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카고트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카고트럭'''<!--카고 트럭-->(cargo truck)은 일반적인 [[화물차]]를 모두 포괄하는 뜻이지만, 화물 업계에선 [[탑차]]와는 달리 무개 화물칸을 갖추고 있는 [[화물차]]를 의미한다.
 
'''카고트럭'''<!--카고 트럭-->(cargo truck)은 일반적인 [[화물차]]를 모두 포괄하는 뜻이지만, 화물 업계에선 [[탑차]]와는 달리 무개 화물칸을 갖추고 있는 [[화물차]]를 의미한다.
 +
 +
 +
==개요==
 +
카고트럭은 일반적인 화물차에 가장 의미가 부합하는 화물차이다. 화물 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화물차이며 적재함 측면을 내려서 열 수 있다 하여 드롭사이드 트럭(Dropside Truck)이라고도 한다. 카고트럭은 화물칸의 윗칸이 비어있어 화물의 크기와 높이에 크게 구애 받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에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비가 오는 우천후의 날씨에선 반드시 방수포를 덮고 그 다음에 화물의 결박을 확실하게 해줘야 하는 단점도 있다. 1톤 이하의 소형 화물차는 웬만한 지하 주차장은 출입이 가능하지만 이것도 적재 화물이 없을 때나 적재 화물이 캡보다 낮은 경우에만 해당 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A%B3%A0%ED%8A%B8%EB%9F%AD 카고트럭]〉, 《위키백과》 </ref> <ref> 〈[https://namu.wiki/w/%EC%B9%B4%EA%B3%A0%ED%8A%B8%EB%9F%AD 카고트럭]〉, 《나무위키》 </ref>
 +
 +
==특징==
 +
가장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용달차의 형태로 화물 적재 공간에 아무런 보호장치가 없는 형태의 화물차인데 장점이라면 비정형 화물이나 장척물, 무게에 비해 큰 볼륨화물을 싣고 운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단점은 우천시 화물이 젖을 수 있는 점과 외부로부터 화물을 잘 보호하지 못한다는 점이다.<ref> 물류하는 물류하는 희열이, 〈[https://complaisantman.tistory.com/9 국내 운송, 화물차 종류와 형태별 중량별 구분]〉, 《티스토리》, 2020-04-05 </ref>
 +
==구조==
 +
==규격==
 +
:{|class=wikitable width=800 |- ... |}
 +
!align=center|규격차량<ref> 전국화물통합콜,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k4014400&logNo=221460676566 1톤 1.2톤 1.4톤 2.5톤 3.5톤 4.5톤 5톤 5톤장축 5톤축차 11톤 14톤 18톤 25톤 차량 적재함 크기 규격 요금표 제원표 화물요금표 운송요금표 확인]〉, 《네이버 블로그》, 2019-02-08 </ref>
 +
!align=center|1톤카고
 +
!align=center|1.4톤 일반카고
 +
!align=center|2.5톤 일반카고
 +
!align=center|3.5톤 일반카고
 +
!align=center|5톤 일반카고
 +
!align=center|5톤 플러스 축차 일반카고
 +
|-
 +
|align=center|적재함 넓이
 +
|align=center|1.6m
 +
|align=center|1.7m
 +
|align=center|1.8m
 +
|align=center|2.05m
 +
|align=center|2.3m
 +
|align=center|2.3m
 +
|-
 +
|align=center|적재 중량
 +
|align=center|1.5t
 +
|align=center|2.5t
 +
|align=center|4t
 +
|align=center|6t
 +
|align=center|6~9.9t
 +
|align=center|10~15t
 +
|-
 +
|align=center|적재 중량
 +
|align=center|1.5t
 +
|align=center|2.5t
 +
|align=center|4t
 +
|align=center|6t
 +
|align=center|6~9.9t
 +
|align=center|10~15t
 +
|-
 +
|align=center|적재함 길이
 +
|align=center|2.7~2.85m
 +
|align=center|2.9~3.1m
 +
|align=center|4.3m
 +
|align=center|4.6m
 +
|align=center|6.2m
 +
|align=center|7~8m
 +
|-
 +
|align=center|적재부피
 +
|align=center|6cbm
 +
|align=center|8cbm
 +
|align=center|14cbm
 +
|align=center|18cbm
 +
|align=center|26cbm
 +
|align=center|33cbm
 +
|-
 +
|align=center|적재함 바닥높이
 +
|align=center|0.8m
 +
|align=center|0.8m
 +
|align=center|1m
 +
|align=center|1.05m
 +
|align=center|1.1~1.2m
 +
|align=center|1.1~1.2m
 +
|-
 +
|align=center|차량총높이
 +
|align=center|2.2m
 +
|align=center|2.3m
 +
|align=center|2.6m
 +
|align=center|2.7m
 +
|align=center|3~3.2m
 +
|align=center|3~3.2m
 +
|}
 +
 +
==종류==
 +
===일반캡===
 +
===슈퍼캡===
 +
===더블캡===
 +
 +
 +
 +
 +
 +
{{각주}}
 +
 +
==참고자료==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5번째 줄: 92번째 줄:
 
* [[화물차]]
 
* [[화물차]]
  
{{자동차 분류|토막글}}
+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2021년 8월 19일 (목) 14:19 판

카고트럭(cargo truck)은 일반적인 화물차를 모두 포괄하는 뜻이지만, 화물 업계에선 탑차와는 달리 무개 화물칸을 갖추고 있는 화물차를 의미한다.


개요

카고트럭은 일반적인 화물차에 가장 의미가 부합하는 화물차이다. 화물 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화물차이며 적재함 측면을 내려서 열 수 있다 하여 드롭사이드 트럭(Dropside Truck)이라고도 한다. 카고트럭은 화물칸의 윗칸이 비어있어 화물의 크기와 높이에 크게 구애 받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에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비가 오는 우천후의 날씨에선 반드시 방수포를 덮고 그 다음에 화물의 결박을 확실하게 해줘야 하는 단점도 있다. 1톤 이하의 소형 화물차는 웬만한 지하 주차장은 출입이 가능하지만 이것도 적재 화물이 없을 때나 적재 화물이 캡보다 낮은 경우에만 해당 된다.[1] [2]

특징

가장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용달차의 형태로 화물 적재 공간에 아무런 보호장치가 없는 형태의 화물차인데 장점이라면 비정형 화물이나 장척물, 무게에 비해 큰 볼륨화물을 싣고 운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단점은 우천시 화물이 젖을 수 있는 점과 외부로부터 화물을 잘 보호하지 못한다는 점이다.[3]

구조

규격

규격차량[4] 1톤카고 1.4톤 일반카고 2.5톤 일반카고 3.5톤 일반카고 5톤 일반카고 5톤 플러스 축차 일반카고
적재함 넓이 1.6m 1.7m 1.8m 2.05m 2.3m 2.3m
적재 중량 1.5t 2.5t 4t 6t 6~9.9t 10~15t
적재 중량 1.5t 2.5t 4t 6t 6~9.9t 10~15t
적재함 길이 2.7~2.85m 2.9~3.1m 4.3m 4.6m 6.2m 7~8m
적재부피 6cbm 8cbm 14cbm 18cbm 26cbm 33cbm
적재함 바닥높이 0.8m 0.8m 1m 1.05m 1.1~1.2m 1.1~1.2m
차량총높이 2.2m 2.3m 2.6m 2.7m 3~3.2m 3~3.2m

종류

일반캡

슈퍼캡

더블캡

각주

  1. 카고트럭〉, 《위키백과》
  2. 카고트럭〉, 《나무위키》
  3. 물류하는 물류하는 희열이, 〈국내 운송, 화물차 종류와 형태별 중량별 구분〉, 《티스토리》, 2020-04-05
  4. 전국화물통합콜, 〈1톤 1.2톤 1.4톤 2.5톤 3.5톤 4.5톤 5톤 5톤장축 5톤축차 11톤 14톤 18톤 25톤 차량 적재함 크기 규격 요금표 제원표 화물요금표 운송요금표 확인〉, 《네이버 블로그》, 2019-02-08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카고트럭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