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차령산맥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차령산맥

차령산맥(車嶺山脈)은 태백산맥오대산(五臺山)에서 갈라져서 충북의 북부, 충남의 중앙을 남서 방향으로 뻗은 산맥이다.

개요[편집]

  • 차령산맥은 오대산에서 시작하여 충청도, 경기도를 남서 방향으로 뻗어 보령, 서천까지 이어진 길이 250km, 평균 높이가 600m인 매우 낮은 산맥이다. 북동부에서 남서쪽으로 갈수록 산의 높이가 낮아지는데 끝부분은 바다에 잠겨 섬으로 남아있다. 이 지대에 위치한 산은 중세대 말에 습곡작용을 받아 형성한 것이다. 기반암은 화강암과 편마암 등이다. 1903년 일본의 지구과학자 고토 분지로는 한반도의 산맥체계를 만들면서 처음으로 차령산맥이란 이름을 만들었다. 그러나 차령산맥은 고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일제가 만든 이 산맥에 대해서 1980년대부터 많은 논란이 이어져 왔다. 대한민국 국토연구원은 2005년 산맥지도를 발표하면서 대동여지도에도 차령산맥은 나타나지 않으며, 차령산맥은 산맥으로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1]
  • 차령산맥은 길이 250km. 평균 고도 600 m. 마식령(馬息嶺) ·광주(廣州) ·소백(小白) ·노령(蘆嶺)산맥 등과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중생대 말의 습곡산맥으로 편마암과 화강암으로 구성된 구릉성 산지이다. 또 차령산맥은 최한월(最寒月) 평균기온 -3℃의 등온선과 일치하여 한국의 기후구를 남부의 온대와 북부의 냉대로 크게 구분하는 경계가 되고 있다. 산맥 중에는 차령 ·백운산(白雲山) ·만뢰산(萬籟山) ·칠갑산(七甲山) ·금계산(金鷄山) ·서운산(瑞雲山) 등이 솟아 있고 금 ·은 ·중석 등이 매장되어 있다. 특히 칠갑산을 중심으로 한 일대는 경치가 아름다워 1973년 충남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
  • 차령산맥은  태백산맥의 오대산 부근에서 분기되어 충청남도의 중앙부를 거쳐 서해안의 금강 하구인 서천에 이르는 중국 방향의 구릉성 산맥이다. 산맥의 길이는 약 250㎞이며, 평균 고도는 600m 정도이다. 오대산으로부터 강원도와 충청북도가 경계를 이루는 지점까지에는 계방산(桂芳山, 1,577m)ㆍ회령봉(會靈峰, 1,309m)ㆍ흥정산(興亭山, 1,277m)ㆍ태기산(泰岐山, 1,261m)ㆍ치악산(雉岳山, 1,288m) 등의 높은 봉우리들이 이어진다. 이 산맥에 속한 잔구성 산지인 계룡산(828m)은 충청남도의 최고봉으로 1968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치악산과 칠갑산도 1973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한편 치악산은 1984년에 다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3]

차령산맥의 지형[편집]

  • 차령산맥 산들 사이의 운두령(雲頭嶺, 1,080m)은 평창군 진부면과 홍천군 내면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이며, 둔내터널은 영동고속도로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920m). 치악산 부근에는 중앙선의 루프식 터널과 십리굴(3.75㎞)이 있다. 이 밖에도 횡성과 안흥 사이의 전재(513m), 원주시제천 사이의 치악재(450m), 원주시와 충주시 사이의 양아치고개(390m) 및 제천시와 충주시 사이의 박달재 등이 주요 고개이다.
  • 산맥은 충주 부근에서 남한강의 횡단으로 분리되는데, 서남부는 점차 고도가 낮아져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경기도와 충청북도의 경계 부분에는 오갑산(梧甲山, 609m)ㆍ국망산(國望山, 770m)ㆍ덕성산(德城山, 521m)ㆍ서운산(瑞雲山, 547m) 등이 있고, 경기도 안성과 충청북도 진천 사이에는 엽둔재(360m)가 있다. 충청남도를 남동부와 북서부로 자연 경계 짓는 이 산맥은 광덕산(廣德山, 699m)ㆍ칠갑산(七甲山, 561m)ㆍ무성산(武城山, 614m)ㆍ성주산(聖住山, 680m)ㆍ금계산(金鷄山, 575m) 등으로 이어진다. 또한, 지맥인 가야산맥(伽倻山脈)은 남북으로 뻗어 예당평야와 태안반도를 구분하고 있다.
  • 남한강 가까이까지 이 산맥은 큰 분수계 중의 하나로 한쪽은 북한강 유역과 다른 한쪽은 충주 상류의 남한강 유역에 속하게 된다. 남한강을 건너기 전 영서지방에서는 주변의 산지와 잘 구분이 되지 않으며, 남한강을 건어 장호원의 오갑산(609m)이 있으나 여기서부터 상당한 구간에 걸쳐 구릉지가 형성되어서 차령산맥의 줄기를 추적하기가 어렵다. 특히 청미천과 미호천의 두 유역분지가 만나는 중부고속도로 동쪽 지역에서는 해발 200m 이하의 구릉지가 넓게 펼쳐지는데, 이 지역은 화강암대에 속한다. 산지 북서쪽의 안성ㆍ천안ㆍ아산, 남서쪽의 진천ㆍ청주ㆍ조치원 등은 화강암의 저지대에 발달한 도시들이다. 차령산맥은 산맥이라기보다는 안성천ㆍ삽교천 유역과 금강유역 사이에서 침식을 덜 받아 남아 있는 잔구성 산지로 보는 해석이 힘을 얻는 것은 차령산맥을 넘는 사람들이 산맥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차령산맥의 명칭 논란[편집]

차령산맥의 이름 논란
  • 태백산맥의 오대산에서 갈라져 나와 남서 방향으로 뻗어 충청북도의 북부와 충청남도의 중앙을 지나는 산맥이다. 이 산맥은 금강 유역과 아산만 일대와 경계를 이루고 또한, 충청도와 경기도를 구분 짓기도 한다. 그러나 고도는 500-600m에 불과하여 교통에 큰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차령산맥이란 지명은 20세기 초 고토 분지로(小藤門次郞)의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마천령, 함경, 낭림, 태백, 소백산맥 이외의 산맥은 큰 의미가 없다고 보고 '차령산맥'을 '차령산지'라고 불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차령산맥은 『산경표』에 수록된 금북정맥(錦北正脈)과 대체로 일치한다. 『택리지』에는 "충청도 남쪽의 반은 차령 남쪽에 위치하여 전라도와 가깝고, 반은 차령 북편에 있어 경기도와 이웃이다."라 하여 차령이 충청남도의 생활권을 남북으로 구분하는 경계가 되었음을 보여준다.[4]
  • 차령산맥(車嶺山脈)은 차령과 산맥으로 나뉜다. 차령은 다시 차(車)와 영(嶺)으로 나뉜다. 현대 지명에서 '고개'계 지명은 매우 생산적이어서, 고개·오개뿐만 아니라 재·영·치(峙)·현도 빈번히 사용된다. 이들 중 치는 티로도 나타나는데 티가 월등히 많다. 그리고 이들은 고개 이름에 주로 붙지만, 마을을 포함한 기타 지명으로도 전용되고 있다. '고개'계 지명은 유의 중복 어형도 발견된다. 꽃재고개·병마재고개·산막재고개·장판재고개·족박재고개·진재고개 등은 재와 고개가, 달티고개·말티고개·메리치고개·살티고개·삽티고개·새티고개·시어티고개·열티고개·염티고개·이티고개·작은하티고개 등은 티와 고개가, 삼령고개[三嶺고개]는 영과 고개가 중복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재·티·영 등은 고개라는 본래의 뜻이 약화되었고, 이를 보강하기 위해 유의어인 고개를 중복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놀치재·수티재·이티재 등은 치와 재가 중복되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고개를 뜻하는 지명의 후부 요소는 사용 빈도 면에서나 유의 중복 면에서 영·현·치〈재〈고개 순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어, 한자어보다는 고유어가, 고유어 중에서도 고개가 가장 우세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차령산맥의 자연환경[편집]

  • 차령산맥은 길이 약 200㎞, 평균 높이 600m로 한반도의 다른 산맥들에 비해 비교적 낮은 편이다. 태백산맥의 오대산(五臺山)[1,563m]에서 갈라져 충청북도와 경기도 도계(道界)를 지나 충청남도 중앙부에서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다.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다가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부근의 분수령을 지나면서 높아져 충청남도 청양군·보령군 부근에서 가장 높아진다.
  • 북동쪽으로부터 흑성산(黑城山, 519m), 광덕산(廣德山, 699m), 국사봉(國師峰, 591m), 금계산(金鷄山, 575m), 칠갑산(七甲山, 561m), 오서산(烏棲山, 791m), 성주산(聖主山, 680m) 등이 솟아 있다.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중생대 말의 습곡 산맥으로서 대부분 화강편마암이고 간혹 운모편암도 섞여 있다. 현재는 심하게 침식되어 노년기의 저산성 산지를 이루고 있다. 한반도 최한월(最寒月) 평균 기온 -3℃의 등온선과 일치하여 기후구를 남부의 온대와 북부의 냉대로 크게 구분하는 경계가 되며, 금·은·중석 등의 지하자원이 묻혀 있다.
  • 차령산맥은 진천군 북서부를 지나면서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내려 서운산(瑞雲山, 547m)·무제봉(武帝峰, 574m)·옥녀봉(玉女峰, 457m)·덕성산(德城山, 519m) 등이 연봉을 이루며, 동쪽에 두타산(頭陀山, 598m), 남쪽에 환희산(歡喜山, 402m)이 솟아 있다. 중앙부는 음성군 남부와 연결되는 침식 분지이며, 미호천(美湖川)이 백곡천(栢谷川)·초평천(草坪川)·보강천(寶崗川) 등의 지류를 받아들여 남쪽으로 흐른다.

차령산맥의 계룡산[편집]

  • 계룡산은 태백산맥에서 차령산맥이 서남쪽을 뻗어나가다가 금강에 의하여 침식되고 남은 잔구성 산이다. 차령산맥의 연봉으로서 충청남도 공주시·계룡시·논산시·대전광역시 유성구에 걸쳐 있는 산이다. 주봉은 천왕봉이며, 연천봉, 삼불봉, 관음봉 등 20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산세는 동쪽으로 U자형으로 열린 침식분지이다. 계룡산의 이름은 주봉인 천황봉(846.5m)에서 연천봉(739m)·삼불봉(775m)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마치 닭 볏을 쓴 용의 모양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풍수지리에서 한국 4대 명산으로 꼽힐 뿐 아니라, 관광지로도 제5위를 차지하여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계룡산은 『정감록』에 피난지의 하나로 적혀 있는데 이를 믿는 사람들이 모여들어, 한때 수많은 신흥종교, 또는 유사종교들이 성하였다. 높이 846.5m. 태백산맥에서 갈라져 나온 차령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어가다가 금강의 침식으로 허리가 잘리면서 분리되어 형성된 잔구이다. 지도상으로 대전·공주·논산을 연결하여 세모꼴을 그린다면 그 중심부에 자리 잡은 것이 계룡산이다.
  • 계룡산 일대의 지질은, 대체로 서북부에 쥐라기의 편마암·화강암, 남부 및 동남부에 쥐라기의 복운모(復雲母) 화강암, 그리고 동학사를 중심으로 중앙부에 백악기(白堊紀)로 보이는 홍색 장석화강암이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능선 따라 남북 방향으로 반암류(斑岩類)가 관입하였고, 부분적으로 염기성맥암(鹽基性脈岩)과 산성맥암이 대체로 남북 방향으로 관입하여 산체를 형성하고 있다. 계룡산은 지리산에서 뻗어 나온 한 갈래의 산줄기가 덕유산에서 다시 갈라져 300리를 거슬러 올라와, 공주 동쪽에서 반달 모양으로 휘감아돈 형세를 이루고 있다. 차령산맥 중에서도 비교적 험난한 이 산은 유연히 흐르는 금강의 풍치와 어울려 독특한 산악 경관을 이루고 있다. 계룡산은 주능선이 남북으로 크게 뻗은 가운데 다시 서에서 동으로 두 개의 능선이 나란히 뻗어내려 F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들 주요 봉우리 사이의 7개 골짜기에서 발원한 노성천(魯城川)·구곡천(九曲川)·용수천(龍水川)·갑천(甲川) 등이 금강으로 흘러든다.

논강평야(論江平野)[편집]

  • 충청남도 논산시 차령산맥 남동부의 금강 하류에 형성된 평야이다. 차령산맥 북부의 내포평야(內浦平野)와 더불어 충청남도의 양대 평야를 이루는 곡창지대이다. 차령산맥이 북풍을 막아 주어 기후가 온난하다. 홍수 때마다 금강 본류의 물이 역류하여 침수되었기 때문에 하천 양쪽에 인공제방을 쌓고 배수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논강평야의 이름은 이 평야가 논산시와 강경읍에 걸쳐 있어서 이 두 지역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붙여지게 되었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차령산맥〉, 《위키백과》
  2. 차령산맥(車嶺山脈)〉, 《두산백과》
  3. 차령산맥(車嶺山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차령산맥(車嶺山脈, Charyeongsanmaek)〉,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차령산맥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