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경포만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포만

경포만(景浦灣)은 함경남도 홍원군 남동부에 있는 만이다.

개요[편집]

  • 경포만은 송령만이라고도 한다. 해안선 길이 23.3㎞, 만 어귀의 너비 6.1㎞, 만의 깊이 4.6㎞, 최고수심 15m이다. 홍원만 안에 있는 죽도와 운포노동자구 사이에 있다. 이곳은 수심이 얕고 바닥이 모래와 진흙으로 되어 있으며 기슭에 바위들이 많아 연체동물의 서식지로서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가자미·미역·다시마가 많이 나며, 대합은 예로부터 이곳의 명물로 알려져 있다. 연안에는 경포수산사업소가 있다.[1]
  • 경포만은 함경남도 홍원군의 남동쪽 홍원만에 딸린 만이다. 동해의 홍원만 안에 있는 죽도와 운포노동자구의 남서쪽 끝 사이에 있는 만. 일명 송령만이라고도 한다. 해안선의 길이는 23.3km, 만어귀의 너비는 6.1km, 만의 깊이는 4.6km, 가장 깊은 곳은 15.0m. 1월 겉층 수온은 3.5℃, 8월 겉층 수온은 22.8℃이다. 만 안에는 가자미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이 지역은 수심이 얕고 저질의 모래, 감탕으로 되어 있으며 기슭에 바위들이 많아 연체동물의 서식에 유리하다. 백합은 예로부터 이곳의 명산물로 유명하다. 만 안에는 다시마, 미역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경포만 연안에는 경포수산사업소가 있다.

홍원군[편집]

  • 홍원군(洪原郡)은 함남 중부 해안지대에 있는 군이다. 면적 874.64㎢. 동쪽은 북청군, 북서쪽은 신흥군, 서쪽은 함주군에 접하고, 남쪽은 동해에 면한다. 북쪽에 함경산맥(咸鏡山脈)의 지맥이 뻗어 팔봉(八峰:1,682m)·거두봉(擧頭峰:1,303m) 등이 솟았고, 그 여세가 군내로 미치어, 북서부 일대는 대체로 산지가 많다. 중앙부는 두무산(豆蕪山)에서 발원하는 서대천(西大川)과 향파(香坡)에서 발원하는 동대천(東大川)의 두 강이 흘러, 하류에 홍원·용원(龍源)의 두 평야가 전개된다. 해안선은 홍원만(洪原灣)을 비롯하여 비교적 굴곡이 많다. 홍원군의 지형은 북으로부터 산지 ·평야 ·해안의 3지대가 된다. 원군의 주산업은 농업으로 쌀 ·콩류 ·조 ·귀리 ·감자 등이 주요 농산물이다. 홍원군에서 가장 활기를 띠는 산업은 수산업이다. 연안일대는 한난해류(寒暖海流)가 만나는 곳이 되어 명태 ·대구 ·정어리 ·가자미 ·고등어 ·은어 ·게 등 각종 어족 외에 패류(貝類) ·미역 ·천초(天草) 등도 많다. 주요 어항은 전진(前津) ·송잠(松岑) ·돌성(乭城) ·삼호(三湖) ·무계(茂桂) 등인데, 명란 공장을 비롯하여, 수산물 가공 공장이 있다. 광산물은 용포면의 형석 ·인상흑연, 경운면의 석회석, 운학리의 금 ·은 등이 산출된다. 관북지방의 카바이드 ·석회질소 공업은 그 원료를 홍원군에 의존한다. 명승지로는 천도(穿島) ·주을도(注乙島:珠島 ·竹島) ·봉대(峰臺) ·절부암(節婦岩) ·번가호(飜歌湖) ·송도(松島) 등이 있고, 고적으로는 고분군(古墳群)을 이룬 달단동, 이태조와 관계 깊은 함관령, 진(秦)나라 사람들이 이주하였다는 진동도(秦童島) 등이 있다. 그 밖에 달단동 승전기적비(勝戰紀蹟碑) ·송공비(宋公碑) 등이 있다.
  • 경포면은 조선 말에 홍원군 경포사를 개편하여 홍원군에 신설했던 면이다. 경치 아름다운 바닷가 포구에 생긴 면이므로 경포면이라 하여 남학(南鶴), 장흥(長興), 남송(南松), 송동(松洞), 좌하(左下), 용풍(龍豊), 신양(新陽), 관덕(觀德), 이화정(梨花亭), 동동(銅洞), 운동(雲東), 흥석(興石), 좌상(左上), 좌중(左中), 좌호(左湖), 동촌(東村), 남양(南陽), 동포(東浦), 좌동(左東), 인정(獜亭), 송령(松嶺), 동양(東陽), 우상(右上), 우중(右中), 동성(東成), 용성(龍城), 인흥(仁興) 등 27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동성리가 좌동리에 편입되었으며, 1935년에 홍원군 운포면과 병합하여 홍원군 경운면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홍원군 홍원유문 진주암[편집]

  • 함경남도 홍원군 경포노동자구에 있는 천연기념물이다. 경포역에서 동쪽으로 약 2km 정도 상거한 경포해안에 있다. 중생대 말~제3기 초에 생긴 대표적인 분출암의 하나로서 분출암의 유리질 형태와 특성, 그 형성과정과 광물학적 특성이 잘 나타나 지질학 연구에서 의의가 크며 해안경치를 더욱 아름답게 하여 1980년 1월 국가 자연보호연맹에 의해 천연기념물 제278호로 지정되어 보호 관리되고 있다. 유문암은 응회암을 뚫고 삼월봉의 바다 기슭 벼랑의 횡단면 700m 사이에 수직으로 분포되어 있다. 진주암은 유문암과 응회암의 접촉 부분에 있다. 그 두께는 2~3m이다. 흐름무늬를 띠고 있는 유문암에는 유리질 성분이 많으며 진주암에는 파란 유리나 밤색알처럼 굳어진 크고 투명한 자주빛을 띤 비정질광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경포만 유역의 자연환경[편집]

  • 경포만 유역에 위치한 홍원군은 거두봉산줄기와 함관령산줄기에 의하여 동 · 서 · 북쪽이 막혀 있고 남쪽은 바다와 면해 있으며 남서부에는 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홍원군의 북부에는 해발 1,000m 이상 되는 높은 산들이 솟아 있고, 서부에는 함관령(咸關嶺, 462m), 웅봉(熊峰, 722m), 동부에는 종산(鐘山, 703m), 쌍가령(雙佳嶺, 350m) 등의 산지가 솟아 있다. 홍원군의 팔봉(八峰, 1,682m), 구절봉(九節峯, 973m), 묵방산(墨方山, 1,009m)을 연결하는 산줄기는 서대천(西大川 · 홍원)과 동대천(東大川 · 신포)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며 군의 서부와 동부의 자연적 경계로 되고 있다.
  • 경포만 지형상의 중요한 특징은 25°이상의 급경사지가 많이 분포된 것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기복량이 큰 것, 즉 해안지역에 위치해 있는 홍원군서 해발이 높고 동대천(東大川 · 신포)과 서대천(홍원)의 골짜기들이 분수령 밑까지 깊이 침투되어 있는데 그 원인이 있다. 서대천(홍원)과 동대천(신포)의 하류 및 그 사이에 있는 소하천의 중, 하류 지대들과 해안지역에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달된 평야가 전개되어 있다. 경포만의 해안에는 송도(松島), 까치섬, 솔섬, 대섬 등 작은 섬들이 있다. 해안선의 길이는 43.4km이며 굴곡이 비교적 심하다. 서대천어귀에는 범포를 비롯한 석호들이 있으며 운포노동자구에는 운포동굴이 있다.
  • 경포만 유역의 지질은 대부분이 화강편마암, 석회암 등으로 되었으며 석회석자원이 풍부하다.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해양성기후를 나타내며 동해안에서 비교적 따뜻한 지역의 하나로 되어 있다. 연평균기온은 9.4℃, 1월 평균기온은 -5.3℃, 8월 평균기온은 22.4℃이다. 0℃ 이상 적산온도는 3,792℃, 5℃ 이상 적산온도는 3,692℃, 10℃ 이상 적산온도는 3,342℃, 15℃ 이상 적산온도는 2,670℃이다. 연평균강수량은 783.2mm이며 6~7월에 비가 비교적 많이 내린다. 첫 서리는 대체로 10월 하순경에, 마감서리는 그 다음 해 4월 하순경에 내린다. 바람은 비교적 약한 편이다. 여름에는 주로 남동풍이, 가을, 겨울, 봄에는 북서풍이 자주 분다. 연평균풍속은 2.8m/s밖에 되지 않으며 안개가 끼는 횟수는 연간 30~40회 정도, 일조율은 52.8%이다. 기본 하천망은 서대천(홍원)과 동대천(신포)이다. 서대천(홍원)의 지류로는 구룡천(九龍川), 동상천(東上川), 남풍천(南豊川), 장풍천(壯豊川) 등이 있으며 동대천(신포)의 지류로는 송평천, 외상천(外上川), 송동천(松洞川), 경포천(景浦川) 등이 있다.
  • 유역에는 관흥저수지(關興貯水池), 보현저수지(普賢貯水池), 광명저수지(光明貯水池), 경흥저수지(景興貯水池), 운상저수지(雲上貯水池), 경포저수지(景浦貯水池), 용호저수지(龍湖貯水池) 등이 있다. 산림은 군 전체 면적의 약 76%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지역에 소나무가 분포되어 있다. 해발 1,000m 이상 되는 북부 지역에서는 잎갈나무, 분비나무, 참나무, 잣나무 등 나무가 적지 않게 자라고 있다. 바닷가의 넓은 지역에는 사취가 전개되어 있다. 이곳 소나무는 방풍림을 형성하여 이 일대의 경치를 더욱 아름답게 해 준다. 그 외 잣나무, 산초나무 등을 많이 재배하여 해마다 잣, 분지 등을 많이 수확하고 있다. 산에는 삽주, 삼지구엽초, 당귀, 족도리풀, 함박꽃, 고사리, 도라지, 참나물, 고비, 두릅, 머루, 다래, 도토리, 송이버섯 등 약초, 산나물, 산열매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 충적토, 논토양이고 기계적 조성은 모래질메흙이 대부분이며 그 외는 양토, 모래흙이다.

홍원군 경포노동자구[편집]

  • 함경남도 홍원군 1읍 4노동자구 27리의 하나이다. 군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노동자구이다. 동쪽은 운상리, 북쪽은 중서리, 서쪽은 동상리 · 광명리 · 학송리와 접해 있으며 남쪽은 동해와 면해 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홍원군 경운면의 남포리 · 동좌리 · 좌덕리를 병합하여 신설한 리인데, 1988년 홍원군 경흥리 · 신성리를 흡수하면서 경포노동자구로 되었다. 북쪽에 함관령 산줄기의 산발들이 높이 솟아 있고 남쪽에 맑고 푸른 동해가 펼쳐져 있어 경치 아름다운 포구라는 뜻에서 경포라고 하였다. 이 지역은 동해안의 주요 수산기지로 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어류가공제품이 많이 산출되고 있다. 이 밖에 비누, 기름, 칠감 등 경공업제품도 산출되고 있다. 주요 업체로는 경포수산사업소, 경포화학공장, 경포협동농장 등이 있다. 교통은 남부해안을 따라 평라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경포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평라선과 병행하여 원산~우암 간 1급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홍원읍까지 8km이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경포만(景浦灣)〉,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경포만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