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자연제방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자연제방의 형성

자연제방(自然堤防)은 하천의 양쪽에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제방이다. 홍수가 일어날 때나 하천범람할 때, 하천의 중심부보다도 가장자리 쪽의 유속(流速)이 약하므로 모래자갈이 가장자리에 쌓이면서 을 이룬다.[1]

개요[편집]

자연제방은 범람원 내에 하천의 양안(兩岸)을 따라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고 조립질로 구성된 부분이다.

하천범람 때문에 형성된 범람원은 하천이 범람할 때마다 하천 주변으로 토사퇴적시키는데, 하도(河道)에 가까울수록 더 많은 양의 토사가 퇴적되어 하천 주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도가 더 높은 지형이 생겨난다. 해마다 홍수 등에 의해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하천양안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은 지대가 넓게 형성되는데, 이를 자연제방이라 한다. 한편, 자연제방을 넘어 하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의 경우 하천이 범람하더라도 토사의 공급이 적으며, 미립질의 가벼운 물질이 흘러 들어가 낮은 저지대를 형성하는데, 이를 배후습지라 한다.

자연제방은 자연적으로 생겨난 제방이라는 의미이지만, 실제로는 불규칙한 모양에 비교적 폭이 넓은 모양을 갖는 경우가 많아 제방처럼 보이지는 않고, 단순히 상대적으로 주변 저지대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땅으로 보인다. 다만, 홍수 때 침수가 덜 되거나 막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제방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자연제방의 특징으로는 하천에 인접하여 있어 자갈이나 모래 등 비교적 무거운 조립질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배수가 잘되고, 침수 피해가 적어 예로부터 취락이나, 밭농사, 과수원 등으로 이용됐다. 자연제방이 침수로부터 절대적으로 안전하지는 않기 때문에, 자연제방 위에 둑 등 인공제방을 쌓는 경우도 많다. 또한, 하천의 유로가 바뀌더라도, 자연제방은 남기 때문에 자연제방의 분포를 통해 구(舊)유로의 변천 과정을 추정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제방은 범람이 잘 일어나는 대하천의 하류 지역에 나타나며, 후빙기 해수면 상승과 관련하여 형성된 넓은 범람원에서 잘 나타난다. 한강의 경우 시가지 조성으로 범람원의 원형이 많이 사라졌으나, 현재까지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연제방으로 뚝섬이 있다. 뚝섬은 섬이 아니지만, 주변의 저지대의 지류로 둘러싸여 섬의 모양을 하고 있기도 하며, 또는 침수 시 상대적으로 지대가 높아 섬처럼 보여 뚝섬이라 불린 것으로 추정된다.[2]

각주[편집]

  1. 자연제방〉, 《네이버국어사전》
  2. 자연제방〉, 《네이버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의견.png 이 자연제방 문서는 지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