필요하게 플랫폼 구성에 대한 민감 정보를 취득하게 되는 정보보안 측면에서도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조라할 수 있다.
[[파일:미디움 어플라이언스 패키지.PNG|300픽셀|섬네일|오른쪽|미디움 어플라이언스 패키지]]
 
  
* '''[[암호화 엔진]](Crypto Engine)''' : 전자 서명 및 검증 확장된 공유 동적 저장 영역(ESDSA)을 위한 고성능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병렬 처리기를 탑재하였다.
+
위에서 설명한 경우는 분산화 디앱이 블록체인 플랫폼에 접속하여 리소스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면 아래의 경우 개별적으로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운영중인 사업자(정부기관, 금융기관, 단체 등)가 초고속의 블록체인 플랫폼 기능만을 별도로 이용하고자 할 때 미디움 프록시 노드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미디움 퍼블릭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제공되는 프록시 노드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사업자의 요구사항과 특수 환경에 맞게 전체적으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데이터 통신 방식을 통해 보안성을 보장한다.
* '''[[BPU]](Blockchain Processing Unit)''' : CPU와 별도로 블록체인운영에 최적화된 BPU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서 직접 스마트 컨트랙트 요청을 처리 대량의 실행을 병렬로 처리하는 하드웨어를 통해 백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이 포함된 블록을 생성한다.
 
* '''[[TCP 오프로드 엔진 인터그레이션]](TCP Offload Engine Integration)''' : 다중 포트를 통해 수십만 건의 동시 신호를 처리하며, [[인터넷정보센터]](Network Information Center, NIC)에서 캐시를 읽기 요청된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여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으로 인한 로드 감소를 줄인다.
 
* '''[[향상된 DB]](Enhanced DB)''' : 제한된 [[노에스큐엘]](NoSQL) 및 [[데이터베이스]](DB)의 속도 개선을 위해 100만 TPS 구현이 가능한 H/W기반의 DB를 개발한다.  
 
  
'''미디움과 어플라이언스'''
+
====솔루션====
 
+
미디엄은 하이퍼레저 패브릭를 비롯한 엔터프라이즈형 블록체인 플랫폼과 대표적인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의 합의 방식 트랜잭션 처리방식을 분석하여 성능향상에 제한되는 요소가 공통적으로 도출되는 5가지 쟁점으로 수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디엄 BPU를 통하여 직접처리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모델을 총 7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미디움과 어플라이언스에는 [[개인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하이브리드 블록체인]](HYBRID BLOCKCHAIN) 세 가지 블록체인이 있다.
 
* '''개인 블록체인''' : 미디움의 개인 블록체인은 허가된 사용자만 접근 가능하며, 참여 노드 관리가 필요한 기업이나 기관, 또는 기업 간 컨소시엄에 적용되는 제한적 탈중앙화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블록체인 플랫폼 모델이다.
 
* '''퍼블릭 블록체인''' : 미디움은 전 세계 각지의 블록체인 컨소시움을 미디움의 퍼블릭 블록체인과 인터 체인하여 지역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초고속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는 참여노드 관리가 가능한 개인 블록체인 형태이나 미디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인과 퍼블릭 블록체인 형태가 특징인 혼합형 블록체인 플랫폼 모델이다.<ref>〈[https://themedium.io/blockchain/blockchain.php 미디 블록체인 소개]〉, 《미디움》</ref>
 
 
 
===블로키월렛===
 
[[파일:특징3.PNG|썸네일|600픽셀|가운데|블로키월렛(Blockey Wallet)]]
 
[[파일:특징.PNG|썸네일|300픽셀|블로키월렛(Blockey Wallet) 특징]]
 
 
 
미디움의 [[블로키월렛]](Blockey Wallet)은 콜드 월렛의 보안성과, 핫 월렛의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고, 미디움의 블록체인으로 세계 최고속 블록체인의 기술력을 증명하며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블로키월렛은 미디움이 개발하여 MWC 2019(Mobile World Congress)에서 처음 선보인 암호화폐 지갑이다. 스마트폰에 내장하는 세계 최초의 마이크로 SD 카드 기반인 콜드 월렛이다.<ref>코인니스, 〈[https://kr.coinness.com/articles/28158 콜드월렛 완전 정복…가장 안전한 지갑은?]〉, 《코인니스》, 2019-04-04</ref>
 
 
 
블로키월렛은 하드웨어 형태이지만 별도의 디바이스가 아닌 스마트폰에 내장하는 마이크로 SD카드에 암호화폐를 담는 형식이다. SD카드 내부의 [[트러스트 존]](Trust Zone)에 프라이빗키를 저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 암호화폐 지갑 앱을 사용하더라도 [[프라이빗키]](Private Key)가 스마트폰이나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해킹을 당해도 털릴 일은 없다. 별도의 카드나 단말기 형태로 휴대해야 했던 기존의 [[콜드 월렛]]이 지닌 복잡한 사용절차를 보완한 것이 블로키월렛이다.<ref> huobikorea, 〈[https://blog.naver.com/huobikorea/221549622460 완벽한 디지털 금고, 존재할까]〉, 《네이버 블로그》, 2019-05-29</ref>
 
 
 
블로키월렛은 마이크로 SD카드 내부에 탑재한 보안 펌웨어로 [[ECDSA]](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 기반 전자 서명을 지원해 암호화폐 거래의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스토리지 내 데이터 암호화 및 [[고급 암호화 표준]](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을 사용해 멀티미디어 파일 저장의 안정성을 더욱 높였다.<ref> 심은혜 기자, 〈[http://www.dailybizon.com/news/articleView.html?idxno=13076 미디움, 마이크로 SD카드 기반 스마트폰 콜드월렛 선봬]〉, 《데일리비즈온》, 2019-02-20</ref>
 
 
 
===하백(HAVAEG)===
 
[[파일:미디움의 하백(HAVAEG).PNG|400픽셀|섬네일|오른쪽|미디움의 해킹 바이러스 방패인 하백(HAVAEG)]]
 
 
 
해킹 및 바이러스 방패(Virus Aegis)인 [[하백]](HAVAEG)은 공공기관과 개인 및 기업 등의 모든 PC 사용 계층을 위한 가장 편리하고 안전한 백신 및 컴퓨터 보안 관리 솔루션이다. PC 사용자의 활동 유형을 [[웹서핑]](Vaccine), [[파일실행]](Cleaner), [[파일편집]](Anti-Ransomware)으로 정의한 후 복잡하고 불필요한 기능을 없애고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기능으로만 구성하였다.
 
* '''백신''' : 글로벌 최고의 백신 엔진 탑재로 바이러스 오탐 지율을 최소화 시켰다.
 
* '''PC클리너''' : PC 및 프로그램 정리를 통한 성능저하를 방지한다.
 
* '''안티-랜섬웨어''' : 파일 보호, 암호화, MBR 보호, 프로세스 제어를 통해 개선된 화이트리스트 알고리즘을 반영한다.<ref name="미디움">〈[https://themedium.io/security/security.php 미디움의 보안]〉, 《미디움》</ref>
 
  
 
==보안==
 
==보안==

2020년 1월 30일 (목) 13:37 판

㈜미디움(Medium) 로고
㈜미디움(Medium) 로고와 글자
블로키월렛(Blockey Wallet)
현영권(Hyun Young Kwon) 대표이사

㈜미디움(Medium)은 블로키월렛(Blockey Wallet)을 출시한 한국 IT보안 전문기업이다. 회사 대표는 현영권(Hyun Kahn)이며, CTO는 박윤성(Andrew Park)이다. 본사는 서울 강남구 학동로 211, 2층과 4층에 위치하여 있다.

개요

미디움은 상용 엔터프라이즈 시장의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상용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고성능 및 초고속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보장하고, 그에 적합한 솔루션과 더불어 기존 블록체인 시장과의 통합성을 동시에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디움은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명령어 수행과 블록 생성을 위한 스레드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한 병렬화 기술이 적용된 블록체인 컴퓨팅 전용 하드웨어 BPU(Blockchain Processing Unit)를 개발했다. BPU는 블록체인의 주요 기능들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가 모듈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블록체인 플랫폼의 처리 성능을 혁신적으로 올려주는 MEDIUM의 기술이 집약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BPU는 블록체인에서 속도 지연 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는 병목 구간과 복잡한 구조의 처리방식을 모듈화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미디움 블록체인은 현재 프라이빗 블록체인 시장의 사실상 표준(de facto standard)인 하이퍼레저 페브릭(hyperledger fabric)의 아키텍처를 벤치마킹하여 새롭게 설계하였으며, 하드웨어와 CPU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인 C++로 하이퍼레저 페브릭을 BPU 상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완전 재구성함으로써 이론상 구현 가능한 가장 빠른 속도를 미디엄 BPU로 실현시키고자 한다.

주요 인물

미디움 피플
  • 현영권(Hyun Kahn) - 1996년 액토즈소프트(ACTOS soft)를 창업하였고, 중국 최초 온라인 게임인 미르(傳奇)의 서비스 설립자이며, 현재 ㈜미디움 대표이사이다.
  • 김판종(Pan-jong Kim) - ㈜미디움의 이사회 의장 겸 스마트이노베이션(Smartinnovation Inc.) CEO 및 노바 글로벌 기술(Nova Global Technology) 대표이사이다.
  • 박윤성(Andrew Park) - 한국 과학기술원(KAIST) 삼성전자 석사이며, ㈜미디움의 CTO이다.

특징

기술

BPU

BPU는 미디움에서 전세계 최초로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하드웨어 정보처리장치이다. BPU는 Crypto Engine, Enhanced DB, SC Engine, NIC Engine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작 형태를 묘듈화하였고 각 모듈 파트별로 데이터 처리 패턴의 특징에 맞게 구조가 설계되어 동작된다. 이와 같은 패턴 모듈화 설계 방식은 기존 범용 목적으로 설계된 CPU에서 동작하는 데이터 연산과 메모리 컨트롤 메커니즘 상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병목현상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 데이터와 스마트 컨트랙트 데이터 등의 데이터 패턴에 맞게 최적화되었다. 이러한 BPU는 전세계적으로 처음 시도되었고 수 천개가 넘는 블록체인 연구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고도화 하는 연구이다. MEDIUM의 이러한 시도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혁신을 거듭하여 고성능 블록체인 플랫폼의 표준을 제시할 것이다.

구조

미디움은 Order-Execute를 비롯한 여러 합의 방식과 아키텍처에서 드러난 성능 제한 요소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방법 중 하이퍼레저 패브릭이 고안한 방식을 벤치마크하였다. 패브릭의 경우 몇몇 노드들이 먼저 트랜잭션을 실행시킨 후 결과값에 대한 검증을 하는 단계와 모든 노드들 에게 적용하는 단계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ExecuteOrder-Validate Architecture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설계는 패프릭이 오더에 대한 최종 합의에 도달하기 전에 트랜잭션을 실행한다는 점에서 Order-Execution 방식과 근본적으로 다른 구조라 할 수 있다. 미디엄은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E-O-V 방식의 아키텍처 메커니즘과 합의방식의 방향성을 벤치마크하여 자체적인 아키텍처를 설계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트랜잭션 정보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좀 더 모듈화하고 구조화하여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아키텍처를 구현하고 있다.

프록시

E-O-V Architecture를 이용하여 분산화 서비스를 운영할 때에 플랫폼에 접근하여 리소스를 이용하는 역할을 클라이언트가 담당하게 되며 클라이언트는 플랫폼 내부에서 존재하는 피어, 주문자와 직접 통신하여 노드에 대한 인증과 데이터의 기록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피어, 주문자의 IP 주소 등 접속과 통신을 위한 정보를 알고있어야 하며 인증확인, 체결, 요청 등의 여러 단계를 클라이언트가 직접 노드들과 여러 번의 통신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클라이언트의 최종적인 정보처리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피어와 주문자의 정보가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노출되는 측면에서도 개선이 필요한 구조라 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미디움은 프록시 개념을 도입하여 클라이언트가 플랫폼에 접속하거나 리소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프록시를 통해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미디엄 프록시 시스템을 통하면 클라이언트는 개별적으로 피어, 주문자 등과 같은 개별 노드와 통신할 필요가 없으며 데이터의 요청, 관리를 위한 통신을 프록시 노드하고만 개별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는 절차적 효율성 측면에서도 개선된 구조라 할 수 있지만, 서비스를 위해 플랫폼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불필요하게 플랫폼 구성에 대한 민감 정보를 취득하게 되는 정보보안 측면에서도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조라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경우는 분산화 디앱이 블록체인 플랫폼에 접속하여 리소스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면 아래의 경우 개별적으로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운영중인 사업자(정부기관, 금융기관, 단체 등)가 초고속의 블록체인 플랫폼 기능만을 별도로 이용하고자 할 때 미디움 프록시 노드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미디움 퍼블릭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제공되는 프록시 노드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사업자의 요구사항과 특수 환경에 맞게 전체적으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데이터 통신 방식을 통해 보안성을 보장한다.

솔루션

미디엄은 하이퍼레저 패브릭를 비롯한 엔터프라이즈형 블록체인 플랫폼과 대표적인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의 합의 방식 및 트랜잭션 처리방식을 분석하여 성능향상에 제한되는 요소가 공통적으로 도출되는 5가지 쟁점으로 수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디엄 BPU를 통하여 직접처리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모델을 총 7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보안

블로키 하드웨어 보안

하드웨어 보안

블로키는 보안 강화를 위해 특수 제작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의 보안소자(Secure Element) 영역에 프라이빗키를 저장하여 보호하는 하드웨어 방식의 우수한 보안성과 동시에, 별도의 디바이스 조작 없이 쉽게 거래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월렛의 편의성을 겸비하고 있다.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으면서 동시에 자유로운 거래를 원한다면 블로키월렛을 사용하면 된다.

주요 토큰간 스왑 지원

블로키월렛 주요 토큰간 SWAP 지원

블로키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의 주요 코인들과 ERC-20 토큰들을 모두 지원한다. 이더리움과 ERC-20 토큰, 혹은 ERC-20 토큰끼리의 교환은, 거래소 등 별도의 외부 서비스 없이 블로키월렛 서비스 안에서 가능하다. 또한, 주요 코인을 지속적으로 추가 예정이며, ERC-20 토큰은 사용자임의 등록이 가능하다.

보안 스토리지 제공

블로키는 암호화폐뿐 아니라 다양한 확장자의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는 ‘보안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본인 인증을 거치지 않으면 어떤 방법으로도 노출되지 않는 비밀스럽고 안전한 공간은 소중한 자료들을 보관하기 위한 최고의 비밀금고이다.[1]

최근 동향

미디움, MWC 상하이에서 ‘블록체인 플랫폼-블로키’ 선보여

MWC 상하이(Mobile World Congress Shanghai)가 2019년 6월 26일부터 28일까지 5G 신기술, 4차 산업혁명 등 8가지 테마로 상하이 뉴인터네셔날 엑스포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지능형 연결(Intelligent Connectivity)’을 메인 주제로 퀄컴과 삼성전자, 화웨이 등 세계 약 2,300여개 업체가 참여한 이 행사에서 미디움은 초고속 블록체인 플랫폼 ‘MEDIUM Blockchain’과 마이크로 SD카드를 이용한 스마트폰 콜드월렛 ‘블로키’를 선보였다.

미디움은 이날 인터뷰를 통해 금융, 보안, 전자업체 등 국내외 바이어로부터 사업 연계 및 투자 제안을 받는 등 해외시장에서 뜨거운 주목을 받았으며 부스에는 초고속 블록체인 플랫폼에 대한 설명을 직접 듣기 위한 인파들이 몰려들었고 차세대 스마트폰 콜드월렛인 블로키는 관람객의 시선을 한 몸에 받았다고 밝혔다. 미디움은 초고속 블록체인을 2018년 12월 국제 시연회에 소개한바 있다.[2]

동영상

각주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B.AF.B8.EB.94.94.EC.9B.8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2. 주은혜 기자/조해리 기자, 〈미디움, MWC 상하이에서 ‘블록체인 플랫폼·블로키’ 선봬〉, 《블록체인밸리》, 2019-07-10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미디움 문서는 블록체인 개발업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