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기어레버

해시넷
qkrwhdtn6296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7월 13일 (화) 15:24 판 (종류)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어레버란 변속 장치나 변속기를 조작하는 레버로서, 상면(床面) 또는 핸들 포스트에 장치한다.[1]

기어, 변속기, 변속레버 등으로 사람마다 다르게 불리지만 세세하게 따지면 각각의 단어는 서로 다른 것을 가리킨다. 이 글에서 설명할 것은 기어레버 혹은 변속레버에 해당된다.

종류

플로어 시프트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자동차 기어레버는 반드시 이곳에 위치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게 만들 정도로 익숙한 기어레버의 위치이다. 운전석과 조수석 상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익숙한 위치이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며 수동운전자부터 자동운전자까지 자연스럽게 손이 가는 위치이다.

칼럼 시프트

스티어링 포스트에 설치되어 있다. 국산차 기준으로 와이퍼 작동 모듈과 비슷하지만 벤츠에서 자주 보이는 기어레버이다. 플로어 시프트보다 스티어링에 가깝기 때문에 조작이 쉽지만 익숙하지 않은 상태로는 변속 실수를 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센터패시아 시프트

플로어 시프트와 칼럼 시프트 중간에 위치해 있다. 기어레버가 스티어링에 가까운 곳에 있으며 칼럼 시프트에 비해 익숙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작이 쉽다.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이 생겨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차량의 크기에 따라 1열에 3시트 배치가 가능하기도 하다.

패들 시프트

스포츠 모드를 탑재한 차량에 많이 있으며 스티어링 뒷면에 설치된 패들레버를 조작하여 시프트 체인지를 한다. 최근에는 일반적인 차량들에게도 널리 확대가 되는 추세이며 패들 시프트는 다른 형태의 기어레버와 함께 사용되지만 렉서스 LFA처럼 패들 시프트만 장착된 차량도 있다.

버튼식 기어레버

과거에는 고성능 스포츠카의 경우 버튼식 기어레버를 채용했지만 최근에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의 등장으로 버튼식 기어레버 차량도 늘어가는 추세이다. 공간 활용도가 높으며 버튼 하나로 기어를 바꿀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대중에게 익숙한 형태의 기어레버가 아니다.

다이얼식 기어레버

레인지로버, 재규어 차량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기어레버이다. 기어레버의 위치가 플로어 시프트와 비슷하지만 버튼식과 같이 적은 공간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도가 높다.

게이트식 기어레버

메르세데스 벤츠가 특허를 가지고 있었었던 게이트식 기어레버는 50년이라는 특허 기간의 만료와 동시에 한동안 많은 업체들이 게이트 방식을 채용하게 되었다. 시프트 게이트가 계단 형태로 구부러진 모양의 패널을 가지고 있는 기어레버로 일반적인 직선 방식의 플로어 시프트의 경우 P / R / N / D / 2 / 1과 같이 나란히 있기 때문에 2단에서 D로 되돌릴때 N에 들어가 버리는 시프트 체인지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기어레버가 원하는 위치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도 있고 차량마다 위치와 시프트 체인지 방법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익숙해지기 전까지 시간이 조금 걸린다.

알파벳과 숫자의 의미와 역할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기어레버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1. 변속 레버〉, 《naver지식백과》