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농기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농기계'''(Agricultural Machine, 農機械)는 농사를 지을 때 사용되는 기계로, 작물, 채소, 과일, 누에, 축산, 시설농업 등에 직접 관여하는...)
 
2번째 줄: 2번째 줄:
  
 
==종류==
 
==종류==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7761&cid=40942&categoryId=31871 농업기계]〉, 《네이버 지식백과》</ref>  
+
* '''농용트랙터''' : 약 100년 전 유럽에서 말 대신에 기계로 바꾸기 위하여 개발된 특수차량으로서 처음에는 동력원으로 증기기관을 사용하였으나, 그 후 내연기관을 사용하게 되었다. 초기의 농용[[트랙터]]는 주로 경운, 쇄토 등의 작업과 탈곡기의 동력원으로 이용되었으나, 시대의 변천에 따라 더 많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개량되었다. 농용트랙터는 여러가지 농작업을 수행하기에 알맞은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쟁기, 로터리 등을 부착하여 경운 및 쇄토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종, 중경, 제초, 병충해 방제, 양수, 탈곡 등 각종 농작업의 동력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
 
 +
* '''파종기''' : 작물의 종류 및 재배목적에 따라 파종양식이 다르며, 크게 산파기, 조파기, 점파기의 3가지 종류로 나눈다. 작물에 따라 볍씨파종기, 보리파종기, 콩파종기, 유채파종기, 감자파종기 등으로 구분되며, 한국에서는 볍씨파종기와 곡류 세조파파종기가 보급되어 있다.
 +
 
 +
* '''이앙기''' : 모를 심는 기계로서 사용되는 모의 종류에 따라 성묘 이앙기, 상자묘 이앙기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이앙조수에 따라 2조, 4조, 6조용으로 분류되고, 동력원에 따라 인력용과 동력용으로 구분되며, 조종방법에 따라 보행용과 승용형으로 구분된다.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앙기는 보행용이 대부분이나, 요근래 승용 이앙기가 보급되고 있다.
 +
 
 +
* '''이식기''' : 이식하는 작물은 배추, 토마토, 고추, 양파, 담배 등이다. 기종으로는 홀더식 이식기, 디스크식 이식기, 호퍼식 이식기 등이 있으나, 한국에서는 아직 실용화되고 있는 기종이 없다.
 +
 
 +
* '''병충해 방제기''' : 농작물이 입는 피해를 예방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기계를 방제기라고 하며, 사용 약제의 형태에 의하여 액체용으로 분무기, 미스트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토양소독기 등이 있으며, 분제용으로 살분무기가 있고, 살포원리 및 구조에 따라 사용방법이 다르다. 한국에서는 주로 동력 분무기와 동력 살분무기가 보급되어 있다.
 +
 
 +
* '''관개용 기계''' :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인위적으로 공급하는 기계로서 양수기와 살수기가 있다. 양수기는 날개차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물에 압력에너지를 주어서 흡입관에서 끌어올린 물을 토출관에서 빼내는 원심식 양수기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살수기로는 수압에 의하여 분사관이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살수되는 장치로 스프링클러가 밭관개용으로 보급되고 있다.
 +
 
 +
* '''수확기''' : 곡물, 채소, 과실류의 수확작업은 각기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며, 이용되는 기계도 매우 다르다. 한국에서 옛날부터 사용하던 수확용 기구에는 낫, 홀태, 도리깨, 탈곡기 등이 있으나, 근래에는 능률이 높은 바인더, 콤바인이 보급되어 있다. 바인더는 곡물을 예취한 후 결속끈으로 묶어서 기체 밖으로 방출시키는 수확기이며, 콤바인은 포장을 이동하면서 벼, 보리 등의 곡물을 예취하며 동시에 탈곡 및 조제한다.
 +
 
 +
* '''건조기''' : 농산물의 변질방지 및 저장성과 가공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농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국내에 보급되고 있는 건조기에는 평면식 건조기와 순환식 건조기가 있다. 평면식 건조기에서, 보통 송풍기와 가열기는 한 몸통으로 되어 있어 취급이 용이하며, 곡물 이외의 농산물 건조에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쪽에서만 송풍이 되기 때문에 상하층간에 함수율의 차이가 생기는 단점도 있다. 순환식 건조기는 곡립 건조탱크에 열풍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곡물은 이 열풍관 사이를 유하하면서 연속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져 건조상태가 균일해지고, 곡물의 종류, 작업량, 함수율 등에 따라서 순환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
 
 +
* '''선별기''' : 곡류, 과실류, 채소류 등의 각종 농산물을 선별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선별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선별 장치는 원료의 종류 및 선별 목적에 따라 선별 원리 및 방법이 각각 다르며, 곡물의 크기 및 모양을 이용한 대표적 선별기로 체선별기가 있고,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주곡물로부터 선별하는 비중선별기가 있다. 또한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중량선별기 등이 보급되어 있다.
 +
 
 +
* '''도정기''' : 벼, 보리 등의 곡립으로부터 왕겨와 강층을 벗기는 조작을 도정이라 하고, 왕겨를 벗기는 데 사용되는 기계를 현미기라고 하며, 강층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를 정미기, 보리의 과피와 겨층을 제거하는 기계를 정맥기라고 한다.
 +
 
 +
* '''제분기''' : 밀, 옥수수, 콩 등을 분쇄하여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을 제거하고 전분층을 분리시켜 밀가루, 옥수수가루, 콩가루 등을 만드는 기계이다.
 +
 
 +
* '''저장시설''' : 곡물의 저장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상온저장, 저온저장, 포대저장, 산물저장, 밀폐저장 방법 등이 있고, 저장시설은 저장고와 부대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장목적 및 저장방법에 따라 저장고의 위치, 구조, 재료, 시공방법이 각각 다르다. 한국의 곡물 저장고로 갑류, 을류, 병류 저장고와 간이 저장고가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7761&cid=40942&categoryId=31871 농업기계]〉, 《네이버 지식백과》</ref>  
  
 
{{각주}}
 
{{각주}}

2021년 6월 30일 (수) 13:35 판

농기계(Agricultural Machine, 農機械)는 농사를 지을 때 사용되는 기계로, 작물, 채소, 과일, 누에, 축산, 시설농업 등에 직접 관여하는 기계와 생산 후에 가공처리 등에 관여되는 모든 기계다. 농업기계 또는 농작업기로도 불린다.

종류

  • 농용트랙터 : 약 100년 전 유럽에서 말 대신에 기계로 바꾸기 위하여 개발된 특수차량으로서 처음에는 동력원으로 증기기관을 사용하였으나, 그 후 내연기관을 사용하게 되었다. 초기의 농용트랙터는 주로 경운, 쇄토 등의 작업과 탈곡기의 동력원으로 이용되었으나, 시대의 변천에 따라 더 많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개량되었다. 농용트랙터는 여러가지 농작업을 수행하기에 알맞은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쟁기, 로터리 등을 부착하여 경운 및 쇄토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종, 중경, 제초, 병충해 방제, 양수, 탈곡 등 각종 농작업의 동력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 파종기 : 작물의 종류 및 재배목적에 따라 파종양식이 다르며, 크게 산파기, 조파기, 점파기의 3가지 종류로 나눈다. 작물에 따라 볍씨파종기, 보리파종기, 콩파종기, 유채파종기, 감자파종기 등으로 구분되며, 한국에서는 볍씨파종기와 곡류 세조파파종기가 보급되어 있다.
  • 이앙기 : 모를 심는 기계로서 사용되는 모의 종류에 따라 성묘 이앙기, 상자묘 이앙기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이앙조수에 따라 2조, 4조, 6조용으로 분류되고, 동력원에 따라 인력용과 동력용으로 구분되며, 조종방법에 따라 보행용과 승용형으로 구분된다.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앙기는 보행용이 대부분이나, 요근래 승용 이앙기가 보급되고 있다.
  • 이식기 : 이식하는 작물은 배추, 토마토, 고추, 양파, 담배 등이다. 기종으로는 홀더식 이식기, 디스크식 이식기, 호퍼식 이식기 등이 있으나, 한국에서는 아직 실용화되고 있는 기종이 없다.
  • 병충해 방제기 : 농작물이 입는 피해를 예방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기계를 방제기라고 하며, 사용 약제의 형태에 의하여 액체용으로 분무기, 미스트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토양소독기 등이 있으며, 분제용으로 살분무기가 있고, 살포원리 및 구조에 따라 사용방법이 다르다. 한국에서는 주로 동력 분무기와 동력 살분무기가 보급되어 있다.
  • 관개용 기계 :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인위적으로 공급하는 기계로서 양수기와 살수기가 있다. 양수기는 날개차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물에 압력에너지를 주어서 흡입관에서 끌어올린 물을 토출관에서 빼내는 원심식 양수기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살수기로는 수압에 의하여 분사관이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살수되는 장치로 스프링클러가 밭관개용으로 보급되고 있다.
  • 수확기 : 곡물, 채소, 과실류의 수확작업은 각기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며, 이용되는 기계도 매우 다르다. 한국에서 옛날부터 사용하던 수확용 기구에는 낫, 홀태, 도리깨, 탈곡기 등이 있으나, 근래에는 능률이 높은 바인더, 콤바인이 보급되어 있다. 바인더는 곡물을 예취한 후 결속끈으로 묶어서 기체 밖으로 방출시키는 수확기이며, 콤바인은 포장을 이동하면서 벼, 보리 등의 곡물을 예취하며 동시에 탈곡 및 조제한다.
  • 건조기 : 농산물의 변질방지 및 저장성과 가공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농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국내에 보급되고 있는 건조기에는 평면식 건조기와 순환식 건조기가 있다. 평면식 건조기에서, 보통 송풍기와 가열기는 한 몸통으로 되어 있어 취급이 용이하며, 곡물 이외의 농산물 건조에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쪽에서만 송풍이 되기 때문에 상하층간에 함수율의 차이가 생기는 단점도 있다. 순환식 건조기는 곡립 건조탱크에 열풍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곡물은 이 열풍관 사이를 유하하면서 연속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져 건조상태가 균일해지고, 곡물의 종류, 작업량, 함수율 등에 따라서 순환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 선별기 : 곡류, 과실류, 채소류 등의 각종 농산물을 선별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선별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선별 장치는 원료의 종류 및 선별 목적에 따라 선별 원리 및 방법이 각각 다르며, 곡물의 크기 및 모양을 이용한 대표적 선별기로 체선별기가 있고,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주곡물로부터 선별하는 비중선별기가 있다. 또한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중량선별기 등이 보급되어 있다.
  • 도정기 : 벼, 보리 등의 곡립으로부터 왕겨와 강층을 벗기는 조작을 도정이라 하고, 왕겨를 벗기는 데 사용되는 기계를 현미기라고 하며, 강층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를 정미기, 보리의 과피와 겨층을 제거하는 기계를 정맥기라고 한다.
  • 제분기 : 밀, 옥수수, 콩 등을 분쇄하여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을 제거하고 전분층을 분리시켜 밀가루, 옥수수가루, 콩가루 등을 만드는 기계이다.
  • 저장시설 : 곡물의 저장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상온저장, 저온저장, 포대저장, 산물저장, 밀폐저장 방법 등이 있고, 저장시설은 저장고와 부대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장목적 및 저장방법에 따라 저장고의 위치, 구조, 재료, 시공방법이 각각 다르다. 한국의 곡물 저장고로 갑류, 을류, 병류 저장고와 간이 저장고가 있다.[1]

각주

  1. 농업기계〉,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농기계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