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피아컴퍼니㈜는 블록체인 기반의 음악 콘텐츠 유통을 위한 암호화폐인 뮤지카(Muzika)를 만든 회사이다. 대표이사는 정인서이고, 기술이사는 허상민이며, 이사는 이장원이다. 뮤지카코인은 2018년 11월 19일 후오비코리아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마피아컴퍼니㈜는 2015년에 설립하여 2017년에 5월 네이버의 스프링캠프 시드투자를 받았으며, 그해 12월 150개 국가로부터 200만 명의 유저를 달성했다. 마피아컴퍼니㈜는 글로벌 상용화 과정에 자체 저작권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였다. 서울에 본사를 둔 마피아컴퍼니는 디지털 음악 산업을 혁신하기 위해 음악 블록체인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하며, 글로벌 음악 플랫폼 회사로 싱가포르와 도쿄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180개 국에서 온 250만 명의 사용자들로 유명한 기악곡 플랫폼과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많은 음악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1]
- 마피아니스트(MaPianist)는 국내 40만 명 이상의 최대 사용자 기반이며, 콘텐츠 제공 업체 풀을 갖춘 온라인 피아노 커뮤니티와 악보 및 악기 마켓 플레이스 시장의 1위이다.[1] 마피아니스트 혜택은 매일매일 출석체크하면 50포인트 증정받고, 부지런히 일주일 만근 시 100원 캐시 보상 제공하며, 포인트 걸고 가위 바위 보로 행운 찾기 게임을 제공한다. 또한, 앱에서만 제공되는 혜택은 광고를 보고 캐시 충전을 제공한다.[2]
- 마이뮤직시트(Mymusicsheet)는 150여 개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악기 음악 플랫폼으로 전 세계 아티스트에게 새로운 수익원을 제공한다.
- 코코무(Kokomu)는 일본에서 새로 출시되고 빠르게 성장하는 악기 음악 커뮤니티 및 악보 시장이다.[1]
주요 인물[편집]
- 정인서 : 뮤지카 공동창업자 및 대표이사(CEO)
- 허상민 : 공동창업자 및 최고기술책임자(CTO)이다. 15살에 이미 웹 게임으로 큰 돈을 벌었던 글로벌 동세대 최고의 개발자이다. 한양대학교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한국정보올림피아드에서 은상을 수상하였다. ISEF 국제대회 소프트웨어부문의 한국 대표로 선발되었으며, HCLT 우수학술논문 제1저자이다.
- 이장원 : 뮤지카 운영이사(COO)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제품 소개[편집]
뮤지카[편집]
뮤지카(Muzika)는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음악 산업 플랫폼이며, 블록체인 기반의 음악 콘텐츠 유통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뮤지카코인(Muzikacoin)이라고도 하며, 뮤지카의 화폐 단위는 MZK이다.
마피아컴퍼니㈜는 2018년 7월 30일, 뮤지카 서비스를 정식으로 공개하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뮤지카는 한국 기반의 음악 블록체인 프로젝트 및 리서치센터로, 디지털 음악산업에 혁신을 가져 오려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뮤지카는 글로벌 창작곡·악보 플랫폼 마이뮤직시트와 종합 피아노 포털 마피아니스트를 운영하는 마피아컴퍼니의 정인서 대표가 직접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며, 음악가들과 팬들이 주도하는 자생적이고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창조하고자 기획됐다. 현재 음악 산업은 저작권, 유통구조, 중개인 수수료, 불법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뮤지카는 분산화된 디지털 음악 생태계를 구축해 누구나 아티스트 발굴, 후원, 음악의 생산, 그리고 소비에 이르기까지 음악산업의 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3]
마피아컴퍼니㈜가 추진하는 뮤지카는 음악산업에서 아티스트을 포함한 그들의 팬에게도 적절한 대우와 보상이 돌아갈 수 있는 그런 코인이다. 음악산업 시장의 제도적인 개혁을 통해 음원이 지니는 진정한 가치를 보다 더 균형있고 올바른 경제적 보상을 이끌어내 건전한 음악산업의 틀을 만들어 내는 것이 그들의 목표이다. 뮤지카는 생태계는 수익을 창출하는 많은 민간투자자들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투자받은 플랫폼 비즈니스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충성도가 높은 커뮤니티 이용자들을 확보하고 그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뮤지카는 2019년 3월 4일 기준으로 시가 총액은 8억 원이며 총 발행량은 10억 MZK이다. 뮤지카 코인은 사용자들에게 충분한 리워드를 제공하며, 아티스트들에게 보다 더 많은 수익을 분배함과 동시에, 두터운 이용자층을 형성하기 위한 견고하게 고안된 인센티브 시스템을 토입해 팬들의 활동을 장려하고 뮤지카의 네트워크를 활성화 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아티스트와 팬들이 투명하고 효과적인 거래를 할 수 있고, 팬들은 로얄티 페이(Loyalty Pay)를 지급 받으며, 받은 로얄티 페이로 생태계에 참여하는 아티스트를 후원할 수 있다.[4]
뮤지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마피아컴퍼니는 네이버 계열 VC, 카카오 현 사외이사, 팁스(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에서 투자를 받은 바 있으며, 뮤지카 프로젝트는 블랙홀스(BlackHorse), 파노니(PANONY) 등 국내외 대형 기관들로부터 연이어 투자를 유치해 일반 투자자 대상의 암호화폐 공개(ICO)를 전혀 진행하지 않고 사업비용을 확보하였다. 마피아컴퍼니는 다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어떻게 하면 충성도가 높은 커뮤니티 이용자들을 확보하고 그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배워왔기 때문에 실제 사업의 진행에 있어서도 눈에 띄는 발전을 볼 수 있을 것이다. [3]
조율 플랫폼[편집]
마피아컴퍼니㈜가 국내 최대 피아노 조율 플랫폼 ‘조율사아저씨’를 2017년 1월 24일에 오픈했다. 조율사아저씨는 피아노 관련 소셜 미디어 채널 ‘피아노 치는 남자들’과 피아노 커뮤니티 사이트 ‘마음만은 피아니스트(이하 마피아)’를 비롯, 마피아컴퍼니가 보유한 약 160만 명의 피아노 관련 구독자 및 회원 층을 기반으로 오픈한 피아노 조율 플랫폼이다.
피아노를 보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정기적으로 조율을 필요로 하는데, 지금까지는 조율을 하고 싶어도 어디에서 유관 정보를 얻고 어떻게 좋은 조율사를 찾을 수 있는지 불명확했다. 조율사아저씨는 마피아 사이트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마피아컴퍼니가 보증하는 국내 최고의 조율사 명인들을 조율을 필요로 하는 전국 피아노 보유자들에게 연결하는 플랫폼이다. 마피아컴퍼니가 보유한 피아노업계 네트워크와 업력을 바탕으로 국내 최고의 조율사 명인들을 선별적으로 섭외, 영상과 사진, 인터뷰를 포함한 스토리텔링의 형태로 각각의 조율사가 어떤 철학과 방법론으로 조율에 임하는지 까지 담음으로써 지인 소개나 전단지에 의존하던 시장을 처음으로 투명화, 플랫폼화 하였다. 조율에 관한 정보를 투명하게 하고 조율을 신청하는 경험 자체를 더 즐겁고 쉽게 만드는 조율사아저씨는 전국 조율사들에게는 새로운 기회이며, 소비자들에게는 편리하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것이다.[5]
뮤지클로[편집]
마피아컴퍼니㈜의 뮤지클로(Muziqlo)는 아티스트와 팬에게 힘을 실어주는 리듬 게임 플랫폼이다. 기존 리듬 게임과 달리 아티스트와 팬들에게 좋아하는 노래를 게임화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뮤지클로를 통해 아티스트는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팬에게는 음악 콘텐츠가 제공되며 음악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뮤지클로는 현재 블록체인 및 비 블록체인 플랫폼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마피아컴파니는 뮤지클로가 가능한 많은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 아티스트 페이지, 즐겨찾기 및 최근 플레이를 포함한 빠르고 쉬운 '검색 및 재생' 서비스이다.
- 유튜브 최고의 아티스트 2명 : 리듬 게임(신시대, EDM 등)에서 최고의 유튜브 아티스트의 노래를 즐길수 있다.
- 아티스트 중심 기능 : 좋아하는 아티스트에게 충성을 나타내려면 점수를 높이고 팬 포인트를 적립하면 된다.
- 게임플레이 : 4 개의 레인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패턴을 즐길 수 있다.[1]
최근 동향[편집]
35억 원의 투자 유치
2019년 3월 8일, 디지털 음악 콘텐츠 플랫폼 운영사 마피아컴퍼니㈜가 35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티비티와 피앤아이인베스트먼트, 스프링캠프가 참여했다. 싸이월드, 네이버 블로그, 카페, 밴드 등 굵직한 인터넷 및 모바일 서비스들을 성공시킨 이람 대표가 이끄는 티비티는 네이버가 주요 출자자로 참여한 펀드를 통해 투자를 집행하였으며, 네이버 계열 벤처캐피탈인 스프링캠프는 지난 2017년에 시드 투자 집행 이후 연이어 참여했다. 마피아컴퍼니는 블록체인 기술을 실질적으로 적용하고 음정 변환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한 음악 게임 ‘토토리카 숲(Totorica)’을 베타 런칭하기도 했다. 또한 마피아컴퍼니 싱가폴 법인을 통해 2018년 초부터 진행해온 블록체인 프로젝트 ‘뮤지카(Muzika)’는 ICO없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에 상장한 바 있다.
정인서 대표는 “정보 기술을 통해 음악 시장을 혁신하고 뮤지션들에게 새로운 수익과 시장을 창출해 나가겠다는 미션을 새삼 다짐한다”면서 “자금 확보 뿐 아니라 향후 마피아컴퍼니 및 뮤지카 생태계 플랫폼들의 런칭과 글로벌 확장에 직간접적 도움을 줄 수 있는 투자사들과 함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있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2015년 10월 설립된 마피아컴퍼니는 2016년 조민식 카카오 사외이사로부터 엔젤 투자를, 2017년 네이버 계열 투자사 스프링캠프로부터 시드투자를 유치했으며, 2017년 중소벤처기업부 팁스 프로그램에 선정되었다. 세 명의 공동창업자는 2018년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30인(Forbes 30 Under 30 Asia 2018)에 오르기도 했다. 뮤지카의 주요 강점 중 하나는 주요 경영진 3명이 이미 디지털 음악 산업 시장에서 큰 활약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마피아컴퍼니는 앞으로도 이처럼 아직 온라인화 되지 않은 피아노 산업의 여러 부문들을 차례로 혁신해나갈 예정이다.[6]
로드맵[편집]
- 2017년 1분기 : 프로젝트 방향성 및 컨셉 기획, 플랫폼 모델 정립.
- 2017년 2분기 : 음악 코인 생태계를 위한 3가지 취득 모델 정립.
- 2017년 3분기 : 생태계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개발 시작, 악보 거래가 가능한 트랜잭션(스마트 컨트랙트) 플래폼 테스트 시작.
- 2017년 4분기 : 악보 외 음원, 디지털 음악 파일로 트랜잭션 유형 확장.
- 2018년 1분기 : 뮤지카 토큰에 대한 데스트 종료(MZK).
- 2018년 2분기 : 비공개 세일.
- 2018년 3분기 : 거래소 사장, 뮤지카 플랫폼을 이더리움 테스트넷(Ropsten)에서 알파 런칭.
- 2018년 4분기 : 뮤지카 플랫폼을 메인넷에 연동, 마피아컴퍼니의 다른 플랫폼과 결제 수단 통합.
- 2019년 1분기 : 뮤지카 플랫폼 베타 런칭 1(악보/음악 구매 중심), 뮤지카 플랫폼 베타 런칭 2(커뮤니티/보상 로직 중심).
- 2019년 2분기 : 뮤지카 플랫폼의 글로벌 공식 버전 런칭.
- 2020년 ~ : 글로벌 음악 산업에서 뮤지카 플랫폼 안정화 및 시장 장악.
- ↑ 1.0 1.1 1.2 1.3 〈마피아컴퍼니 소개〉, 《뮤지카》
- ↑ 〈마음만은 피아니스트 - 마피아 피아노 악보〉, 《마피아》
- ↑ 3.0 3.1 김민정 기자, 〈블록체인 기반 음악 산업 플랫폼 ‘뮤지카(Muzika)’ 공개〉, 《플래텀》, 2018-07-30
- ↑ 팩트살인, 〈(알트코인 소개) 뮤지카 코인 (MZK)〉, 《네이버 블로그》, 2018-10-15
- ↑ 정새롬 기자, 〈마피아컴퍼니, 피아노 조율 플랫폼 ‘조율사아저씨’ 오픈〉, 《플래텀》, 2017-01-24
- ↑ 김민정 기자, 〈디지털 음악 콘텐츠 스타트업 마피아컴퍼니, 35억 규모 신규 투자 유치〉, 《플래텀》, 2019-03-08
참고자료[편집]
- 마피아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apianist.com/main
- 뮤지카 공식 홈페이지 - https://muzika.network/
- 뮤지카 백서 - https://www.muzika.network/assets/mzk-whitepaper-en.pdf
- 마피아 조율사 아저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istertuner.com/
- 〈마피아컴퍼니 소개〉, 《뮤지카》
- 〈마음만은 피아니스트 - 마피아 피아노 악보〉, 《마피아》
- 김민정 기자, 〈블록체인 기반 음악 산업 플랫폼 ‘뮤지카(Muzika)’ 공개〉, 《플래텀》, 2018-07-30
- 팩트살인, 〈(알트코인 소개) 뮤지카 코인 (MZK)〉, 《네이버 블로그》, 2018-10-15
- 정새롬 기자, 〈마피아컴퍼니, 피아노 조율 플랫폼 ‘조율사아저씨’ 오픈〉, 《플래텀》, 2017-01-24
- 김민정 기자, 〈디지털 음악 콘텐츠 스타트업 마피아컴퍼니, 35억 규모 신규 투자 유치〉, 《플래텀》, 2019-03-08
같이 보기[편집]
 이 마피아컴퍼니㈜ 문서는 블록체인 개발업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기업 : 인터넷 기업, 대기업, 글로벌 대기업, 블록체인 개발업체 □■⊕,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업체, 투자사, 컨설팅업체, 방송, 블록체인 미디어
|
|
한국 중소기업
|
㈜769엔터테인먼트 • INF크립토랩 • ㈜거번테크 • 게임엑스코인월드 • ㈜게임허브 • ㈜골든시드 • 그라운드엑스 • ㈜글로스퍼 • ㈜글로스퍼랩스 • 글로핀 • ㈜나인이즈 • 네모랩 • 넥서스 레볼루션 • 넥스트러스트 • 노매드커넥션 • ㈜노이타보니 • 노이콘 • ㈜다날 • ㈜다윈케이에스 • 다이브㈜ • ㈜다인리더스 • ㈜더블유테크 • ㈜더블체인 • 더이앤엠㈜ • ㈜더휴먼플러스 • 데이탐 • ㈜데이터젠 • ㈜데일리금융그룹 • ㈜데일리블록체인 • 디디엠글로벌 • ㈜디리아 • 디센터넷 • 디스프레드 • 디엑스엠(DXM) • ㈜디지캡 • ㈜디지털골드익스체인지 • 디지털뱅크 • ㈜디지털존 • 디콘 • 딜라이트체인 • ㈜땡스엔젤 • 라온시큐어㈜ • 람다256 • ㈜렘코파트너스 • ㈜로엔컨설팅 • ㈜록스307 • 루나민트 • 루센트블록 • ㈜루트원소프트 • ㈜뤼이드 • 리얼리티 리플렉션 • ㈜링크체인 • ㈜레드윗 • ㈜마크애니 • 마피아컴퍼니㈜ • ㈜매그니스 • ㈜매트릭스투비 • ㈜메디라이크 • ㈜메이어스 • ㈜메이크스타 • ㈜모핑아이 • ㈜몬스터큐브 • ㈜몽플러스 • 뮤직큐플러스 • ㈜미디움 • ㈜바이탈힌트 • 바인그룹 • ㈜바인트리 • ㈜벌트코리아 • 보맵㈜ • 보스자산솔루션 • 브릴리언츠㈜ • ㈜블렌디드 • ㈜블로코 • ㈜블록체인기술연구소 • ㈜블록체인랩 • ㈜블록체인벤처스 • ㈜블록체인시큐리티 • 블록체인오에스 • ㈜블록체인팩토리 • 블록펫 • 블룸테크놀로지 • 비디앱스 • 비스킷 • 비엠씨플러스㈜ • ㈜비즈블록스 • 비카스랩 • 비트베리파이낸스 • ㈜비트시스 • 비플라이소프트㈜ • 비피에프코리아 • ㈜빅스터 • 빅픽처랩㈜ • ㈜세븐틴디그리즈 • 사운드블록체인테크놀로지 • ㈜샌드스퀘어 • ㈜세이정보기술 • 세종텔레콤㈜ • ㈜섹터오브랜드 • 센터나인 • ㈜소셜인프라테크 • ㈜솔리데오시스템즈 • 수퍼트리 • 수호 • 쉬코리아 • 슈퍼블록 (블록체인 개발 회사) • 슈퍼블록 (블록체인 게임 회사) • 스마트메디 • ㈜스마트엠투엠 • ㈜스카이피플 • ㈜스케일 • ㈜스코웍 • ㈜스타키코리아 • ㈜쓰리케이소프트 • ㈜시그마체인 • 슈퍼알키재단 • 식신㈜ • ㈜심버스 • ㈜싱코 • ㈜싸이월드 • 씨쓰리월렛㈜ • ㈜씨씨미디어서비스 • 아르고스 • 아모랩스 • 아반자 이노베이션 • ㈜아비도스 • 아이비씨티(IBCT) • ㈜아이비즈소프트웨어 • ㈜아이씨티케이 • ㈜아이언플래그 • ㈜아이오트러스트 • 아이텀게임즈 • ㈜아이티센 • 아이티센그룹 • ㈜아톰릭스랩 • ㈜안랩 • ㈜알라딘티오씨 • ㈜알콜센트럼 • ㈜알투브이 • 애드오에스 • ㈜애드포스인사이트 • 액토즈소프트 • ㈜앤드어스 • ㈜얍컴퍼니 • 언체인 • 에듀해시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CT-AI 랩스 • 에스지에이블록체인㈜ • 에스지에이솔루션즈㈜ • 에스투더블유랩 • ㈜에이넥스코리아 • ㈜에이비일팔공 • ㈜에이앤씨홀딩스 • ㈜에이원팡팡 • ㈜에이지테크놀러지 • 에이치닥 테크놀로지㈜ • ㈜엑스블록시스템즈 • ㈜엔디에스 • ㈜엔비트 • ㈜엔알피시스템 • 엔컴㈜ • ㈜엔텔스 • 엔퍼 • ㈜엘앤제이테크 • 엘에스웨어 • ㈜엠블럭 • 엠블록체인 • 예스24 • 오딘네트워크 • ㈜오지스 • ㈜오토드래곤 • ㈜오퍼스엠 • 옥타솔루션 • ㈜온더 • 온버프 • ㈜와이즈엠글로벌 • ㈜왓챠 • ㈜원 • ㈜월튼체인테크놀로지 • ㈜웨이투빗 • 웰스트리에스지 • 위니플 • ㈜위고컴퍼니 • ㈜위메이드트리 • ㈜위브릭 • ㈜위즈페이스 • ㈜위체인랩 • 위홈 • ㈜유라클 • 유스비 • ㈜유알피시스템 • ㈜유투바이오 • ㈜유피체인 • ㈜이노트리 • ㈜이멜벤처스 • ㈜이앤씨네트웍스 • ㈜이엔티 • ㈜이지팜 • ㈜이포넷 • 인블록 • ㈜인비트리 • ㈜인포마인드 • ㈜잼픽 • 제네시스체인 • ㈜젤리스페이스 • 주홀딩스 • ㈜지브릭 • 지비씨코리아 • 지서홀딩스 • ㈜지에이치비 • ㈜지오매틱스 • ㈜지오텍홀딩스 • 직토 • 차칵 • 체인에듀 • ㈜체인파트너스 • 카사 • 칼랩 • ㈜케이디파워 • ㈜케이씨넷 • 케이체인 • ㈜케이알파트너스 • ㈜케이엘씨앤에스 • ㈜케이튠코리아 • 케이티 넥스알 • 코드박스 • ㈜코드베르그 • 코리아앱㈜ • 코봇랩스 • 코아비투비 • 코인매니저 • 코인비 • ㈜코인즈월렛 • ㈜코인플러그 • ㈜콜리전스 • 콰트로랩스 • ㈜쿠콘 • ㈜퀀티넬 • ㈜크레스텍 • ㈜크로스앵글 • ㈜크로스체인테크놀로지 • ㈜크립토레드 인터내셔널 • 크립토제주 • ㈜크립토홍빠오 • ㈜크립티드 • 클라세스튜디오 • 키페어 • ㈜탈라스디에이 • ㈜테넷디에스 • ㈜테조스코리아 • ㈜테크앤홀딩스 • 템코 • 토파보기 • 토피도㈜ • ㈜통블록 • ㈜투바앤 • ㈜투비소프트 • 트러스트버스 • ㈜트루스트체인 • ㈜티이이웨어 • ㈜틸론 • ㈜팀그릿 • ㈜파라메타(구 ㈜아이콘루프) • ㈜파수닷컴 • 파이랩 • ㈜파일코인코리아 • ㈜팍스넷 • 팍스데이터테크 • ㈜팸노트 • 퍼블리시㈜ • ㈜페이앤페이 • 펜타시큐리티시스템㈜ • ㈜풀스택 • ㈜퓨처스트림네트웍스 • ㈜프론티 • ㈜플라이어스코퍼레이션 • ㈜플러스위즈덤 • ㈜피노텍 • 피알오글로벌㈜ • 피어테크 • ㈜피코 • ㈜피플앤드테크놀러지 • 핀덱스체인 • ㈜필링크 • ㈜하이브랩 • ㈜한국금거래소쓰리엠 • 한국스마트인증㈜ • ㈜한국전자투표 • ㈜한국체스게임 • ㈜한빛소프트 • ㈜한컴위드 • ㈜해라썬 • ㈜해시넷 • 해치랩스 • 해커스랩㈜ • ㈜해커스홀딩스 • ㈜핸디소프트 • 헥스 이노베이션 • ㈜헥슬란트 • ㈜휴먼스케이프
|
|
중국 기업
|
1475 • 33푸자메이 • 공상은행 테크놀로지 • 궈왕블록체인 • 네오 글로벌 디벨롭먼트 • 뉴클리어재단 • 뉴인터넷랩스 • 댑리뷰 • 데이터친 • 디지넥스 • 띵쉬앤 • 마이키월렛 • 루미테크놀로지 • 루반소 • 루이스 • 리앤랑테크놀로지 • 리체인 • 린덴 • 링크상하이 네트워킹 테크놀로지 • 링크타임 • 레노버 • 매그클라우드 디지털 • 매틴 클라우드 스토리지 • 무얀그룹 • 뮤네스트 • 밋원 • 바빌론블록체인 • 바스트체인 • 벨트앤로드 블록체인 컨소시엄 • 보토스 • 부비 • 브라보웨일 • 브이엔티체인 • 블루힐릭스 • 비비제이 • 비트랩스 • 비트메인 • 비트콘치 • 비티씨38 • 빗세 • 베어체인 • 삐신 • 삐용 • 샹체인 • 세로 • 세로재단 • 쉬커티앤샤 • 쉰레이 • 스마트메시 • 스퀘어테크 • 스토리지 넘버원 • 스파이더스토어 • 슬로우미스트 • 시노체인 • 싱귤래리티넷 • 싱키 • 씨앤허시스템 • 씰체인 • 아시아 이노베이션스 • 아이리스넷 • 아이하우스닷컴 • 악소노미 • 애니써트 • 야웨이스마트시스템 • 에너고랩스 • 에디슨블록체인랩스 • 에이제이엠 • 에이치씨에이치체인 • 엑스오더 • 엔비엘트러스트 • 엘리팔 • 엘브이씨재단 • 엘씨체인 • HTC(에이치티씨) • 옥스체인 • 온체인 • 완리앤이통 • 완샹블록체인 • 원싱테크 • 윈시테크놀로지 • 웨이레저 • 웨이관커지 • 유랩스 • 윤펀트블록체인 • 이아이파스 • 인스팅트 블록체인 • 인실리코 • 인텔리셰어 • 인플러스랩 • 인피니비전 • IOHK(인풋아웃풋홍콩) • 자오하이룽 • 제니머스체인 • 중촹룽테크 • 중치윈리앤 • 중커싱지 • 지구라트 • 지브이체인 • 지알지체인 • 지오씨체인 • 지이오스 • 지티에이진체인 • 징동닷컴 • 차이나 사이버 시큐리티 • 청또우리앤안 • 체인노바 • 체인스맵 • 체인업 • 케이이오 • 코보 • 코코스-비씨엑스 • 콘센랩스 • 쿠메박스 • 쿠메테크놀로지 • 쿨비트엑스 • 크립테이프 • 킹소프트클라우드 • 타임스탬프캐피탈 • 탑네트워크 • 테라팜 • 텐센트 블록체인 • 텐센트 클라우드 • 텐센트 파이낸스 테크놀로지 • 토큰테크놀로지 • 트레이서빌리티체인 • 티앤허궈윈 테크놀로지 • 티오에스체인 • 파일스톰 • 패럴리즘 • 펙쉴드 • 퓨어랜드 • 피어세이프 • 피어컴] • 피오지오 • 피지씨 • 핀체인 • 필드체인재단 • 하이퍼체인 • 하이퍼체인 테크놀로지 • 해시력싱크탱크 • 화예블록체인 • 화웨이 • 화이트매트릭스 • 후오비랩스 • 힉스블록테크놀로지
|
|
동남아 • 일본 기업
|
GULL재단 • 골드핀엑스 • 나유타 • 데도코 • 디직스 • 라인㈜ • 라쿠텐 블록체인랩 • 부글아카데미 • 비트피시• 사이버베인 • 소라미츠 • 스핀들 • 시놉시스 • 아시안핀테크 • 아웃플레이 게임즈 • 알파월렛 • 에브라즈랩스 • 이머고 • 제드트레이드 • 토리움 유한책임회사 • 파나소닉 • 핀테라 • 해시스택스 • 해시포트
|
|
유럽 • 러시아 기업
|
AWN재단 • 가나에이트코인 • 가드타임 • 기브스 • 노블록 • 다이나믹레저솔루션 • 다임러 모빌리티 • 데이텀 • 돔레이더 • 디센트라캐피탈 • 레저 • 루노 • 리넘랩스 • 리들앤코드 • 리얼시큐리티 • 마르코 폴로 네트워크 • 말러큘 • 메디컬체인 • 멜론포트 • 모둠 • 몽벨레항 • 민트베이스 • 뱅케라 • 버트비 • 보트랩스 • 블록페그니오 • 비트렌트 • 비트리필 • 비트왈라 • 비트퓨리 • 블록체인프로젝트 비브이 • 블록칩 • 비트케른 • 살라만텍스 • 스위스크립토토큰 • 스코어체인 • 스토박스 • 스튜디오 케빈 아보시 • 스팁스 • 시린랩스 • 쓰리박스 • 아고라 • 아방가르드 파이낸스 • 아이젝 • 아토미즈 • 알프락츠 • 애스터로이드 • 에반 네트워크 • 에버레저 • 에버프로브 • 에브리토큰 • 에이에스큐 프로토콜 • 에이이볼브 • 엑소넘 • 엔체인 • 오라클라이즈 • 오에스디 • 오픈레저 • 와이렉스 • 와이즈키 • 울레트 • 울트라 • 위캔그룹 • 위트레이드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블록체인 기술센터 • 유니브라이트 • 유럽체인 • 이펙트 에이아이 • 인텔리전트플루이드 • 일리이움 • 제노디스 • 제로비에스 네트워크 • 젤루리다 • 지케이랩스 • 지케이스낵스 • 카스퍼스키랩 • 코슴와즘 • 코인사이언스 • 코인플러스 • 코인피니티 • 콤고 • 쿠피 • 퀀트 네트워크 • 큐브 인텔리전스 • 큐에이엔플랫폼 • 크립토렉스 • 크립토바자 • 크로마웨이 • 클레로스 • 클리어매틱스 • 탭트레이더 • 토큰에스테이트 • 트레이드아이엑스 • 파머커넥트 • 패리티 테크놀로지 • 펫치블록체인 • 포르쉐 디지털랩 • 푸니야 • 프로시비스 • 플루토네오 • 피브리 • 하바스 블록체인
|
|
이스라엘 기업
|
리퀴댑스 • 세토라 • 알고즈 • 케이젠 네트웍스 • 테크니온 • 헥사그룹
|
|
미국 • 캐나다 기업
|
IBM • R3 • 건틀렛 • 개더 • 게코거버넌스 • 글루와 • 넷키 • 노비 • 누문도 • 누사이퍼 • 누코 • 뉴알케미 • 뉴욕시 블록체인센터 • 대퍼랩스 • 도스 네트워크 • 디엘티랩스 • 디지털애셋홀딩스 • 디지캐시 • 떼시스 • 라이메디 • 라이브플래닛 • 라이트닝랩스 • 라이트닝파워유저 • 래셔널마인드 • 랠리 • 레이어제로랩스 • 룩아웃소프트웨어 • 리플랩스 • 리피오 • 말린 프로토콜 • 매터랩스 • 메드블록스 • 메디레저 • 메이커다오 • 메이크센스랩스 • 물러체인 • 밸런스 • 밴벡스 • 버탈로 • 베리블록 • 베라디 • 브레이브 소프트웨어 • 블로큐브 • 블로크 • 블로크랩스 • 블록데몬 • 블록스트림 • 블록아이오 • 블록워치 • 블록원 • 블록체인파운드리 • 블록케이드게임즈 • 비욘드 엔터프라이즈 • 비에프체인 • 비트스킨스 • 비트코인닷컴 • 비트페이 • 빔 • 서틱 • 세일즈포스 • 센트 • 솔리드엑스 파트너스 • 솔트렌딩홀딩스 • 스월즈랩스 • 스웜 • 스카우트 • 스케일랩스 • 스톰엑스 • 스트롱블록 • 슬리버티비 • 시그워 테크놀로지스 • 시큐리타이즈 • 시프트 네트워크 • 시프트마켓 • 심비온트 • 심플리바이탈헬스 • 쎄타랩스 • 씨랩스 • 아도리아소프트 • 아마존 매니지드 블록체인 • 아모스 • 아바랩스 •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 • 아툼체인 • 아토노미 • 알트레이드 • 액소니 • 앵커리지 • 어큐이티 • 에버님 • 엘릭서 • 엘비알와이 회사 • 엠블리마 • 오아시스랩스 • 오버스탁 • 오비원 •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 오픈제플린 • 에스에프비 테크놀로지스 • 엔지아 • 엣지월렛 • 오픈바자 • 옵텀 • 유가랩스 • 이부스트 • 인제니오 • 인탠저블랩스 • 인텔 • 인포멀시스템즈 • 일렉트릭코인컴퍼니 • 자포 • 제로코인 • 제로해시 • 제우크립토 네트웍스 • 제이더리움 • 체인세이프 • 카그너전트 • 카데나 • 카후나그룹 • 캐리넷 • 캐스퍼랩스 • 커브 • 컨센시스 • 컨센시스헬스 • 컴퓨터블 • 코인메트릭스 • 코인스페이스 • 콘스텔레이션 • 쿼츠 • 크레이트 • 크립토노멕스 • 크립토니티즈 • 크립틱랩스 • 클로비어 • 탄트라랩스 • 탭젯 • 토다 네트워크 • 테미스 • 테이스트버드 테크놀로지스 • 테플턴 • 텐더민트 • 텐조룸 • 텔러 • 트러스트토큰 • 트랜슬레저 • 팍소스 • 포르테 • 포스트오크랩스 • 포켓풀 오브 쿼터스 • 페럼네트워크 • 펫치플러스 • 프랙시스 • 프로토체인리서치 • 프로토콜랩스 • 프론티어 네트워크 • 프리즈마틱랩스 • 플렉사 • 핀헤이븐 • 필라멘트 • 헤데라 해시그래프 • 허니웰 • 헤더 플래너리 • 화이자
|
|
기타 국가 기업
|
디센트릭닷헬스 • 더샌드박스 • 더키 • 더풋볼앱 • 데카포 • 라미나프로토콜 • 리치몬트 • 블록체인 오스트레일리아 솔루션 • 블록닷코 • 비트네이션 • 비트페사 • 세틀 네트워크 • 스타트업스튜디오온라인 • 시그마프라임 • 아반타스 • 아이오브이랩스 • 아칼라네트워크 • 알엔에스솔루션 • 유뱅크 • 위즈그리드 • 이뮤터블 • 카라체인 • 케쇼랩스 • 크로노뱅크 • 탤런티카 소프트웨어 • 템부수시스템즈 • 트레이드렌즈 • 페사바세 • 프로젝트갤럭시 • 허브체인
|
|
블록체인 재단
|
AWNEX재단 • 넴재단 • 더그래프재단 • 디센트럴랜드재단 • 디엠협회(리브라협회) • 라이트코인재단 • 리눅스재단 • 미나재단 • 보스플랫폼재단 • 비트코인재단 • 솔라나재단 • 스택스재단 • 스텔라개발재단 • 스플릿코어재단 • 아이오타재단 • 아이콘재단 • 아트피니티재단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 원인치랩스 • 웹쓰리재단 • 이더리움재단 • 지캐시재단 • 카르다노재단 • 콕재단 • 타이드재단 • 트러스트오버 아이피재단 • 티티씨재단 • 헬륨재단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