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충적평야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충적평야(沖積平野)는 하천에 의해 운반된 자갈·모래·진흙 등이 범람하여 연안의 낮은 퇴적되어 만들어진 평야를 뜻한다. 퇴적평야라고도 부른다. 충적평야라는 명칭은 지질 시대의 마지막 시대, 즉 현대를 일컫는 충적세에서 유래되었다.[1]

개요[편집]

충적평야는 하류하천운반 퇴적하는 토사가 쌓여 이루어진 평야이다. 충적평야는 후빙기 해면상승(後氷期 海面上昇) 이후 현재의 해면을 기준으로 형성되어 해발고도가 10m 내외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낮다.

충적평야는 지면이 극히 평평하여 거의 전부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홍수 시에는 침수(浸水)를 면하지 못한다. 충적지는 주변의 구릉지(丘陵地)와는 지형 또는 토질이나 토지 이용이 판이하다. 구릉지는 토양이 기반암의 풍화토로 되어 있고, 논·밭·과수원·목장 등 다양하게 이용되며, 임야(林野)로 남아 있는 곳도 많다. 충적지 주변의 구릉지는 기복이 아주 작은 경우에도 삼림으로 덮여 있으면 야산(野山)이라고 불리운다.

충적평야에서 가장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은 범람원(汎濫原, flood plain)이다. 범람원은 홍수 시에 하천이 범람하는 저습지를 말하며, 범람원 상에는 자연제방과 배후습지와 같은 지형이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수 시에 물이 하도를 흘러넘치게 되면 유속이 격감하여, 부유하중으로 운반되던 토사 중에서 모래와 실트 등이 하도 가까이에 퇴적되면서 하천 양안에 약간 높은 지형을 만드는 데 이를 자연제방이라 하며, 하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은 토사의 유입이 적고 고도가 낮아 특히 낮은 곳은 배후습지, 즉 늪을 형성하게 된다.

  • 형성 원인 : 후빙기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빙기에 깊이 파인 골짜기가 하천의 토사에 의해 매립되어 발달한 것이다.
  • 발달 지역 : 하천 주변 지역에 발달하여 있으며, 대체로 상류의 선상지, 중・하류의 범람원, 하구의 삼각주로 구성되어 있다.
  • 토지 이용 : 충적평야는 평야의 핵심부로 토양의 퇴적층이 두껍고 비옥하여 대개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충적평야 소개  

종류[편집]

선상지
선상지(함경남도 안변군)

선상지(扇狀地)란, 부채(fan) 모양의 땅이라는 의미로 하천의 퇴적작용으로 인해 형성된 충적평야(沖積平野)의 한 종류이다. 주로 하천의 상류에 나타나는데, 산지의 급한 경사 지대를 흐르던 하천이 경사가 완만한 평지로 들어오면서 유속이 급격히 느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류에서 운반해오던 토사들을 퇴적시키면서 형성된 지형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의 골짜기는 좁은데 비해 평지에 이르러서는 넓은 지형이 나타나 원추 모양으로 토사가 퍼지기 때문에 부채 모양의 지형이 형성된다.

선상지를 형성시키는 하천은 일반적으로 유속이 빠른 편으로 처음에 쌓이는 퇴적물은 비교적 큰 입자들로 구성된다. 이처럼 입자가 큰 퇴적물들이 선상지의 상단에 쌓임으로 인해 이후 이곳을 흐르는 하천은 지표면 뿐 아니라 퇴적물 사이로 스며들어 지하를 통해 흐르는 지하수층이 생성되기도 한다. 이렇게 지하로 흐르던 물은 일반적으로 다시 선상지의 하류부 끝에서 다시 표면으로 올라와 용천대(spring zone)를 형성한다.

선상지가 잘 형성되기 위한 지형적 조건으로는 상류 산지에서 공급되는 퇴적물이 많아야 하며, 급사면에서 완사면으로의 경사급변점이 있어야 하고, 평지와 만나는 퇴적 지역은 하천이 자유롭게 유로를 확장ㆍ이동할 수 있는 곳이 좋다. 기후적인 요인으로는 강수의 주기가 일정치 않으며 집중호우의 형태로 내리는 지역, 주로 건조지역 같이 식생 발달이 미약한 지역에 잘 나타난다. 세계적으로 선상지가 가장 잘 발달된 곳은 건조기후 지역의 단층 주변이다.

선상지는 하천의 규모나 지형의 형태, 지역 조건 등에 따라 그 길이가 수십 미터에서 수 킬로미터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또한 그 경사도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대하천이거나 구성물질의 입경이 작을 수록 선상지의 경사가 완만하며, 어떤 곳은 경사가 매우 완만하여 거의 평지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규모가 큰 선상지의 경우, 선상지의 상부와 중앙부, 그리고 하단부의 특색이 다른데, 각각 선정, 선앙, 선단이라 부른다. 토지 이용 특성에 차이가 나타나는데, 전통적으로 선정 부분은 산의 골짜기에 인접한 곡구(谷口) 취락이 발달하며, 토양 입자가 커서 농경지는 주로 밭으로 이용된다. 선앙은 하천이 지하로 복류(伏流, underflow)하여 지표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주로 밭과 과수원으로 이용되며, 선단은 용천대를 따라 집들이 늘어선 열촌(列村) 형태의 취락이 발달하며 논으로 이용되곤 한다. 그러나 주변 환경에 따라 선상지의 토지 이용은 다양하게 달라지기도 한다.

대한민국은 대체로 형성된 지 오래된 지형이 많아, 산지 높이가 높지 않고, 경사가 상대적으로 완만하여 선상지의 발달이 미약하다. 그러나 사천, 구례, 해미, 석왕사 등에는 선상지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다.[2]

범람원
범람원 형성

범람원(汎濫源)은 홍수 때 강물이 평상시의 물길에서 넘쳐 범람하는 범위의 평야이다. 충적평야의 일종이며, ㆍ모래ㆍ자갈 따위가 퇴적하여 이루어진다.[3]

하천이 토사 등을 운반하여 퇴적시키는 작용으로 인해 생겨난 평야를 충적평야(沖積平野)라 하는데, 충적평야의 대표적인 예가 범람원이다. 글자 그대로 하천이 범람하는 것으로 인해 생겨난 평원을 말한다. 하천은 우기(雨期)에 이 많이 불어나거나 폭우로 물이 범람할 때 토사를 대량으로 운반하게 되므로, 물의 흐름에 의해 운반된 토사들이 하천 주변에 쌓이면서 점차 평평한 평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하천의 주기적인 범람으로 형성된 범람원은 구조적으로 하천의 양안(兩岸) 주변에 상대적으로 토사 퇴적량이 많아 마치 하천을 따라 제방을 쌓은 것처럼 주변보다 고도가 높아지는데, 이를 자연제방이라 한다. 자연제방은 자연적으로 생긴 제방이란 의미로 인공제방처럼 일정한 폭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제방처럼 보이지 않기도 한다. 자연제방 배후로 점토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작은 입자의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데, 자연제방의 높이로 인해 배후에는 퇴적물이 적게 쌓여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은 지대가 형성되며, 이를 배후습지라 한다.

자연제방은 상대적으로 입자가 굵고 무거운 조립질의 모래 등이 많아 배수가 잘되며, 지대가 높아 홍수 피해가 적어 전통적으로 취락, 혹은 농경지 중 밭농사나 과수원이 발달한 경우가 많다. 반면, 배후습지는 지대가 낮고 점토질 성분으로 배수가 잘 안되어 자연상태의 늪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개간하여 논농사를 짓기도 한다. 물론 도시화한 곳이나 한국과 같이 인구보다 국토가 좁은 나라 같은 경우, 매립 및 성토 작업을 통해 각종 용지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경우 배후습지는 대부분 시가지화되었다.

대한민국의 큰 강 하류 부근에 나타나는 넓은 범람원은 빙기(氷期) 때 깊게 파인 하곡(河谷)에 후빙기(後氷期)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넓은 퇴적층이 형성되어 생겨난 경우가 많다. 한강, 금강, 영산강 등 하류부에 나타나는 넓은 평야들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모든 범람원이 하천의 범람 때문에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상류에 나타나는 범람원은 범람에 의한 퇴적작용보다 하천의 측방침식으로 유로(流路)가 이동하면서 원래 하천의 하상(河床)이었던 곳이 점차 퇴적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이렇게 형성된 범람원에는 자연제방과 배후습지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자갈과 큰 돌들이 퇴적층에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4]

삼각주
압록강 삼각주

삼각주(三角洲)는 바다호수로 흘러드는 하천의 하구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쌓여 형성되는 충적지형이다.

하천이 바다나 호수로 유입할 때는 유속의 격감으로 운반하던 토사를 하구와 그 주변에 집중적으로 쌓아 삼각주를 이루어 놓는다. 삼각주는 범람원의 연장선상에서 형성되는 지형으로 침수피해가 적은 자연제방 이외에는 인간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인구조밀지역의 삼각주는 대부분 농토로 개발․이용되고 있으며, 농업적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삼각주는 하천이 호소로 유입할 때도 형성되지만 이러한 삼각주는 대개 규모가 작다. 삼각주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하구의 토사유입량이 토사유출량을 상쇄할 만큼 충분해야 한다. 들어오는 토사의 양보다 나가는 토사의 양이 많으면 삼각주는 발달할 수 없다. 둘째, 퇴적이 이루어지는 바다나 호소가 얕아야 한다. 바다나 호소의 수심이 깊으면 토사가 계속 유실되기 때문에 삼각주가 형성될 수 없다.

셋째, 토사의 퇴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파랑과 조석의 작용이 약해야 한다. 하구가 파랑에 노출되어 있어 토사가 사빈(沙濱)에 쌓이거나 조석의 작용이 강해 토사가 퇴적 직후 바다로 제거되면 삼각주는 발달할 수 없다. 넷째, 퇴적이 이루어지는 곳의 지반이 안정되어 침강(沈降)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물질이 퇴적되는 속도보다 침강되는 속도가 더 빠르면 삼각주가 형성될 수 없다.

삼각주는 하천의 토사유출량․해안선․파랑과 조석 같은 해황(海況) 등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형태를 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각주라고 부르는 것은 고대 그리스의 헤로도투스(Herodotus)가 나일강이 카이로를 벗어나면서 지중해를 메워 만들어 놓은 충적지형에 ‘델타(delta)’라는 명칭을 붙였기 때문이다. 델타는 그리스 어로 삼각형을 뜻한다.

삼각주는 형태에 따라 조족상(鳥足狀) 삼각주․원호상(圓弧狀) 삼각주․첨상(尖狀) 삼각주․만입상 삼각주 등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조족상 삼각주는 삼각주의 좁은 자연제방 사이를 흐르는 여러 분류(分流)가 마치 새의 발가락처럼 바다로 돌출해 있어 붙여진 이름인데, 미국의 미시시피 강 삼각주가 전형적인 예이다. 첨상 삼각주는 하구 부분이 뾰족하게 바다로 돌출한 삼각주로 이탈리아의 티베르(Tevere) 강에서 잘 나타난다.

원호상 삼각주는 전면의 형태가 특정한 지점에 중심을 둔 원의 호처럼 생겼다고 해 붙여진 이름으로 이집트의 나일강 삼각주가 대표적인 예이다. 만입상 삼각주는 만조 시에는 삼각주의 형태가 만입으로 변하지만 간조 시에는 간석지가 수면 위로 드러나는 삼각주로 캐나다의 맥켄지(Mackenzie) 강에서 볼 수 있다.[5]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충적평야〉, 《위키백과》
  2. 선상지〉, 《네이버지식백과》
  3. 범람원〉, 《네이버국어사전》
  4. 범람원〉, 《네이버지식백과》
  5. 삼각주〉, 《네이버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충적평야 문서는 지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