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배터리 전기자동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배터리 전기자동차'''<!--배터리 전기 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는 내연기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만 사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를 말한다. 간략히 '''BEV'''(비이브이)라고 한다.
 
'''배터리 전기자동차'''<!--배터리 전기 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는 내연기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만 사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를 말한다. 간략히 '''BEV'''(비이브이)라고 한다.
  
{{자세히|전기자동차}}
+
==개요==
 +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전기모터와 전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다. 내연기관의 힘과 전기를 함께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HEV)와는 달리 충전된 배터리의 힘으로만 모터가 움직이는 것이 배터리 전기차의 특징이다.<ref> AXA손해보험, 〈[https://blog.naver.com/axadirectkorea/222438640573 (김기범 기자의 자동차 이야기) HEV? BEV? FCEV? 전기차 종류가 이렇게 다양하다고? 전기차 종류, 특징부터 시장 전망까지!]〉, 《네이버 블로그》, 2021-07-21 </ref>
  
== 참고자료 ==
+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HEV와 달리 100% 배터리에 의지해 모터를 작동시킨다. BEV의 장점은 친환경, 효율 , 경제성이다. 연료 주입 방식이 아닌 배터리 충전이기 때문에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그리고 내연기관과 같은 큰 엔진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더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과거 주행거리가 180~250kmrk 한계였다면 배터리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주행거리가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오늘날 300km를 넘어 400~600km 거리까지 주행 가능하다. 물론 도심 주행을 위한 소형 배터리 전기자동차가 대부분이며 장거리 주행 가능한 BEV가 대중화 되려면 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ref> 다키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4678354&memberNo=23315462 HEV, PHEV, BEV, FCEV 친환경차에 대한 모든 것!]〉, 《네이버 포스트》, 2018-04-06 </ref>
* 〈[https://ko.wikipedia.org/wiki/%EB%B0%B0%ED%84%B0%EB%A6%AC%EC%8B%9D_%EC%A0%84%EA%B8%B0%EC%9E%90%EB%8F%99%EC%B0%A8 배터리식 전기자동차]〉, 《위키백과》
 
* 카베이, 〈[https://brunch.co.kr/@carbay1/80 HEV, PHEV, BEV, FCEV 친환경차!? - 친환경차의 모든 것!]〉, 《브런치》, 2018-05-30
 
  
== 같이 보기 ==
+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기존 차량들과는 구조부터 완벽하게 다르다. 100년 넘게 자동차의 심장을 자처하던 엔진 대신 모터만이 남고 연료탱크 자리에는 배터리가 자리를 잡게 됐다. 불룸버그 EV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에는 전 세계 자가용 중 배터리 전기자동차의 비중이 50%에 육박할 전망이다.<ref> 박지성 기자,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830 (한장TECH) EV의 구분과 유형]〉, 《테크월드》, 2019-03-18 </ref>
 +
 
 +
==특징==
 +
배터리 전기잗종차는 하이브리드 전기차와 달리 100% 배터리에 의지하여 모터가 작동한다. 배터리 전기잗종차는 연료 주입 방식이 아닌 배터리 충전이기 때뭔에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주행 가능한 거리가 다른다. 운전습관이나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회 충전 시 약 100~300kjm 주행할 수 있다. BEV 전기차는 부족한 배터리 용량과 배터리 충전 인프라의 문제가 존재한다.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통해 미래에는 더 대중화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ref> 한국타이어, 〈[https://m.blog.naver.com/happydriving/221438707148 BEV? FCEV? 대세로 떠오른 친환경 자동차?]〉, 《네이버 블로그》, 2019-01-10 </ref>
 +
 
 +
전기모터의 구동력만을 이용하기에 에너지원이 되는 배터리의 용량 및 성능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들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중에 있다.<ref> 마이매거진, 〈[https://koalmott.tistory.com/74 친화경자동차 어떻게 구분될까?(HEV, PHEV, BEV, FCEV)]〉, 《티스토리》, 2020-06-16 </ref>
 +
 
 +
==전고체 배터리==
 +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 완성도가 고조에 오르면서 전기자동차 주행거리 역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배터리는 다양한 산업 중 발전 속도가 느린 편에 속하는데도 불구하고 상당히 빠르게 발전해 왔지만, 기술적 한계에 올라와 있어 더 이상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부피와 무게를 늘리지 않고서는 전기자동차에 더 높은 용량 배터리를 적용할 수 없다는 의미다.<ref> 오토트리뷴,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9605147&memberNo=3251907&searchKeyword=%EB%B0%B0%ED%84%B0%EB%A6%AC%20%EC%A0%84%EA%B8%B0%EC%9E%90%EB%8F%99%EC%B0%A8&searchRank=1 주행거리 700km 가능, 전고체 배터리 전기자동차 출시는?]〉, 《네이버 포스트》, 2019-06-04 </ref>
 +
 
 +
==대표 모델==
 +
 
 +
==참고자료==
 +
 
 +
==같이 보기==
 
* [[배터리]]
 
* [[배터리]]
 
* [[전기자동차]]
 
* [[전기자동차]]
 
* [[BEV]]
 
* [[BEV]]
  
{{자동차 분류|토막글}}
+
{{자동차 분류|검토 필요}}

2021년 11월 29일 (월) 17:56 판

배터리 전기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는 내연기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만 사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를 말한다. 간략히 BEV(비이브이)라고 한다.

개요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전기모터와 전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다. 내연기관의 힘과 전기를 함께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HEV)와는 달리 충전된 배터리의 힘으로만 모터가 움직이는 것이 배터리 전기차의 특징이다.[1]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HEV와 달리 100% 배터리에 의지해 모터를 작동시킨다. BEV의 장점은 친환경, 효율 , 경제성이다. 연료 주입 방식이 아닌 배터리 충전이기 때문에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 그리고 내연기관과 같은 큰 엔진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더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과거 주행거리가 180~250kmrk 한계였다면 배터리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주행거리가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오늘날 300km를 넘어 400~600km 거리까지 주행 가능하다. 물론 도심 주행을 위한 소형 배터리 전기자동차가 대부분이며 장거리 주행 가능한 BEV가 대중화 되려면 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2]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기존 차량들과는 구조부터 완벽하게 다르다. 100년 넘게 자동차의 심장을 자처하던 엔진 대신 모터만이 남고 연료탱크 자리에는 배터리가 자리를 잡게 됐다. 불룸버그 EV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에는 전 세계 자가용 중 배터리 전기자동차의 비중이 50%에 육박할 전망이다.[3]

특징

배터리 전기잗종차는 하이브리드 전기차와 달리 100% 배터리에 의지하여 모터가 작동한다. 배터리 전기잗종차는 연료 주입 방식이 아닌 배터리 충전이기 때뭔에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주행 가능한 거리가 다른다. 운전습관이나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회 충전 시 약 100~300kjm 주행할 수 있다. BEV 전기차는 부족한 배터리 용량과 배터리 충전 인프라의 문제가 존재한다.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통해 미래에는 더 대중화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4]

전기모터의 구동력만을 이용하기에 에너지원이 되는 배터리의 용량 및 성능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들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중에 있다.[5]

전고체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 완성도가 고조에 오르면서 전기자동차 주행거리 역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배터리는 다양한 산업 중 발전 속도가 느린 편에 속하는데도 불구하고 상당히 빠르게 발전해 왔지만, 기술적 한계에 올라와 있어 더 이상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부피와 무게를 늘리지 않고서는 전기자동차에 더 높은 용량 배터리를 적용할 수 없다는 의미다.[6]

대표 모델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배터리 전기자동차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1. AXA손해보험, 〈(김기범 기자의 자동차 이야기) HEV? BEV? FCEV? 전기차 종류가 이렇게 다양하다고? 전기차 종류, 특징부터 시장 전망까지!〉, 《네이버 블로그》, 2021-07-21
  2. 다키포스트, 〈HEV, PHEV, BEV, FCEV 친환경차에 대한 모든 것!〉, 《네이버 포스트》, 2018-04-06
  3. 박지성 기자, 〈(한장TECH) EV의 구분과 유형〉, 《테크월드》, 2019-03-18
  4. 한국타이어, 〈BEV? FCEV? 대세로 떠오른 친환경 자동차?〉, 《네이버 블로그》, 2019-01-10
  5. 마이매거진, 〈친화경자동차 어떻게 구분될까?(HEV, PHEV, BEV, FCEV)〉, 《티스토리》, 2020-06-16
  6. 오토트리뷴, 〈주행거리 700km 가능, 전고체 배터리 전기자동차 출시는?〉, 《네이버 포스트》, 2019-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