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사다리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다리차'''(Ladder Truck, 云梯车)는 사다리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로, 높은 건물에 화재가 났을 때나 이사할 때, 공중에서 일할 때 등...)
 
1번째 줄: 1번째 줄:
 
'''사다리차'''(Ladder Truck, 云梯车)는 [[사다리]]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로, 높은 건물에 화재가 났을 때나 이사할 때, 공중에서 일할 때 등에 사용된다.
 
'''사다리차'''(Ladder Truck, 云梯车)는 [[사다리]]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로, 높은 건물에 화재가 났을 때나 이사할 때, 공중에서 일할 때 등에 사용된다.
 +
 +
==제원==
 +
* '''1t 사다리차''' : 2층부터 8층 사이인 경우 사용되며 최대 25m까지 가능하다. 7단붐 적용으로 겹침량 증대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견고하고 콤팩트한 사다리차이다. 작업 현장은 건설자재 운반, 건설 폐기물 운반, 덤프 자동 사다리차, 이삿짐, 피아노나 가구 등을 이동시키는 작업, 간판 작업 등을 한다.
 +
:{|class=wikitable width=800
 +
!align=center|중량
 +
!align=center|차 길이
 +
!align=center|차 높이
 +
!align=center|차폭
 +
!align=center|최대 작업 높이
 +
|-
 +
|align=center|1t
 +
|align=center|5.3m
 +
|align=center|2.9m
 +
|align=center|1.74m
 +
|align=center|25m
 +
|}
 +
 +
* '''2.5t 사다리차''' : 12층에서 13층 사이인 경우 사용되며 최대 37m까지 가능하다. 2.5t 단축 사다리 최대 높이로 콤팩트한 디자인과 편리한 중앙집중식 조작성, 혁신적인 자동 이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광범위한 작업범위로 건설자재 운반, 건설 폐기물 운반, 덤프 자동 사다리차, 이삿짐, 피아노나 가구 운반 작업, 간판 작업 등을 한다.
 +
:{|class=wikitable width=800
 +
!align=center|중량
 +
!align=center|차 길이
 +
!align=center|차 높이
 +
!align=center|차폭
 +
!align=center|최대 작업 높이
 +
|-
 +
|align=center|1t
 +
|align=center|6.35m
 +
|align=center|3.11m
 +
|align=center|1.95m
 +
|align=center|37m
 +
|}
 +
 +
* '''3.5t 사다리차''' : 15층에서 16층까지인 경우 사용이 가능하며 3.5t 슈퍼캡 사다리 최대 높이인 45m [[중형차]]의 사다리차이다. 기동성과 효율성을 겸비하고 있고 광범위한 작업 높이와 사다리차의 효율적 운용, 편의성 증대하고 운반카 자동 이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주된 작업 현장은 건설자재 운반, 건설 폐기물 운반, 덤프 자동 사다리차, 이삿짐, 피아노나 가구 등을 이동시키는 작업, 간판 작업 등을 한다.
 +
:{|class=wikitable width=800
 +
!align=center|중량
 +
!align=center|차 길이
 +
!align=center|차 높이
 +
!align=center|차폭
 +
!align=center|최대 작업 높이
 +
|-
 +
|align=center|3.5t
 +
|align=center|7.55m
 +
|align=center|3.17m
 +
|align=center|2.06m
 +
|align=center|45m
 +
|}
 +
 +
* '''5t 사다리차''' : 27층까지의 높이인 경우 사용이 가능하며 사다리차 최대 높이인 70m 중형차의 사다리차이다. 기동성과 효율성을 겸비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작업 높이로 사다리차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며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운반카 자동 이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주된 작업 현장은 건설자재 운반, 건설 폐기물 운반, 덤프 자동 사다리차, 이삿짐, 피아노나 가구 등을 이동시키는 작업, 간판 작업 등을 한다.<ref>장비 다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rl8282&logNo=220649850654 사다리차 제원표 제원]〉, 《네이버 블로그》, 2016-03-09</ref>
 +
 +
:{|class=wikitable width=800
 +
!align=center|중량
 +
!align=center|차 길이
 +
!align=center|차 높이
 +
!align=center|차폭
 +
!align=center|최대 작업 높이
 +
|-
 +
|align=center|5t
 +
|align=center|10m
 +
|align=center|3.4m
 +
|align=center|2.45m
 +
|align=center|70m
 +
|}
 +
 +
==최근 현황==
 +
[[소방청]]은 소방사다리차의 경우 2018년 12월 기준, 제1종 대형[[운전면허]]를 소지한 소방대원이면 조작이 가능하지만 2019년부터는 전문자격증을 소지해야 한다. 소방사다리차는 화재시 인명구조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되는 장비이며 차체가 크고 기능이 첨단화 되면서 복잡해져 조작에 전문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2018년 12월 기준, 국내에는 소방사다리차 종류로 고가사다리차와 굴절사다리차 2가지가 각 각 270대, 165대 운영되고 있다. 소방청은 자격제도 운영을 위해 소방사다리차 운용능력 교육 및 시험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고, 전문교관 20명과 주행시험, 가상운전, 훈련탑 등의 기본적 시설이 확충돼 있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을 자격인증 시험기관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2019년 상반기에 규정을 마련하고 2019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해 자격증 취득자를 현장에 우선 배치 할 예정”이라며 “소방사다리차 435대가 전국 소방관서에 배치돼 있고 3교대 근무체계를 감안하면 1,300여명이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1년까지 소방사다리차 운용을 자격 보유자로 100%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f>김정욱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DFQL9T3 소방청, 소방사다리차 운전 전문자격증 제도 도입]〉, 《서울경제》, 2018-12-07</ref>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 장비 다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rl8282&logNo=220649850654 사다리차 제원표 제원]〉, 《네이버 블로그》, 2016-03-09
 +
* 김정욱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DFQL9T3 소방청, 소방사다리차 운전 전문자격증 제도 도입]〉, 《서울경제》, 2018-12-07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21년 6월 29일 (화) 16:36 판

사다리차(Ladder Truck, 云梯车)는 사다리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로, 높은 건물에 화재가 났을 때나 이사할 때, 공중에서 일할 때 등에 사용된다.

제원

  • 1t 사다리차 : 2층부터 8층 사이인 경우 사용되며 최대 25m까지 가능하다. 7단붐 적용으로 겹침량 증대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견고하고 콤팩트한 사다리차이다. 작업 현장은 건설자재 운반, 건설 폐기물 운반, 덤프 자동 사다리차, 이삿짐, 피아노나 가구 등을 이동시키는 작업, 간판 작업 등을 한다.
중량 차 길이 차 높이 차폭 최대 작업 높이
1t 5.3m 2.9m 1.74m 25m
  • 2.5t 사다리차 : 12층에서 13층 사이인 경우 사용되며 최대 37m까지 가능하다. 2.5t 단축 사다리 최대 높이로 콤팩트한 디자인과 편리한 중앙집중식 조작성, 혁신적인 자동 이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광범위한 작업범위로 건설자재 운반, 건설 폐기물 운반, 덤프 자동 사다리차, 이삿짐, 피아노나 가구 운반 작업, 간판 작업 등을 한다.
중량 차 길이 차 높이 차폭 최대 작업 높이
1t 6.35m 3.11m 1.95m 37m
  • 3.5t 사다리차 : 15층에서 16층까지인 경우 사용이 가능하며 3.5t 슈퍼캡 사다리 최대 높이인 45m 중형차의 사다리차이다. 기동성과 효율성을 겸비하고 있고 광범위한 작업 높이와 사다리차의 효율적 운용, 편의성 증대하고 운반카 자동 이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주된 작업 현장은 건설자재 운반, 건설 폐기물 운반, 덤프 자동 사다리차, 이삿짐, 피아노나 가구 등을 이동시키는 작업, 간판 작업 등을 한다.
중량 차 길이 차 높이 차폭 최대 작업 높이
3.5t 7.55m 3.17m 2.06m 45m
  • 5t 사다리차 : 27층까지의 높이인 경우 사용이 가능하며 사다리차 최대 높이인 70m 중형차의 사다리차이다. 기동성과 효율성을 겸비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작업 높이로 사다리차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며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운반카 자동 이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주된 작업 현장은 건설자재 운반, 건설 폐기물 운반, 덤프 자동 사다리차, 이삿짐, 피아노나 가구 등을 이동시키는 작업, 간판 작업 등을 한다.[1]
중량 차 길이 차 높이 차폭 최대 작업 높이
5t 10m 3.4m 2.45m 70m

최근 현황

소방청은 소방사다리차의 경우 2018년 12월 기준, 제1종 대형운전면허를 소지한 소방대원이면 조작이 가능하지만 2019년부터는 전문자격증을 소지해야 한다. 소방사다리차는 화재시 인명구조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되는 장비이며 차체가 크고 기능이 첨단화 되면서 복잡해져 조작에 전문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2018년 12월 기준, 국내에는 소방사다리차 종류로 고가사다리차와 굴절사다리차 2가지가 각 각 270대, 165대 운영되고 있다. 소방청은 자격제도 운영을 위해 소방사다리차 운용능력 교육 및 시험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고, 전문교관 20명과 주행시험, 가상운전, 훈련탑 등의 기본적 시설이 확충돼 있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을 자격인증 시험기관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2019년 상반기에 규정을 마련하고 2019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해 자격증 취득자를 현장에 우선 배치 할 예정”이라며 “소방사다리차 435대가 전국 소방관서에 배치돼 있고 3교대 근무체계를 감안하면 1,300여명이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1년까지 소방사다리차 운용을 자격 보유자로 100%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각주

  1. 장비 다있다, 〈사다리차 제원표 제원〉, 《네이버 블로그》, 2016-03-09
  2. 김정욱 기자, 〈소방청, 소방사다리차 운전 전문자격증 제도 도입〉, 《서울경제》, 2018-12-07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사다리차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